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을 위한 주택개조 사업의 특성과 주택개조가 거주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Housing Renovation for the Disabled and the Effects of Housing Renovation on Their Housing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3 no.5, 2012년, pp.9 - 18  

이소영 (중앙대학교 디자인학부 실내환경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quality of life and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government has provided financial supports for housing renovation and improvement projects for the disabled. However, there is a limited budget which should be properly distributed for a number of disabled families. Therefore, it is i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사내용은 주거환경 공간 내에서 불편한 요소, 개조전 주택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주거환경의 기본적 특성, 개조 후 만족도 조사, 추가 개조 필요성, 거주자 일반적 사항과 개조지원 금액으로 구성되었다. Francescat (2002)가 제시한 바처럼 개조전후의 주거만족도 변화를 비교하여 장애인을 위한 주택개조가 주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개조항목과 개조비용 등의 제반 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만족도값의 차이는 개조 전후 만족도 평균값을 비교하였으며 어떤 요인이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기위해서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국내에서는 이루어진 장애인 주거 개선 사업은 장애인 복지법 제27조(주택의 보급)에 의하여 생활이 어려운 농어촌 저소득 재가장애인의 주택 개·보수비 지원을 통해 가정 내 생활 및 이동에 불편이 없도록 주거용 편의시설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개조과정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에 대하여 가장 빈번한 응답은 추가적인 개조가 필요하며 개조공사금액 부족하다는 것이였다. 또한 개조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 전담 인원의 부재로 개조 공사 중 공사 담당자와 실시공자들의 내용전달이 제대로 안되거나 이로 인한 공사내용(품질)떨어짐을 언급하였고 연락처를 제대로 제공받지 못한 점을 지적하였다. 추가적인 개조 필요성외에 개조를 지원 받는 과정에서 나타난 요구사항을 살펴보면, 신청 후, 공사하기까지 기간이 길거나 공사기간이 길다는 지적, 시공업체 전문성 부족하다는 언급이 있었다.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주거 개선을 위하여 실행된 장애인 주택개조의 특성을 살펴보고 장애인 주택개조가 주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추후 장애인 주거를 개선하는데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 전반적인 주거 평가의 한 방법으로 주거만족도를 조사한 경우,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조사를 하는 방법이 주로 행하여져 왔으며 사전 사후 만족도 차이를 조사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Francescat(2002)의 주거만족도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사전사후 만족도 차이를 비교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을 위한 주택개조사업의 특성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장애인을 위한 주택개조가 이루어진 거주자에 한하여 개조 전후 만족도 변화를 조사하고 특히 개조에 소요된 각 항목별 비용이 거주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행한 정책은 무엇인가?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최소한 삶의 질을 보장하는 거주환경을 확보하고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보건복지부에서는 2006년부터 농어촌의 장애인의 거주 주택의 개조를 지원1)하였으며, 서울특별시에서도 2009년 및 2010년도에 서울거주 장애인주택을 개조 지원2)하는 등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가구 개조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장애인을 위한 거주주택의 개조를 위한 지원은 공공의 제한된 범위 내에서 배분되어야 하고 경제적인 제약 안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항목별개조 비용과 요구일치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제한된 공공의 지원 범위내에서 거주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항목별개조 비용과 요구일치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거주후 만족도를 결정짓는 요인으로는 생활환경 개선 비용과 요구일치도로 생활환경개선에 소요된 비용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았으며 불편한 곳을 개조하였을 경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한된 개조 비용내에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거주자가 불편함을 호소하고 개조하기를 원하는 부분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개조하여 주는 것이 우선적으로 중요함을 보여준다.
장애인을 위한 거주주택의 개조를 위한 지원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최소한 삶의 질을 보장하는 거주환경을 확보하고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보건복지부에서는 2006년부터 농어촌의 장애인의 거주 주택의 개조를 지원1)하였으며, 서울특별시에서도 2009년 및 2010년도에 서울거주 장애인주택을 개조 지원2)하는 등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가구 개조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장애인을 위한 거주주택의 개조를 위한 지원은 공공의 제한된 범위 내에서 배분되어야 하고 경제적인 제약 안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공공의 지원이 이루어지는 개조사업의 경우, 가능한 한적은 비용으로 높은 이용편의를 확보할 수 있는 주택개조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eresford, B. & Oldman, C. (2002). Housing Matters: National Evidence Relating to Housing and Disabled Children. The Policy Press, Bristol. 

  2. Dunn, P.A. (1984). The HOMES Research Project: the need for housing adaptations in Massachusetts, Boston, MA. Adaptative Environment Center. 

  3. Francescat, G. (2002). Residential satisfaction research: The case for and against, In Aragones, J, Francescato, G, & Garling, T. (eds) Residential environments, choice, satisfaction and behavior. 15-34. 

  4. Heywood, F. (2004). Understanding needs: A starting point for quality. Housing Studies, 19(5), 709-726. 

  5. Hong, K. (2009). A study on residents' satisfaction with multi-family public rental housing program in Daegu.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1), 71-82. 

  6. Ji, N., Lim, B., & Lee, K. (2011).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Housing Movement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Focused on Daejeo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4(3), 151-172. 

  7. Ko, P., & Kim, H. (2011). A study on evaluation of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fter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project of Jeonju Hanok Village. Proceedings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1-17. 

  8. KODDI (2009). Report for Housing renovation projects for the disabled in rural communities. Seoul: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9. Kim, M., & Oh, J. (2008). Housing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Dormitory - Focusing on the Gwangju & Chonnam Area.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6), 145-156. 

  10. Kim, S. & Park, C. (2012).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resident satisfaction in public rental housing.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8(2), 79-99. 

  11. Kim, Y., & Yoo, B. (2012). Effec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the Sense of Community on Residential Mobility Decision of Urban Resident- Focused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8(6), 219-226. 

  12. Lee, C. (2012). Residential satisfaction on married family by the type of housing tenure and 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3(1), 9-17. 

  13. Minami, K. (2007). A Post-Occupancy Evaluation of Layout Changes Made to KEP Adaptable Housing. JAABE 6(2), 245-250. 

  14. Jang, H. (2008).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built environment evaluation by using the- Focused on evaluation by sun groups classified resident' characteristics on middle and small size apartment in Seou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35, 11-21. 

  15. Jang, H. (2009)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Built Environment Evaluation by Using Them - Focused on Evaluation by Sub-groups Classified Residents' Characteristics on Middle and Small Size Apartment in Seoul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4(5), 11-22. 

  16. Bae, J., Ahn, B., & Kim, S. (2004). A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Super High-Rise Apartmen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0(9), 127-13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