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제봉독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Purified Bee Venom on Melanin Synthesis

약학회지 = Yakhak hoeji, v.56 no.4, 2012년, pp.254 - 259  

한상미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김정민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이광길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박관규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  장영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further access honeybee (Apis mellifera L.) venom (BV) as a cosmetic ingredient and potential external treatment for topical use, we investigated its ability to inhibit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biosynthesis on melanogenesis in B16F1 melanoma cells. We found that BV increased the cell viab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정제봉독의 멜라닌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α-MSH로 멜라닌 합성이 유도된 B16F1 melanoma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 tyrosinase의 단백질 및 mRNA 발현 억제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국내산 정제봉독이 피부 미백에 효과를 갖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사육되는 꿀벌에 전기충격법을 이용한 봉독채집장치를 사용하여 채취한 봉독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한 정제봉독을 mouse melanoma cell로부터 유래한 B16F1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과 관련된 주요 효소인 tyrosinase를 억제시키는 미백효과를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A) RT-PCR analysis of mRNA for tyrosinase and GAPDH. (B) The relative band intensity of the enzymes was normalized by GAPDH. Different letters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p<0.
  • (B) he relative band intensity of the enzymes was normalized by β-acti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닌 합성 장소는 어디인가? 멜라닌은 피부 표피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생성세포의 멜라노좀(melanosome)이라는 특정 기관에서 합성되는데, 멜라노좀에는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인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TRP)-1과 TRP-2 등을 함유하고 있다.6) 특히, tyrosinase는 멜라닌 합성에서 가장 먼저 작용하는 속도조절효소로써, tyrosine을 L-3,4-dihydroxyphenylalanine(DOPA)으로 전환시키고, 또 DOPA를 dopaquinone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제봉독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는 어떻게 나타나는 것인가? 그 결과, 봉독 1 µg 및 100 ng 처리는 α-MSH 처리군에 비해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였으며, 멜라닌 합성 주요효소인 tyrosinase의 mRNA 및 단백질 발현 역시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는, 봉독이 tyrosinase의 발현 억제를 통하여 멜라닌 합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미백화장품 개발을 위한 기능성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봉독의 장점은 무엇인가? 최근 천연 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순수 천연물질이면서 강력한 항균, 항염증 효과를 갖는 봉독은 부작용과 잔류에 대한 위험성이 적어 봉침요법으로 오래전부터 관절염, 통풍 등의 질환에 사용되어 오고있다.9,10) 봉독은 꿀벌(Apis mellifera 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Urabe, K., Nakayama, J. and Hori, Y. : Mixed epidermal and dermal hypermelanoses. In "The pigmentary System: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eds. Norlund, J. J., Boissy, R. E., Hearing, V. J., King, R. A., Ortonne, J. P.,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 909 (1998). 

  2. Chang, T. S. : An updated review of tyrosinase inhibitors. Int. J. Mol. Sci. 10, 2440 (2009). 

  3. Imokawa, G. : Autocrine and paracrine regulation of melanocytes in human skin and in pigmentary disorders. Pigment. Cell Res. 17, 96 (2004). 

  4. Ando, H., Kondoh, H., Ichihashi, M. and Hearing, V. J. : Approaches to identify inhibitors of melanin biosynthesis via the quality control of tyrosinase. J. Invest. Dermatol. 127, 751 (2007). 

  5. Solano, F., Briganti, S., Picardo, M. and Ghanem, G. : Hypopigmenting agents: an updated review on biological, chemical and clinical aspects. Pigment. Cell Res. 19, 550 (2006). 

  6. Hearing, V. J. : Biochemical control of melanogenesis and melanosomal organization.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4, 24 (1999). 

  7. del Marmol, V. and Beermann, F. : Tyrosinase and related proteins in mammalian pigmentation. FEBS Lett. 381, 165 (1996). 

  8. Mallick, S., Singh, S. K., Sarkar, C., Saha, B. and Bhadra, R. : Human placental lipid induces melanogenesis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its related proteins in vitro. Pigment. Cell Res. 18, 25 (2005). 

  9. 김민정, 박상동, 이아람, 김경호, 장준혁, 김갑성 : 쥐의 Collagen 유발 관절염의 활액에서 단백분해효소의 활성 및 유리기 손상에 미치는 봉독약침의 억제효과. 대한침구학회지 19, 161 (2002). 

  10. Kim, H. W., Kwon, Y. B., Ham, T. W., Roh, D. H., Yoon, S. Y., Lee, H. J., Han, H. J., Yang, I. S., Beitz, A. J. and Lee, J. H. : Acupoint stimulation using bee venom attenuates formalininduced pain behavior and spinal cord fos expression in rats. J. Vet. Med. Sci. 65, 349 (2003). 

  11. Piek, T. : Venoms of the Hymenoptera. Academic Press, London (1986) 

  12. Habermann, E. and Reiz, K. G. : On the biochemistry of bee venom pep-tides, melittin and apamin. Biochemistry 343, 192 (1965). 

  13. Fennell, J. F., Shipman, W. H. and Cole, L. J. : Antibacterial action of a bee venom fraction (melittin) against a pen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nd other microorganisms. Res. Dev. Tech. Rep. 5, 1 (1967). 

  14. Curcio-Vonlanthen, V., Schneider, C. H., Frutig, K., Blaser, K. and Kalbacher, H. : Molecular parameters in melittin immunogenicity. J. Pept Sci. 3, 267 (1997). 

  15. Rudenko, S. V. and Nipot, E. E. : Modula-tion of melittininduced hemolysis of erythocytes. Biokhimiia. 61, 2116 (1996). 

  16. Han, S. M., Lee, K. G., Yeo, J. H., Kweon, H. Y., Woo, S. O., Lee, I. K., Lee, M. L., Lee, M. Y., Baek, H. J. and Bae, K. H. : Studies on the antimicorbial effect of collected bee venom using electric shock method (I). Korean J. Apiculture 20, 53 (2005). 

  17. Han, S. M., Lee, K. G., Yeo, J. H., Baek, H. J. and Park, K. K. :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oneybee (Apis mellifera) venom against acne-inducing bacteria. J. Med. Plant. Res. 4, 459 (2010). 

  18. Han, S. M., Lee, K. G., Yeo, J. H., Kim, W. T. and Park, K. K. : Biological effects of treatment of an animal skin wound with honeybee (Apis mellifera L.) venom. J. Plast. Reconstr. Aesthet. Surg. 64, e67 (2011). 

  19. 한상미, 이광길, 여주홍, 우순옥, 권해용 : 봉독의 간이 정제 방법, 대한민국특허 10-075881 (2007). 

  20. Chung, M. J., Walker, P. A., Brown, R. W. and Hogstrand, C. : ZINC-mediated gene expression offers protection against $H_{2}O_{2}$ -induced cytotoxicity. Toxicol. Appl. Pharmacol. 205, 225 (2005). 

  21. Hosoi, J., Abe, E., Suda, T. and Kuroki, T. :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by 1 alpha, 25-dihydroxyvit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 45, 1474 (1985). 

  22. Hodgkinson, C. A., Moore, K. J., Nakayama, A., Steingrimsson, E., Copeland, N. G., Jenkins, N. A. and Arnheiter, H. : Mutations at the mouse microphthalmia locus are associated with defects in a gene encoding a novel basic-helix-loop-helixzipper protein. Cell. 74, 395 (1993). 

  23. Lowings, P., Yavuzer, U. and Goding, C. R. : Positive and negative elements regulate a melanocyte-specific promoter. Mol. Cell. Biol. 12, 3653 (1992). 

  24. Yavuzer, U., Keenan, E., Lowings, P., Vachtenheim, J., Currie, G. and Goding, C. R. : The Microphthalmia gene product interacts with the retinoblastoma protein in vitro and is a target for deregulation of melanocyte-specific transcription. Oncogene. 10, 123 (1995). 

  25. Bertolotto, C. , Abbe, P., Hemesath, T. J., Bille, K., Fisher, D. E., Ortonne, J. P. and Ballotti, R. : Microphthalmia gene product as a signal transducer in cAMP-induced differentiation of melanocytes. J. Cell Biol. 142, 827 (1998). 

  26. Bertolotto, C., Busca, R., Abbe, P., Bille, K., Aberdam, E., Ortonne, J. P. and Ballotti, R. : Different cis-acting elements ar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TRP1 and TRP2 promoter activities by cyclic AMP: pivotal role of M boxes (GTCATGTGCT) and of microphthalmia. Mol. Cell Biol. 18, 694 (1998). 

  27. Roesler, W. J., Park, E. A. and McFie, P. J. : Characterization of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as a cyclic AMPresponsive nuclear regulator. J. Biol. Chem. 273, 14950 (1998). 

  28. Karin, M. : Signal transduction from the cell surface to the nucleus through the phosphorylation of transcription factors. Curr. Opin. Cell Biol. 6, 415 (1994). 

  29. Oh, M. J., Hamid, M. A., Ngadiran, S., Seo, Y. K., Sarmidi, M. R. and Park, C. S. : Ficus deltoidea (Mas cotek) extract exerted anti-melanogenic activity by preventing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and by suppressing tyrosinase gene expression in B16F1 melanoma cells. Arch. Dermatol. Res. 303, 161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