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개발 인력의 성격유형(MBTI)과 근무환경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격유형(MBTI)중 행동유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R&D Employee's Personality Type(MBTI) and Working Condition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Personality Type(MBTI) Focused on Actions 원문보기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35 no.3, 2012년, pp.136 - 147  

박정운 (인천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이맹전 (인천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정영배 (인천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uman resources of an enterprise is very important to survive in these days of business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four behavioral types in MBTI (Myer-Briggs Type Indicator) and working condition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satisfaction and immersion have b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거의 근무환경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많은 연구는 연구개발 인력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조직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특히 연구개발 인력의 성격유형에 따른 근무환경요인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개발 인력의 성격유형별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의 차이와 다양한 근무환경 요소에 따른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규명하여 기업성과를 극대화 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연구개발 인력의 성격유형별 근무 환경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연구개발 인력의 성격유형(MBTI)과 근무환경에 따라 조직유효성의 차이를 심층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연구개발 인력에게 총 240부의 설문지를 배부 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과 회수하지 못한 설문지를 제외한 101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오늘날 치열한 경쟁 환경 속에서 조직의 성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 사람이며 그중에서도 연구 개발 인력이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연구개발 인력의 성격유형(MBTI)에 따라 연구 성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근무환경요인과 조직유효성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살펴본 여러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함으로써 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명확히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 인력의 성격유형(MBTI)과 근무환경에 따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모형은 <그림 1>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 인력의 성격유형(MBTI)과 근무환경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연구개발 인력을 대상으로 각 개개 요소의 변수에 대한 상관관계와 조절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직무환경요인, 조직특성요인, 근무 촉진요인 등 근무환경에 따라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가설을 과 같이 설정하였다.
  • 둘째, 성격유형별로 근무 환경 변수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해 중소기업의 조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개발 인력의 성격유형에 따른 근무환경 개선방안과 인사조직관리의 기초자료를 제시함으로써 기업성과를 극대화 시키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몰입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 성격유형별로 직무환경요인에 따라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 성격유형별로 조직특성요인에 따라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 성격유형별로 근무촉진요인에 따라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 : 성격유형별로 직무환경요인에 따라 직무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7 : 성격유형별로 조직특성요인에 따라 직무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8 : 성격유형별로 근무촉진요인에 따라 직무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BTI 성격유형검사란 무엇이며, 어떤 분류 방법을 활용하는가? MBTI 성격유형검사는 다양한 조직구성원의 성격유형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도구이며, MBTI의 16개 성격유형은‘행동유형’, ‘의사결정유형’, ‘기능’, ‘기질’ 등의 분류방법을 활용하여 분류할 수 있다. MBTI 성격유형 검사는 4개 척도가 가지고 있는 각각 상반되는 경향 중 어떤 기능이나 태도를 먼저 그리고 자주 사용하는가를 판단하는 것으로, 외향형(E : Extraversion)-내향형(I : Introversion), 감각형(S : Sensing)-직관형(N : Intuition), 사고형(T : Thinking)-감정형(F : Feeling), 판단형(J : Judging)-인식형(P : Perceiving)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MBTI의 4가지 선호지표는 <표 2>와 같다[2].
황문규가 말하는 성격이란 무엇인가? 황문규[15]는 성격이란 원래 라틴어 Per와 Sonare에서 유래된 말인데 인성이라고 번역하기도 하며, 고대 그리스어로 배우들이 연극 할 때 쓰는 가면을 의미하는 말이라고 하였다. 그 후 Personare가 탈이란 뜻에서부터 차차 변화되어 오늘날에 와서는 사람의 진실한 속성과 타인과 구별할 수 있는 인상 전체를 의미하는 말로서 사용하게 되었다.
MBTI 성격유형검사는 어떤 척도를 판단하는 것인가? MBTI 성격유형검사는 다양한 조직구성원의 성격유형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도구이며, MBTI의 16개 성격유형은‘행동유형’, ‘의사결정유형’, ‘기능’, ‘기질’ 등의 분류방법을 활용하여 분류할 수 있다. MBTI 성격유형 검사는 4개 척도가 가지고 있는 각각 상반되는 경향 중 어떤 기능이나 태도를 먼저 그리고 자주 사용하는가를 판단하는 것으로, 외향형(E : Extraversion)-내향형(I : Introversion), 감각형(S : Sensing)-직관형(N : Intuition), 사고형(T : Thinking)-감정형(F : Feeling), 판단형(J : Judging)-인식형(P : Perceiving)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MBTI의 4가지 선호지표는 <표 2>와 같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권순일; "조직행위론", 세종출판사, 1999. 

  2. 김정택, 심혜숙; "MBTI 활용과 개발", 어세스타, 2009. 

  3. 박경효; "소방공무원의 근무환경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15(3) : 63-80, 2002. 

  4. 박정운, 정영배, 유우식; "연구개발 인력의 근무환경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35(1) : 107-114, 2012. 

  5. 안광일; "MBTI이론에 따른 한국공무원 의식구조의 진단.분석", 한국행정학보, 28(1) : 69-92, 1994. 

  6. 원필흥; "임파워먼트와 조직분위기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2010. 

  7. 이경희; "성격유형과 행동방식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 20 : 209-229, 2003. 

  8. 이광노; "벤처기업의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대학원. 2002. 

  9. 이동수;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공정성인식에 조직 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친 영향", 한국정부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185-207, 2008. 

  10. 이재규, 조영대; "직무적합성이 직무만족과 갈등 관리 방법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경영학연구, 33(3) : 313-338, 1994. 

  11. 이정선, 유정이; "관리직 종사자의 성격유형과 직무 만족 요인과의 관계연구", 한국심리유형학회지, 9(1) : 31-48, 2002. 

  12. 장해익; "관리자의 인지된 리더십 형태가 구성원의 동기유발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대학원, 2000. 

  13. 천덕희, 김경희; "여행사의 내부 마케팅이 고객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고객만족경영연구, 12(1) : 237-253, 2010. 

  14. 최연택, 권경득; "조직구성원의 성격유형(MBTI), 직무 형태 및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8(3) : 187-217, 2009. 

  15. 황문규; "자아개념과 MMPI와의 관계연구-공업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7. 

  16. Alexander, F.; "Observations on Organizational Factors Affecting Creativity," The Creative Organization Chicago : Univ. of Chicago Press, 1965. 

  17. Buchanan, B.; "The socialization of Managers in work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9 : 533-546, 1974. 

  18. Campbell, J. P.; "On The Nature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an Francisco, Loss-Bass, 1977. 

  19. Hull, R. F. and Baynes, H. G.; "The Collected Works of C. G. jung," Bollingen Inc., 1971. 

  20. Jung, C. G.; Psychological Types(H. G. Baynes, Trans. revised by R. F. C.(Hull) Volume 6 of The collected works of C. G. Jung, Princeton Univ. Press, 1921. 

  21. Mcshane, S. L.; "Canadian Organizational Behavior 5th ed.," New York. Mc Graw-Hill, 2004. 

  22. Mowday, R. R. and Porter, L.;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y," Journal of Vacation Behavior, 14 : 224-247, 1979. 

  23. Sheldon, M.; "Investment and Involvement as Mechanisms Producing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6 : 143-150, 19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