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식품안전사건에서 정부와 언론이 사용한 보도용어의 차이가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Reporting Terms of Government and Media on Risk Communication in Major Food Safety Incid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7 no.3, 2012년, pp.203 - 208  

오세라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  신원정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  박태균 (중앙일보) ,  김보영 (한양대학교) ,  김호식 (한국과학기자협회) ,  이정호 (식품의약품안전청) ,  황성휘 (식품의약품안전청) ,  하상도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품안전사건의 보도에 사용되는 용어의 차이가 risk communication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18가지 주요 식품안전사건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각 사건의 보도에 사용된 용어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식품안전사건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정부, 지자체, 언론 및 소비자 단체가 사건의 보도에 사용한 용어의 불일치는 사건을 확대시키고, 사회경제적 손실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보도 및 대응용어의 파급효과차이 정도와 소비자가 느끼는 두 용어의 차이 정도에서 과자 아토피 유발 사건, 포르말린 통조림 사건, 고름우유 사건, 불량만두 사건 등 높은 순위를 차지한 사건들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 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865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보도에 사용되는 용어에 따라 사건의 파급효과가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고, 사건보도 시 용어의 표준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조사 결과는 정부, 기업, 소비자간 성공적인 risk communication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e collected the information of the 18 major food safety incidents and conducted a delphi survey with 10 experts to analyze the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terms used in reporting of the major food safety incidents on risk communication.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infor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주요 식품 안전사건에 대한 자료수집과 델파이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주요 식품안전사고의 보도에 정부, 지자체와 언론이 주로 사용한 용어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용어의 차이가 risk communication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정부, 기업, 소비자간 성공적인 risk communication 방안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현재까지 식품안전 보도용어와 보도의 파급효과 등과 관련된 연구는 전혀 없었으며, 전문가 대상 델파이 조사 또한 수행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요 식품 안전사건에 대한 자료수집과 델파이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주요 식품안전사고의 보도에 정부, 지자체와 언론이 주로 사용한 용어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용어의 차이가 risk communication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정부, 기업, 소비자간 성공적인 risk communication 방안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안전사건 발생 시 어떤 것이 이루어져야 불필요한 사회적 갈등을 줄일 수 있는가? 최근 식품안전사건의 발생건수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7), 향후 식품안전과 관련된 보도의 지속적인 증가와 더불어 risk 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될 것이다. 이에 따라 식품안전사건 발생 시 risk assessment(위해 평가), risk management(위해관리), risk communication(위해정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불필요한 사회적 갈등을 줄일 수 있다. 이 중 risk communication은 위해분석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를 정부, 언론, 소비자 및 기타 이해 집단들이 공유하고 위해관리 결정의 근거에 대한 정보와 의견을 상호교환하는 것으로서8) 정부, 언론, 소비자가 소통의 길을 열어놓고 서로 신뢰해야만 최선의 risk communication이 가능하다.
우리나라 일간지에서 건강, 식품, 영양 관련 내용이 차지하는 비율은 몇 % 인가? 국민 소득과 의식수준이 향상되면서 높은 수준의 식품안전이 요구되는 동시에 신문, 방송과 같은 전통적 대중매체와 뉴미디어들도 식품 관련 정보들로 지면과 시간을 채우고 있다1,2). 실제로 우리나라 일간지에서 건강, 식품, 영양 관련 내용이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 지면의 17.5%라고 조사된 바 있으며3), 대부분의 사람들은 언론으로부터 식품안전과 관련된 사건을 알게 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다고 한다4). 다양한 식품정보 중 식품안전 사건에 대한 보도의 영향은 소비자로부터 급격히 확산되어 관련 산업과 경제 전반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5), 식품안전 전문가와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은 우리나라에서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킨 식품안전사건의 상당수가 언론의 지나친 상업주의, 전문성 부족, 과장 보도, 선정성 때문에 빚어졌다고 비판하고 있다6).
식품안전사건 발생 시 이뤄져야 하는 risk communication은 무엇을 말하는가? 이에 따라 식품안전사건 발생 시 risk assessment(위해 평가), risk management(위해관리), risk communication(위해정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불필요한 사회적 갈등을 줄일 수 있다. 이 중 risk communication은 위해분석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를 정부, 언론, 소비자 및 기타 이해 집단들이 공유하고 위해관리 결정의 근거에 대한 정보와 의견을 상호교환하는 것으로서8) 정부, 언론, 소비자가 소통의 길을 열어놓고 서로 신뢰해야만 최선의 risk communication이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Woo, J.M., Ryeom, T.K., Hwang, J.H., Oh, W.Y., Jang, D.D. and Lee, H.M.: The Successful Risk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Food Risk Factors. J. Fd. Hyg. Safety, 2(2), 11-18 (2007). 

  2. Lee, G.O.: Food Risk Communication and Media. J. Fd. Hyg. Safety, 2(2), 19-27 (2007). 

  3. Moon, H.K., Yong, M.J. and Jang, Y.J.: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for Articles and Advertisements in the Daily Newspapers. J. Korean. Diet. Assoc., 10(2), 143-158 (2004). 

  4. Lupton, D.: 'A Grim Health Future' Food Risk in the Sydney Press. Health. Risk & Society, 6(2), 187-200 (2004). 

  5. Lee, E.J.: The Effect of BSE News Reports on Beef Intake. J. Fd. Server. Management, 4, 223-239 (2001). 

  6. 정기혜: 환경감시인가 공포감 조성인가, 신문과 방송 12 월호, 한국언론연구재단, 132-139 (2005). 

  7. Bahk, G.J.: The Analysis of Food Safety Incidents from 1998 to 2008 in Korea. J. Fd. Hyg. Safety, 24(2), 162-168 (2009). 

  8. 신동화, 오덕환, 우건조, 정상희, 하상도: 식품위생안전성학. 한미의학, 서울, 413 (2005). 

  9. Lee, G.O. and Park, J.W.: A Frame Analysis of News Coverage on The Kimchi Risk in 2005. Korean. J. Broadcasting, 20(5), 260-305 (2006). 

  10. 이철호, 맹영선: 식품위생사건백서.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7). 

  11. 이철호: 식품위생사건백서II.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5). 

  12. 이종성: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서울, 16-17 (2006). 

  13. Kim, R., Sung, W.K. and You, B.J.: Management System for Term Standardization. J. Korea. Contents. Assoc., 7(1), 94-98 (2009). 

  14. 황윤재: 제6장 소비자의 식품안전정보 이용실태와 시사점, 농업전망 2011(I),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47-166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