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포늪의 미소갑각류 군집 동태: 강우량 및 이화학적 요인이 미소갑각류 군집 분포에 미치는 영향
Microcrustacean Community Dynamics in Upo Wetlands: Impact of Rainfall and Physiochemical Factor on Microcrustacean Community 원문보기

한국하천호수학회지=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5 no.3, 2012년, pp.340 - 346  

최종윤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성기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나긍환 (순천대학교 환경교육과) ,  정광석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현우 (순천대학교 환경교육과) ,  김태규 (국립환경과학원) ,  주기재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소갑각류 군집과 이화학적 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우포늪에서 2001년부터 2010년 동안 2주 간격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시간 동안, 총 10속의 지각류가 동정되었으며, 서식 형태에 따라 구분된 부착성 지각류(Alona, Camptocercus, Simocephalus, Diaphanosoma, Sida)와 부유성 지각류(Bosmina, Ceriodaphnia, Daphnia, Moina, Scapholeberis)의 연 출현이 매우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유성 지각류는 봄과 가을 시기에 높은 밀도로 나타났으며, 부착성 지각류는 여름 시기에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보였다. 요각류 성체와 유생 또한 부착성 지각류와 유사한 계절적 분포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유성 지각류는 강우량과 이화학적 요인과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부착성 지각류는 이화학적 요인 중 수온과 뚜렷한 상관성을 보였다(n=120, p<0.01). 특히 부착성 지각류 중 Chydoridae는 강우량 및 수온과 양의 상관관계를(n=120, p<0.01), 용존산소와 전기전도도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n=120, p<0.05). 요각류 군집은 강우량(n=120, p<0.01) 및 수온(n=120, p<0.05)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우포에서 강우량은 미소갑각류 군집 분포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dynamics of the microcrustacean community, including planktonic or epiphytic cladocerans and copepods, were studied at Upo Wetlands from 2001 to 2010. Among 10 identified cladoceran taxon, epiphytic cladocerans (Alona, Camptocercus, Simocepha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미소갑각류는 어류나 무척추동물의 주요 먹이원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미소갑각류와 강우 및 이화학적 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습지의 생물상 예측이나 종다양성 확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생식물이 잘 발달되어 있고 집수역의 강우나 강의 범람이 매우 중요한 우포늪에서 출현하는 미소갑각류 군집에 대해서 10년 동안(2001~2010)의 동태를 파악하고, 강우 및 이화학적 요인이 이들의 분포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포늪에 우점하고 있는 식생은 무엇인가? 5 m로 4~10월에 걸쳐 수표면에 수생식물이 우점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연구의 조사 지점은 개구리밥, 마름, 자라풀, 검정말, 붕어마름 등의 부유 및 침수식물이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자라풀과 검정말이 높은 비율로 우점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강우가 집중되는 계절이 언제인가? 강우량은 생태계의 주요 교란 요소로 작용하며, 특히 미소갑각류와 같은 물의 흐름에 민감한 생물 군집에게 뚜렷한 영향을 미친다(Campbell, 2002) 강의 경우 강우 발생 시 급격한 유량 발생과 함께 강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군집에게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만, 습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강우에 대한 영향이 적기 때문에 수생식물 및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기에 적당하다(Denny, 1994). 우리나라는 여름에 강우가 집중되며, 그 외 계절에는 상대적으로 낮아 뚜렷한 계절성을 나타낸다(Jeong et al., 2007).
수표면에 우점한 부유식물의 특징은 무엇인가? , 2002), 강우의 정도나 습지 특성에 따라 상이한 범위를 갖는다(Brinson, 1993). 특히 습지에 서식하는 수생식물은 이화학적 요인 변화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는데, 수표면에 우점한 부유식물의 경우 대기와 수체 간에 산소 유입을 차단하여 용존산소량을 감소시키며, 각종 이온들을 흡수하여 전기전도도를 낮게 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강우와 이화학적 요인은 미소갑각류의 발생과 번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들의 분포를 결정 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geler, D.G., M. Alvarez-Cobelas, S. Sanchez-Carrillo and M.A. Rodrigo. 2002. Assessment of exotic fish impacts on water quality and zooplankton in a degraded semiarid floodplain wetland. Aquatic Sciences 64: 76-86. 

  2. Arcifa, M.S., T.G. Northcote and O. Froehlich. 1986. Fishzooplankton interactions and their effects on water quality of a tropical Brazilian reservoir. Hydrobiologia 139: 49-58. 

  3. Balcer, M.D., N.L. Korda and S.I. Dodson. 1984. Zooplankton of the Great Lakes: A guide to the identification and ecology of the common crustacean specie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Wisconsin. 

  4. Beaver, J.R., A.M. Miller-Lemke and J.K. Acton. 1998. Midsummer zooplankton assemblages in four types of wetlands in the Upper Midwest, USA. Hydrobiologia 380: 209-220. 

  5. Beklioglu, M., A.G. Gozen, F. Yildirim, P. Zorlu and S. Onde. 2008. Impact of food concentration on diel vertical migration behaviour of Daphnia pulex under fish predation risk. Hydrobiologia 614: 321-327. 

  6. Bertrand, M., G. Cabana, D.J. Marcogliese and P. Magnan. 2011. Estimating the feeding range of a mobile consumer in a river-flood plain system using delta (13)C gradients and parasites. Journal of Animal Ecology 80: 1313-1323. 

  7. Brinson, M.M. 1993. Changes in the functioning of wetlands along environmental gradients. Wetlands 13: 65-74. 

  8. Burks, R.L., E. Jeppesen and D.M. Lodge. 2001. Littoral zone structures as Daphnia refugia against fish predators. Limnology and Oceanography 46: 230-237. 

  9. Buskey, E.J., P.H. Lenz and D.K. Hartline. 2011. Sensory perception, neurobiology and behavioral adaptations for predator avoidance in planktonic copepods. Adaptive Behavior 20: 3-9. 

  10. Campbell, C.E. 2002. Rainfall events and downstream drift of microcrustacean zooplankton in a Newfoundland boreal stream. Canadian Journal of Zoology-Revue Canadienne De Zoologie 80: 997-1003. 

  11. Cattaneo, A., G. Galanti, S. Gentinetta and S. Romo. 1998. Epiphytic algae and macroinvertebrates on submerged and floating-leaved macrophytes in an Italian lake. Freshwater Biology 39: 725-740. 

  12. De Eyto, E. and K. Irvine. 2001. The response of three Chydorid species to temperature, pH and food. Hydrobiologia 459: 165-172. 

  13. Denny, P. 1994. Biodiversity and wetlands. Wetlands Ecology and Management 3: 55-61. 

  14. Depaggi, S.J. 1981. Temprorary variations and horizontal distribution of the zooplankton of some secondary rivers of the middle Parana river. Studies on Neotropical Fauna and Environment 16: 185-199. 

  15. Diehl, S. 1992. Fish predation and benthic community structure: the role of omnivory and habitat complexity. Ecology 73: 1646-1661. 

  16. Dini, M.L. and S.R. Carpenter. 1992. Fish predators, food availability and diel vertical migration in Daphnia.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14: 359-377. 

  17. Gillooly, J.F. 2000. Effect of body size and temperature on generation time in zooplankton.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22: 241-251. 

  18. Goulden, C. 1971. Environmental control of the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the Chydorid Cladocera. Limnology and Oceanography 16: 331-333. 

  19. Havel, J.E., K.A. Medley, K.D. Dickerson, T.R. Angradi, D.W. Bolgrien, P.A. Bukaveckas and T.M. Jicha. 2009. Effect of main-stem dams on zooplankton communities of the Missouri River (USA). Hydrobiologia 628: 121-135. 

  20. Horppila, J., J. Ruuhijarvi, M. Rask, C. Karppinen, K. Nyberg and M. Olin. 2000. Seasonal changes in the diets and relative abundances of perch and roach in the littoral and pelagic zones of a large lake. Journal of Fish Biology 56: 51-72. 

  21. Jeong, K.S., D.K. Kim and G.J. Joo. 2007. Delayed influence of dam storage and discharge on the determination of seasonal proliferations of Microcystis aeruginosa and Stephanodiscus hantzschii in a regulated river system of the lower Nakdong River (South Korea). Water Research 41: 1269-1279. 

  22. Kim, D.K., H.W. Kim, G.Y. Kim, Y.S. Kim, M.C. Kim, K.S. Jeong and G.J. Joo. 2005. Prolonged turbidity of the lower Nakdong River in 2003. Korea Journal of Limnology 38: 44-53. 

  23. Korovchinsky, N. 1981. Taxonomic and faunistic revision of Australian Diaphanosoma (Cladocera: Sididae).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32: 813-831. 

  24. Maruyama, A., Y. Yamada, M. Yuma and B. Rusuwa. 2001. Stable nitrogen and carbon isotope ratios as migration tracers of a landlocked goby, Rhinogobius sp (the orange form), in the Lake Biwa water system. Ecological Research 16: 697-703. 

  25. Mizuno, T. and E. Takahashi. 1999. An illustrated guide to freshwater zooplankton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26. Nicolle, A., L.A. Hansson and C. Bronmark. 2010. Habitat structure and juvenile fish ontogeny shape zooplankton spring dynamics. Hydrobiologia 652: 119-125. 

  27. Nurminen, L., J. Horppila and Z. Pekcan-hekim. 2007. Effect of light and predator abundance on the habitat choice of plant-attached zooplankton. Freshwater Biology 52: 539-548. 

  28. Redfield, G.W. 1980. The effect of zooplankton on phytoplankton on phytoplankton productivity in the epilimnion of a subalpone lake. Hydrobiologia 70: 217-224. 

  29. Sagrario, M.D.G. and E. Balseiro. 2010. The role of macroinvertebrates and fish in regulating the provision by macrophytes of refugia for zooplankton in a warm temperate shallow lake. Freshwater Biology 55: 2153-2166. 

  30. Sakuma, M., T. Hanazato, A. Saji and R. Nakazato. 2004. Migration from plant to plant: an important factor controlling densities of the epiphytic cladoceran Alona (Chydoridae, Anomopoda) on lake vegetation. Limnology 5: 17-23. 

  31. Ueda, H., A. Terao, M. Tanaka, M. Hibino and M.S. Islam. 2004. How can river-estuarine planktonic copepods survive river floods? Ecological Research 19: 625-632. 

  32. Vandekerkhove, J., S. Declerck, L. Brendonck, J.M. Conde-Porcuna, E. Jeppesen and L. De Meester. 2005. Hatching of cladoceran resting eggs: temperature and photoperiod. Freshwater Biology 50: 96-1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