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고등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Predictors of Multi Cultural Competence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10, 2012년, pp.307 - 319  

박근수 (중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신희정 (중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역량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다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다차원적인 접근을 모색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 역량과 관련 변수들의 특성과 변인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민정체성, 가치지향성, 문화적 민감성 정도에 따라 다문화 역량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각 단계마다 새로운 변수군을 투입하여 각 모델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변수들의 영향력, 유의미성, 모델 전체의 설명력 변화를 통하여 다문화 역량에 대한 국민정체성, 가지지향성, 문화적 민감성에 대한 영향을 검증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ether national identity, value orientation, cultural sensitivity influence Multi cultural competence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significant result out of this research was that Multi cultural competence were different by its concerned variables. The 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다문화 역량의 특성을 고찰하고, 이러한 다문화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의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다문화 역량과 관련된 변인들의 특성을 고찰하고, 다문화 역량과 관련변인들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사회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의 다문화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영역별로 구성하여 특성을 기술하고, 각 변수에 따라 다문화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각 변수들이 다문화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 각 변수들과 다문화 역량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로써 실증적 근거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다문화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사회적 논의의 기초 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서 우리나라에서 다문화 역량과 관련하여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요인들과 다문화 역량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변수들은 개인적 요인으로서 다양한 문화에 대한 접촉 경험 및 교육 요인 뿐 아니라 정치 사회적 요인으로서 시민권과 같은 정치적 지위와 관련된 국민정체성 요인과 사회에 대한 가치관으로서 가치지향성 요인, 그리고 다문화 상황에 대한 반응성과 관련하여 문화적 민감성 요인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 역량은 서비스 영역의 전문가에게만 요구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우리나라의 사례는? 하지만 다문화 역량은 서비스 영역의 전문가에게만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만 보아도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결혼의 증가, 외국인 노동자의 증가 등으로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이 복잡해지고 있고, 세계화의 경향에 따라 국제적 관계를 이해하고, 국제적 이슈에 대응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문화에 적응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다문화 역량이란? 다문화 역량이란 주류 문화와 차별성을 갖는 소수 집단의 독특한 욕구를 이해하고, 이에 반응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동시에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욕구에 반응할 수 있는 일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7]. 또한 다문화 역량은 다양한 문화에 내재해 있는 특수성을 인정함으로써 소수문화가 가지고 있는 부정적 시각 자체로부터의 전환을 의미하는 문화적 강점 관점으로 이해되기도 한다[8].
다문화 역량과 관련 변수들의 특성과 변인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이를 위하여 다문화 역량과 관련 변수들의 특성과 변인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민정체성, 가치지향성, 문화적 민감성 정도에 따라 다문화 역량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각 단계마다 새로운 변수군을 투입하여 각 모델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변수들의 영향력, 유의미성, 모델 전체의 설명력 변화를 통하여 다문화 역량에 대한 국민정체성, 가지지향성, 문화적 민감성에 대한 영향을 검증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최현미, 이혜경, 신은주, 최승희, 김연희, 송성실, 다문화가족복지론, 평택대 다문화가족센터, 2010. 

  2. A. Giddens, "A Changing World," In: Giddens, Sociology 4th edition, Bristol: Polity Press. 2003. 

  3.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2012 

  4. http://www.index.go.kr/egams/index.jsp 

  5. 김홍운, 김두정, "다문화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논총, 제29권, 제2호, pp.41-64, 2008. 

  6. 이재분, "중도입국 청소년 현황 및 교육지원 방안", 국회다문화가족정책연구 포럼 자료집, pp.21 -36, 2011. 

  7. J. R. Betancout, A. R. Green, J. E. Carrillo, and O. Ananeh-Fierempong, "Definding Cultural Co mpetence: A Practical Framework for Addressin g Racial/Ethnic Disparities in Health and Health Care," Public Health Reports, Vol.118, No.4, pp.2 93-302. 2003. 

  8. D. Lum, "The Four Skills of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A Process for Understanding and Practice, second edition, by Mikel Hogan-Garci a," Journal of Ethnic and Cultural Diversity in S ocial Work, Vol.13, No.1, p.109, 2004. 

  9. 임주용, 오윤자, "청소년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 대한가정학회, 제48권, 제10호, pp.143-157, 2010. 

  10. 박순희, 이주희, 김은진,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6호, pp.123-145, 2011. 

  11. Y. S. Kim-Godwin, P. Clarke, and L. Barton, "A model for the delivery of culturally competent community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35, No.6, pp.918-925, 2001. 

  12. J. Capell, G. Veenstra, and E. Deanr, "Cultural Competence in Healthcare :Critical Analysis of t he Construct, Its Assessment and Implications," The Journal of Theory Construction & Testing, Vol.11, No.1, pp.30-36, 2007. 

  13. 김민경,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관한 연구: 문화적 인식, 지식, 기술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9권, 제6호, pp.945-965, 2010. 

  14. D. W. Sue, Multidimensional Fecets of Cultural Competence,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 29, pp.790 -821, 2001. 

  15. K, M. Sowers-Hong and P. Sandau-Beckler, "Educating Fot Cultural Competence In The Generalist Curriculum,"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al Work, Vol.4, No.3, pp.37-56, 1996. 

  16. H. N. Weaver, "Indigenous People in a Multicultural Society : Unique Issues for Human Services," Social Work, Vol.43, No.3, pp.203-211, 1998. 

  17. M. S. Cronin, Enhancing The Cultural Compete nce of Social Workers, Yeshiva University. 2005 

  18. P. K. Zander, "Cultural Competence : Analyzing The Construct," The Journal of Theory Constru ction & Testing, Vol.11, No.2, pp.50-54, 2007. 

  19. 최연선, 최혜지, 최원희, "사회복지실천 인력의 문화적 유능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242-24 7, 2008. 

  20. 민선영,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학생연구논총, 제1권, pp.1-28, 2008. 

  21. 김희자, "외국인에 대한 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 한국사회, 제9권, 제1호, pp.255-282, 2008. 

  22. 정미경, 주한 외국유학생 현황 및 다문화 인식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보고서, 2008. 

  23. 서종남, "청소년의 다문화 인식을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연구", 교육문화연구, 제18권, 제2호, pp.83-110, 2012. 

  24. 인태정, "다문화사회 지향을 위한 인종의 사회적 거리감과 문화적 다양성 태도 연구", 국제지역연구, 제13권, 제2호, pp.339-370, 2009. 

  25. 김정화, 박신혜, 조상미, "한국대항생의 세계시민의식과 문화다양성 태도 영향요인",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4호, pp.183-210, 2010. 

  26. 박혜숙, 원미순, "대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과 관련변인 탐색",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2호, pp. 303-325, 2010. 

  27. 송미영, "다문화수용성의 원인분석", 민족연구, 제41권, pp.74-97, 2010. 

  28. 최성보, 임지은, 주현준,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구조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4호, pp.305-330, 2011. 

  29. W. Kymlicka, Multicultural Citizenship; A Libe ral Theory Of Minority Right, Oxford : Clarend on Press. 1995. 

  30. 윤상우, 김상돈, "사회적 가치관이 한국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36권, 제1호, pp.91-117, 2010. 

  31. 임도경, 김창숙,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및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거리감, 외국인 이미지, 한국인 인정조건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19권, 제1호, pp.5-34, 2011. 

  32. 황정미, 김이선, 이명진, 최현, 이동주,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07-119-02,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33. 양계민, "국내소수집단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3권, 제2호, pp.59-79, 2009. 

  34. 김경은, 윤노아, "청소년의 국민정체성, 통일,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인식", 사회과 교육, 제51권, 제1호, pp.123-140, 2012 

  35. 김옥순, "청소년의 문화간 역량 연구: 경기도 거주 청소년의 문화지능 검사 결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9호, pp.151-172, 2010. 

  36. 김다원, "청소년 글로벌 리더십 교육의 문제점과 방향 논의: 글로벌 리더십 역량 및 교육 경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7권, 제4 호, pp.477-492, 2011 

  37. 민성혜, 이민영,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문화적 인식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1권, 제1호, pp.183-210, 2009. 

  38. M. C. Cuevas, Cultural Competence, 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s of Social Work Students,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02. 

  39. S. H. Schwartz, "Universals in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values: Theoritical advances and empirical texts in 20 countrie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25, pp.1-65, 1992. 

  40. 김혜숙,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지는 가치가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제21권, 제4호, pp.91-104, 2007. 

  41. K. H. Cushner, The Use of a Culture-General Assimilator in the Orientation of Adolescent Exchange Students living in New Zealand, 1987. 

  42. 최승희, 김성희, 임명희, 문화적 민감성 척도개발,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연구보고서, 2008. 

  43. Kutner, Nachtsheim, Neter, Applied Linear Regression Models 4th edition, McGraw-Hill Irwin. 2004. 

  44. 이윤정, "다문화가족지원 법률과 정책, 제도에 기반한 사업 및 프로그램의 방향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5호, pp.370-378, 2010. 

  45. 황갑진, "학교 다문화교육 정책과 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 사회과교육연구, 제18권, 제4호, pp. 151-167, 2011. 

  46. 김길현, 하규수,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이 결혼 만족도 및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256-271,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