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5 no.3, 2012년, pp.23 - 35
이한동 (경북대학교 공간정보학과) , 김교원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The optimum location of the prehistoric sites of Ulsan Metropolitan City are investigated by both quantile and natural breaks methods through GIS, and the settlement pattern is studied based on the possibility of presence of the prehistoric sites which are also analyzed with these methods. Such fac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본 논문에서,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선사시대 최적의 입지를 조사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 본 논문은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선사시대 최적의 입지를 GIS를 통한 분위수방법과 자연결점법으로 조사하였고, 등급화 통계분석방법으로 선사유적의 존재가능성을 분석하여 선사유적의 정착 패턴을 규명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고도, 사면 경사도, 수계 최소거리, 사면방향, 지질, 토양배수등급, 심토토성, 토지이용추천 등이며, 이를 이용하여 입지분석 및 분포예측을 실시하였다. | |
GIS를 이용한 울산지역의 선사유적 입지분석 및 분포예측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 본 논문은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선사시대 최적의 입지를 GIS를 통한 분위수방법과 자연결점법으로 조사하였고, 등급화 통계분석방법으로 선사유적의 존재가능성을 분석하여 선사유적의 정착 패턴을 규명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고도, 사면 경사도, 수계 최소거리, 사면방향, 지질, 토양배수등급, 심토토성, 토지이용추천 등이며, 이를 이용하여 입지분석 및 분포예측을 실시하였다. 입지분석결과, 선사유적의 최적 입지환경 중 지형적 환경은 저지대 완경사지의 남향인 지역에 수계를 포함하는 곳이며, 지질 토양환경은 제4계 충적층의 배수상태가 양호하고, 심토토성은 식양질, 토지이용추천은 밭인 곳이 최적의 등급으로 분석되었다. | |
GIS는 무엇에 주로 이용되는가? | GIS는 고고유적의 지형적, 지리적 분석에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고고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툴이다. 도입초기는 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문화재 관리를 중점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현재는 유적이 있는 환경에 대해 분석하는 입지분석이 주를 이룬다. 이와 더불어 GIS의 장점인 고고학적 공간구조와 입지를 기계적인 분석·확인을 이용한 계량적 입지분석과 통계적 입지예측분석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
김도헌. 2009. 청동기시대 농경의 확산과 사회변화에 대한 시론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嶺南學 15:307-342.
김원룡. 1989. 한국고고학 개설. 일지사. 70-71쪽.
김주용, 이헌종. 2004. GIS 기법을 이용한 한국 영산강 하류 구석기 유적 분포특성 연구. 선사와 고대 20:173-192.
김창환, 배선학. 2006. 문화유적의 공간적 입지 유형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5):583-594.
도영아. 2007. 경주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입지와 생업에 대한 검토. 문화사학 27:79-112.
배덕환. 2009. 慶南地域 靑銅器時代 後期 聚落의 立地形態에 따른 地域性 硏究. 文物硏究 15:3-22.
우제윤, 구지희, 김의명, 홍창희, 이정훈, 이상훈, 김강석, 신재훈, 건설교통부. 2001. 한국지형에 적합한 수치표고모형 구축방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53쪽.
울산광역시. 2003. 文化遺蹟分布地圖 : 蔚州郡. 394쪽.
울산광역시. 2004. 文化遺蹟分布地圖 : 中.南.東.北區. 506쪽.
원석환, 김은경, 강진영, 황철수. 2011. 문화재분포 예측을 위한 GIS 활용방안연구.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01-304쪽.
이진영. 2006. GIS를 이용한 남한의 고고유적 입지예측모델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1쪽.
이진영, 양동윤, 김주용, 정계옥. 2006. 유적의 자연입지환경 분석을 위한 분석알고리즘 예비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초록집. 133-138쪽.
황상일, 윤순옥. 2000. 蔚山 太和江 中.下流部의 Holocene 自然環境과 先史人의 生活變化. 韓國考古學報 43:67-112.
David W.A. 2010. GIS Tutorial 2 : Spatial Analysis Workbook. ESRI Press. 44pp.
Espa, G., R. Benedetti, A. De Meo, U. Ricci and S. Espa. 2006. GIS based models and estimation methods for the probability of archaeological site locatio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7(3):144-155.
http://soil.rda.go.kr/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