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신종 감염병 보도 분석: 다제내성균 보도 사례를 중심으로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news reports on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by multidrug-resistant microorganism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2, 2014년, pp.343 - 351  

박기수 (고려대 보건행정학과) ,  이귀옥 (세종대 신문방송학과) ,  최명일 (남서울대 광고홍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다제내성균에 대해 미디어가 어떻게 보도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사 제목에 나타난 핵심어를 언어 네크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기사검색사이트인 카인즈(www.kinds.or.kr)와 언론사의 홈페이지를 통해 약 28개 언론사를 대상으로 2010년 6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229개의 다제내성균 관련 기사를 분석하였다. 먼저, 뉴스 제목에 나타난 핵심어를 분석한 결과, 기사 제목에서 '슈퍼박테리아'(155건)가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안감을 촉발시키는 '감염'(63건) 용어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감염병 보도의 전체 네트워크 구조는 '국내', '다제내성균', '첫', '항생제', '슈퍼박테리아', '발생', '감염' 등의 핵심어를 중심으로 형성된 반면, '관련주', '의료진', '안전' 등은 네크워크 중심에서 크게 벗어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performed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keywords in the headlines of newspapers to investigate the media coverage of the multidrug-resistant microorganisms(MDROs) which is resistant to antibiotics. For this purpose, 229 news stories on MDROs in 28 newspapers from June 1, 2010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색인어는 여러 차례의 모의 분석을 통하여 연구 결과의 명료성과 시사점을 도출하기에 가장 적합하도록 일정한 노출 빈도 이상을 보인 핵심어를 대상으로 선정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도 모의 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가장 명확하게 하고,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는 노출 빈도를 보인 색인어를 선정하고자 한다. 3단계는 색인어 파일을 KrKwic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색인어 사이의 행렬을 구축하는 과정이다.
  • 연구문제 1에서는 다제내성균과 관련한 기사 제목에서 자주 등장했던 핵심어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총 229개의 기사 제목에서 제시된 핵심어를 분석하였다.
  • 연구문제 2: 다제내성균 관련 보도에 나타난 핵심어 사이의 관계에는 어떠한 특징이 있으며, 몇 개의 하위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는가?
  • 이 연구는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다제내성균에 대해 미디어가 어떻게 보도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사 제목에 나타난 핵심어를 언어 네크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 이러한 인식 하에 이번 연구에서는 감염병의 한 원인이 되는 다제내성균(일명 ‘슈퍼박테리아’)에 대해 언론이 어떠한 방식으로 보도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언론이 어떻게 보도하는지가 중요한 이유는? 건강 정보의 홍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언론이 어떻게 보도하느냐에 따라서 일반 대중에서 불필요한 공포감, 나아가 감염인들에 대한 편견 및 낙인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로 선행 연구에서는 의학 보도가 질병에 대한 두려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
신종 건강 위협이 기존에 존재하던 위협보다 더 주목받게 된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한 근거는? 실제로 선행 연구에서는 미국의 언론 데이터베이스인 LexisNexi를 이용해서 2003년의 신문, TV, 라디오 뉴스 기사에서 사스(SARS), 웨스트 나일 열병(West Nile Fever), 바이오테러 등과 같이 새로 출몰하는 건강 위협과 에이즈, 흡연, 운동 부족 등과 같은 이미 알려진 건강 위협 요인들의 보도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십여명이 사망한 사스, 바이오테러에 대한 보도 기사 수는 10만건을 넘어선 반면, 80만명 정도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흡연이나 운동부족에 대한 보도는 2만건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신종 건강 위협이 예전에 존재하던 위협에 비해 기자와 편집자의 주목을 더 받게 돼 결과적으로 일반 국민뿐만 아니라 보건 정책 담당자들에게까지 편향된 인식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예방 활동과 관련한 잘못된 선택과 우선 순위를 매기도록 하는 문제를 발생 시켰다[4].
우리는 매일 무엇을 통해서 건강 뉴스 혹은 정보를 접하는가? 우리는 거의 매일 같이 신문, TV, 인터넷 등을 통해서 건강 뉴스 혹은 정보를 접하게 된다. 건강 정보의 홍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 Y. Park, The impact of medical news on the public's attitude regarding health and diseas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2, No. 9, pp. 194-222, 2003. 

  2. C. Y. Park, Son, M. S, Public health and medical news. Seoul: Communication Books. 2001. 

  3. Y. K. Ju, M. S. You, Representing health risk: A quantitative analysis of Korean news medis's coverage of emerging diseases and chronic one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4, No. 2, pp. 363-381, 2010. 

  4. L. J. Bomlitz, M. Brezis, Misrepresentation of health risks by mass media,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30, pp. 202-204, 2008. 

  5. G. J. Oh, Comprisons of Attitude on Media's Report for Avian Influenza between Poultry Breeder and Non-breeder.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ol. 34, No. 1, pp. 58-66, 2009. 

  6. M. McQuail, McQuail's Mass Communication Theory(6th ed.). London: Sage. 2010. 

  7. K. Viswanath, K. M. Emmons, Message effects and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ts application to cancer disparity,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56, pp. 238-264, 2006. 

  8. A. Dawson, Risk perceptions and ethical public health policy: MMR vaccination in the UK. Poiesis Prax, Vol. 3, pp. 229-241, 2005. 

  9. D. Glik, Risk communication for public health emergencies,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Vol. 28, 33-54, 2007. 

  10. W. Lowrey, K. Gower, W. Evans, J. Mackay, Assessing newspaper preparedness for public health emergencies,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 83, pp. 362-380, 2006. 

  11. B. Holmes, N. Hennrich, S. Hencock, V. Lestou,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during health crises: Experts' experiences and opinions, Journal of Risk Research, Vol. 12, No. 6, pp. 793-807, 2009. 

  12. R. Popping, Computer-assisted text analysis. London,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2000. 

  13. J. F. Sowa, Conceptual Structures: Information Processing in Mind and Machine. MA: Addison-Wesley. 1984. 

  14. H. W. Park, L. Leydesdorff,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6, No. 5, pp. 1377-1388, 2004. 

  15. S. P. Borgatti, M. G. Everett, L. C. Freeman, Ucinet for Windows: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Harvard, MA: Analytic Technologies. 2002. 

  16. S. J. Lee, J. H. Choi, H. W. Kim,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the MIS research keywords: APJIS and MIS Quarterly 2005-2009,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 20, No. 4, pp. 25-51. 2010. 

  17. R. A. Hanneman, R. Mark, Introduction to social network methods. Riverside, CA: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published in digital form at http://faculty.ucr.edu/-hanneman/. 

  18. L. J. Bomlit, M. Brezis, Misrepresentation of health risks by mass media,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30, pp. 202-204,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