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을 위한 프로젝트 수행역량 평가모델
A Project Competency Assessment Model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원문보기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35 no.3, 2012년, pp.32 - 44  

임형정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컨설팅학과) ,  백동현 (한양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mpetitiveness of modern organizations highly depends upon organizational competencies rather than individual competencies. However, most of previous studies on project success focused on individual competencies, such as project manager's competency and leadership. Even though there are some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소기업의 프로젝트 수행역량을 평가하고자 할 때 평가영역별로 평가항목을 재배치하고 통합과정을 통해 향후 평가 시 평가영역별로 조직의 수준과 전체 조직의 프로젝트 수행역량 수준을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단순히 평가하는 수준에 머물기보다는 중소기업이 지속성장 가능한 역량의 일환으로 프로젝트 수행역량 평가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전 산업군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평가하고자하는 의도를 감안하여 프로젝트를 통해 산출된 제품, 서비스 그리고 전략 등의 개발과정 및 진척도, 변경사항을 기록 관리하여 요구사항을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의 일환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반영한 CMMI의 형상관리 평가영역을 포함시켜 평가항목을 배치하고자 하였다. <그림 2>는 평가영역을 기존의 모델들로부터 추출하여 비교하고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수행역량을 평가하는데 적합한 평가영역을 도출하는 과정의 연구과정을 나타낸다.
  •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관리 역량뿐만 아니라,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조직의 역량을 가늠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설계하고자 관련 문헌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수행역량과 관련된 평가영역과 항목을 중소기업을 통합적 관점에서 평가하는데 적합한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평가되어야할 항목의 가중치와 평가영역별 배점을 프로젝트 관리 분야의 전문가 그룹으로부터 검증받아 산정하여 지금까지의 어떤 프로젝트 수행역량 평가모델보다 가장 합리적인 중소기업의 프로젝트 수행역량 평가모델을 제시하였다.
  • 우선 기존 문헌으로부터 평가영역과 평가항목을 추출하여 전 산업분야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젝트 수행역량 평가영역과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평가영역별로 도출된 평가항목을 배치하고 중복 및 통합과정을 거쳐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의 목적은 중소기업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항목의 가중치 설정과 평가영역의 배점을 결정하는 것이다. 평가항목의 가중치는 우선순위 빈도수에 의한 가중순위합을 계산하여 가중치를 산정하였으며, 평가영역의 배점은 전문가들의 영역별 쌍대비교에 의해 산정된 가중치를 기반으로 결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PMBOK을 기반으로 OPM3와 CMMI의 핵심 평가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관리역량 및 수행역량 평가관련 연구들로부터 평가항목들을 도출하고, 전문가 조사를 통해 평가영역의 배점과 평가우선 순위 항목을 분석하여 중소기업의 프로젝트 수행역량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평가하는데 적합한 평가모델을 제안한다.
  • 선행 연구로부터 도출된 9개의 프로젝트 수행역량 평가영역 및 68개의 평가항목을 통해 전문가 조사를 위한 설문항목을 구성하였다. 중소기업의 프로젝트 수행역량 평가의 적합한 평가항목 및 우선적으로 평가해야할 평가항목을 순위로서 평가해줄 것을 요청하였으며, 중소기업을 고려한 평가영역의 상대적 중요도를 조사하여 평가 시 평가영역별 배점을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 진단 Sheet를 살펴보면 크게 평가영역, 평가영역의 정의, 평가내용, 평가의견, 평가점수로 구성되어 있다. 중소기업의 프로젝트 수행역량을 평가하고자 할 때, 평가자 또는 평가대상인 중소기업의 이해를 높이고자 각 평가영역별로 정의를 하였다. 그 아래엔 평가영역에 해당 하는 세부 평가항목들이 있고 평가내용에 대한 점수가 측정되면 분석 후 의견 또는 개선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사적 프로젝트 관리의 장점은 무엇인가? 전사적 프로젝트 관리는 프로젝트 관리를 여러 유형별 프로젝트에 적용할 뿐 아니라, 이를 조직의 전사적 차원에서 응용함으로써 조직 전체의 프로젝트 수행 원칙을 통합하여 조직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전사적 프로젝트 관리는 사람과 조직의 역량으로 구현되며,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 개념으로 평가된다.
기존의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 평가모델은 국내 중소기업을 평가하기에 적절한가? 이런 조직의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 평가모델로는 PMI (Project Management Institute)에서 제안하여 국제표준으로 추진하고 있는 조직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 모델(Organizational Project Management Maturity Model, OPM3)과 IT프로젝트 관리의 프로세스 역량 성숙도통합모델(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CMMI) 등이 있으며, 이는 조직전략과 연계하여 조직의 프로젝트 관리의 성숙도를 평가하기 모델로써 기업의 프로젝트 수행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되고 있다. 하지만 내부 평가요소와 방식이 난해하고, 조직의 프로젝트 수행역량의 수준이 낮은 조직으로 갈수록 그 적용이 적절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국내기업 특히 중소기업의 프로젝트 수행역량을 평가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부분이 다수 존재함을 의미한다.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 평가모델은 무엇이 있는가? 이런 조직의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 평가모델로는 PMI (Project Management Institute)에서 제안하여 국제표준으로 추진하고 있는 조직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 모델(Organizational Project Management Maturity Model, OPM3)과 IT프로젝트 관리의 프로세스 역량 성숙도통합모델(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CMMI) 등이 있으며, 이는 조직전략과 연계하여 조직의 프로젝트 관리의 성숙도를 평가하기 모델로써 기업의 프로젝트 수행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되고 있다. 하지만 내부 평가요소와 방식이 난해하고, 조직의 프로젝트 수행역량의 수준이 낮은 조직으로 갈수록 그 적용이 적절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고호은, 박형근; "건설사업관리에서 형상관리에 대한 변경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2009. 

  2. 곽길종, 김재준; "품질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한 진척도 관리 시스템 개발 : 원자력발전소 건설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건설관리학회, 2011. 

  3. 김윤석, 조은애, 백두권; "정보시스템 감리점검항목을 활용한 프로젝트 조직성숙도 평가모델의 설계", 한국정보과학회, 2007. 

  4. 김은령; "정량적 지표를 활용한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위험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2008. 

  5. 김지영, 안성웅; "실시간 프로젝트 위험관리를 위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형의 개발", 대한산업공학회, 2011. 

  6. 김진모; "기업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직업교육연구, 2001. 

  7. 목성균; "CMMI 적용 조직에서의 OPM3 구현 방안", 한국프로젝트 관리기술회, 2005. 

  8. 문성계, 김지혁, 류성열; "의사소통 개선을 위한 프로젝트 통합관리 도구의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9. 박순규; "프로젝트 통합관리, 프로젝트 일정관리, 프로젝트 범위관리, 프로젝트 원가관리, 프로젝트 품질관리, 프로젝트 인적자원 관리, 프로젝트 의사소통관리, 프로젝트 위험관리, 프로젝트 조달 관리", 대한전기협회, 2004. 

  10. 신동수, 이상철, 김신열; "FOAF 온톨로지 기반 프로젝트 팀 구성 시스템", 한국정보과학회, 2008. 

  11. 신학수; "전사적 프로젝트 경영을 위한 건설 프로젝트 성숙도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2009. 

  12. 신호균, 전승호, 김창호; "규칙과 사례기반추론 기법을 이용한 프로젝트 범위관리 모듈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2004. 

  13. 유위성, 이학기; "퍼지 PERT에 의한 프로젝트 Scheduling과 리스크 평가", 대한건축학회, 2006. 

  14. 조일민; "PERT/CPM 기반 프로젝트 일정 계획 알고리즘", 숭실대학교, 2011. 

  15. 통계청; 국내 중소기업 통계조사 결과, 2010. 

  16. 한동준, 한혁수; "CMMI 기반의 XP를 위한 형상관리 프로세스 구축 지침",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8. 

  17. 한연옥; "프로젝트 관리자 역량이 프로젝트성과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2008. 

  18. David C. McClelland; "Ability to perform the actual tasks," 1973. 

  19. Harold Kerzner; "Advanced Project Management : Best Practices on Implementation," Wiley, 2006. 

  20. J. Kent Crawford; "Project Management Maturity Model," 2nd Ed., Auerbach Publications, 2003. 

  21. Lucia, A. D. and Lepsinger, R.;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Jossey-Bass," San Francisco, CA, 1999. 

  22. Paul C. Dinsmore; "Toward a Corporate Project Management Culture," PMI Seminar and Symposium, 1997. 

  23. PMI; "OPM3 Knowledge Foundation," 2003. 

  24. PMI; "A guide to the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 PMBOK guide,"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2004, 2005. 

  25. PMI; "OPM3 2nd Edition-Best in Organizational Maturity,"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2008. 

  26. PMI; "Project Manager Competency Development Framework 2nd Edition,"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2003. 

  27. Prahalad, C. K. and Hammel, G.;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1990. 

  28. Richard, E. Boyatzis; "Competencies as a behavioral approach to emotional intelligence," 2009. 

  29. SEI; "CMMI Version 1.1 Tutorial Materials," 2004. 

  30. Spencer, L. M. and Spencer, S. M.; "Competency at Work :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Wiley, New York, NY, 1993. 

  31. Tom Keuten; "CMMI and OPM3 A Powerful Combination for Increasing Maturity," PMI GLC Symposium, Project Magazine 2004, 2005. 

  32. Young Hoon Kwak, and C. William ibbs; "Project Management Process Maturity Model,"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