$\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one time feeding of Lythrum salicaria root crude extract (LSR extract) exhibits liver protecting activities in acutely ethanol administrated rat. Experiment groups were composed of normal, negative control (alcohol control), 2 positive control (Hoven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장기간 알코올 투여했을 경우 간장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된 털부처꽃 뿌리 추출물 (Lee et al., 2011)에 대하여 단회 투여만으로도 급성 알코올 투여한 흰쥐에서 간을 보호하는 지를 확인하고, 기능성음료 등으로의 활용이 가능한 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 저자들은 수년간 식물자원의 기능성을 검색하여 유망자원을 발굴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털부처꽃이 항산화 및 간기능 개선의 잠재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발표하였다. 그 결과에는 털부처꽃에 대한 간섬유화 저해효과 (Lee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콜에 의한 여러 가지 건강 및 사회적 문제에 관한 WHO의 통계는 어떠한가? 근래에 알콜에 의한 여러 가지 건강 및 사회적 문제가 언론을 통해 알려지고 있는 데, WHO에 따르면 매년 250만명의 사망이 유해한 알코올의 사용 때문에 발생하며, 젊은 연령층 (15 ~ 19세) 32만명이 알코올과 관련된 이유로 사망하고, 이는 같은 연령층 사망의 9%에 해당한다고 한다. 또한, 대한보건협회가 인용한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년전보다 알코올성 간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6.
알코올섭취로 인한 유해작용 완화를 위해 무엇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 1994)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알코올의 유해작용을 완화하기 위해 근래에 들어 숙취해소 음료 등 기능성 식음료의 소비가 늘어나고, 천연물로부터 간 건강과 관련된 기능성 원료의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알코올섭취가 간 건강과 관련된 이유는 무엇인가? 알코올섭취가 간 건강과 관련된 이유는 생체가 섭취한 알코올을 alcohol dehydrogenase (ADH), catalase 등의 효소가 작용하여 acetaldehyde가 생성되는 데 이 물질이 무독화되지 못할 때 대사이상과 관련되거나 숙취의 원인물질 (Vidal et al., 1998; Wiese et al., 2000)로 작용하기 때문이며, 알코올로부터 microsomal ethanol oxidation system (MEOS), aldehyde oxidase, xanthine oxidase 등의 효소작용으로 생긴 활성산소가 glutathione 등 항산화물질의 감소를 야기하고 지질과산화물질을 증가 (Coudray et al., 1993; Guerri et al., 1994)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알코올의 유해작용을 완화하기 위해 근래에 들어 숙취해소 음료 등 기능성 식음료의 소비가 늘어나고, 천연물로부터 간 건강과 관련된 기능성 원료의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ltanlar N, Citoglu GS and Yilmaz BS. (2006). Antilisterial activity of some plants used in folk medicine. Pharmaceutical Biology. 44:91-94. 

  2. Becker H, Scher JM, Speakman JB and Zapp J. (2005). Bioactivity guided isol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Lythrum salicaria. Fitoterapia. 7:580-584. 

  3. Bergmeyer HU, Bergmeyer J and Grassl M. (1974).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Vol. 3). Verlag Chemie International. Deerfield Beach. Flodia, USA. p.1499-1502. 

  4. Borchardt JR, Wyse DL, Sheaffer CC, Kauppi KL, Fulcher RG, Ehlke NJ, Biesboer DD and Bey RF. (2009).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eed from plants of the Mississippi river basin. Journal of Medicinal Plants Research. 3:707-718. 

  5.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 dye binding. Analytical Biochemistry. 72:248-254. 

  6. Choi YS, Suh KH and Cho SH. (1991) Effects of ethanol and tocopherol on hepatic peroxidation and mitochondrial respiration in the ra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20:409-417. 

  7. Coban T, Citoglu GS, Sever B and Iscan M. (2003). Antioxidant activities of plants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in Turkey. Pharmaceutical Biology. 41:608-613. 

  8. Coudray C, Richard MJ, Faure H and Favier A. (1993). Blood and liver lipid peroxide status after chronic ethanol administrations in rats. Clinica Chimica Acta. 219:35-45. 

  9. Ellman GL. (1959). Tissue sulfhydryl group. Archives of Biochemistry and Biophysics. 82:70-72. 

  10. Gergel D and Cederbaum AI. (1996). Inhibition of the catalytic activity of alcohol dehydrogenase by nitric oxide is associated with S nitrosylation and the release of zinc. Biochemistry. 35:16186-16194. 

  11. Guerri C, Moutoliu C and Reaup-Piqueras J. (1994). Free radicals in diagnostic medicine. Donald Armstrong(ed.). Plenum Press. New York City. New York, USA. p.291-305. 

  12. Humadi SS and Istudor V. (2009). Lythrum salicaria (purple loosetrife) medicinal use,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its total phenolic compounds. Farmacia. 57:192-200. 

  13. Kathryn G, Zalman A and Brian RS. (1996). The regulation of alcohol consumption in rats : the role of alcohol-metabolizing enzymes-catalase and aldehyde dehydrogenase. Alcohol. 13:347-353. 

  14. Kim SM and Lee SW. (1992).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famine releaf food of Chosun-dynasty. Journal of the East Asian of Dietary Life. 2:35-55. 

  15. Lee SE, Park CG, Ahn YS, Son YD, Cha SW and Seong NS. (2009a). Antioxidative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Lythrum salicari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1-7. 

  16. Lee SE, Ahn TJ, Kim GS, Kim YO, Han HS, Seo JS, Chung HY, Park CB, Cha SW, Park HK and Seong NS. (2009b). Antioxidant and anti-fibrotic properties of root extract of Lythrum salicaria L. in $CCl_4$ -induced liver fibrosis rat model.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243-250. 

  17. Lee SE, Kim GS, Han HS, Lee ES, Kim YO, Lee JH, Seong NS, Lee SW and Kim YC. (2010a). Biological activity of organic solvent fractions from Lythrum salicaria L. (Root).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323-328. 

  18. Lee SE, Park CG, Soe JS, Kim SL, Kim GS, Lee JH, Park CB and Kim YC. (2010b). Chemical component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Lythrum salicaria L. according to plant parts and collected tim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298-304. 

  19. Lee SE, Kim GS, Lee JH, Kang Y, Lee ES, Choi J, Lee AR, Park SJ, Noh HJ and Kim SY. (2011). Effect of plant part extracts of Lythrum salicaria L. on chronically alcoholadministrated rat.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9:334-340. 

  20.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Press. Seoul, Korea. p.564-565. 

  21. Lee WT. (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Korea. p.345-349. 

  22.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Hyangmunsa Press. Seoul, Korea. p.784-785. 

  23. Lee WC. (1996). Lineamenta florae Korea. Academy Publishing Company. Seoul, Korea. p.748. 

  24. Ma XJ, Ji CR, Wang YM, Zhang GQ and Liu YZ. (1996). New tannins from Lythrum salicaria L. Journal of Chinese Pharmaceutical Sciences. 5:225. 

  25. Nordmann R, Ribiere C and Rauach H. (1990). Pathophysiological relevance of free radicals to the ethanol-induced disorders in membrane lipids. In Paulet D, Douste-Blazy L. and Paolett R. (ed.). Free radicals, lipoproteins and membrane lipids. Plenum Press. New York City. New York, USA. p.309-315. 

  26. Pandanaboina SC, Kondeti SR, Rajbanshi SL, Kunala PN, Pandanaboina S, Pandanaboina MM and Wudayagiri R. (2012). Alterations in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oxidative damage in alcoholic rat tissues: protective role of Thespesia populnea. Food chemistry. 132:150-159. 

  27. Pawlaczyka I, Capekb P, Czerchawskic L, Bijaka J, Tsirigotisa ML, Krold AP and Gancarza R. (2011). An anticoagulant effect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Lythrum salicaria L. glycoconjugates. Carbohydrate Polymers. 86:277-284. 

  28. Rauha JP, Remes S, Heinonen M, Hopia A, Kahkonene M, Kujala T, Pihlaja K, Vuorela H and Vuorela P. (2000). Antimicrobial effects of Finnish plant extracts containing flavonoids and other phenolic compounds.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56:3-12. 

  29. Schlorff EC, Husain K and Somani SM. (1999). Dose- and time-dependent effects of ethanol on plasma antioxidant system in rat. Alcohol. 17:97-105. 

  30. Swiergosz-Kowalewska R, Bednarska A and Kafel A. (2006). Glutathione levels and enzyme activity in the tissues of bank vole Clethrionomys glareolus chronically exposed to a mixture of metal contaminants. Chemosphere. 65:963-974. 

  31. Tunalier Z, Kosar M, Kupeli E, Calis I and Baser KHC. (2007).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nociceptive activities and composition of Lythrum salicaria L. extract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10:539-547. 

  32. Venkataranganna MV, Gopumadhavan S, Sundaram R, Peer G and Mitra SK. (2008). Pharmacodynamics and toxicological profile of PartySmart, a herbal preparation for alcohol hangover in Wistar rats. Indian Journal of Medical Research. 127:460-466. 

  33. Vidal F, Toda R, Gutierrez C, Broch M, Fernadez-Muixi F, Lorenzo A and Richart C. (1998). Influence of chronic alcohol abuse and liver disease on hepatic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Alcohol. 15:3-8. 

  34. Wiese JG. Shlipak MG and Browner WS. (2000). The alcohol hanover.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32:897-902. 

  35. Yoo YM, Jung EM, Kang HY, Choi IG, Choi KC and Jeung EB. (2011). The sap of Acer okamotoanum decreases serum alcohol levels after ethanol ingestion in rats.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 28:489-4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