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영양학 전공 대학생들의 다양한 식문화에 대한 지식 및 다문화 태도와 기술
Multicultural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Food and Nutri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8, 2013년, pp.1325 - 1334  

이경은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시대에 식품영양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다문화 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향후 식품영양학과 교육과정 개발에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에서 식품영양학을 전공하는 45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절반 정도가 교양과목 혹은 전공과목으로 식문화 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었고, 영양사와 관련된 다양한 식문화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 전통 식문화 및 다른 나라의 식문화에 대한 지식은 높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 대중화된 베트남과 이탈리아 음식문화에 대한 지식은 매우 낮게 나타나, 음식을 자주 먹는 것과 식문화에 대한 지식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양사에게 요구되는 다문화기술은 요인분석 결과 전문적 기술, 조리 기술, 의사소통 기술로 구분되었고, 학생들은 스스로의 전문적 기술을 가장 높게 평가한 반면 의사소통 기술을 가장 낮게 평가하여 의사소통 기술의 향상이 요구되었다. 다문화 태도와 기술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고, 다문화 태도와 지식은 식문화 관련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다문화 기술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다문화 역량을 기르는데 장애요인으로 학생들에게 인식되는 요인은 비용, 시간 부족, 경험 및 학습 기회 부족이었다. 학생들의 다문화 태도는 다문화 기술과 지식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 식품영양학과 교과과정에서 학생들의 다문화 태도 및 지식, 기술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영양전문가에게 요구되는 다문화 태도와 기술, 식문화 지식은 식문화 수업 등 특정 교과목을 통해서만 학습될 수 없다. 의사소통, 영양판정, 영양교육, 단체급식 등 다양한 전공 교과목에서 학생들이 다문화 태도와 지식, 기술을 학습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이 포함된다면 학생들의 전문적 다문화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간 및 기회 부족, 비용 등 학생들의 다문화역량학습의 장애요인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assess the multicultural competencies and to identify potential barriers toward improving multicultural competencies of food and nutrition majors at the university level. A total of 500 students were surveyed and 457 response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The mul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시대에 식품영양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다문화 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향후 식품영양학과 교육과정 개발에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에서 식품영양학을 전공하는 45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들 연구의 주요 주제는 외국인들 특히 결혼이민자들의 한국 식생활 적응이고, 이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양사의 다문화 역량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식품영양 전문가인 식품영양학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시대의 식품영양전문가에게 요구되는 다문화 역량을 조사해 보는 것으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식품영양학과에서 학생들의 다문화 역량을 향상시키는 교육과정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가 빠른 속도로 다문화가 진행되는 이유는? 우리나라는 최근 외국인 근로자와 해외 유학생, 결혼 이민자가 증가하면서 빠른 속도로 다문화가 진행되고 있다. 국제 교류가 증가하면서 지난 2012년 국내 체류 외국인은 146만 3천명에 이르렀고, 등록 외국인은 2011년 982,461명으로 지난 1992년 65,673명에 비해 15배나 많아졌다(1).
거주 환경이 변화될 때 주류 식문화에 적응하는 문화 변용이 일어나기도 하지만, 고유의 식문화를 유지하기도 하는데 이에 따라 우리나라 결혼 이주 여성들이 겪는 식생활의 어려움은? 우리나라 결혼 이주 여성들은 한국 음식의 맛, 생소한 요리법과 식재료, 식습관, 용어 이해의 어려움, 경제적 제약 등으로 식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5,6). 거주 환경이 변화될 때 주류 식문화에 적응하는 문화 변용(acculturation)이 일어나기도 하지만, 고유의 식문화를 유지하기도 한다(7).
국제 교류가 증가하면서 지난 2012년 국내 체류 외국인은 몇 명인가? 우리나라는 최근 외국인 근로자와 해외 유학생, 결혼 이민자가 증가하면서 빠른 속도로 다문화가 진행되고 있다. 국제 교류가 증가하면서 지난 2012년 국내 체류 외국인은 146만 3천명에 이르렀고, 등록 외국인은 2011년 982,461명으로 지난 1992년 65,673명에 비해 15배나 많아졌다(1). 국제결혼도 증가하여 2011년 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은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tatistics Korea. 2012. 2012 Foreigner Labour Force Survey. Press release (2012.11.22). Korea. 

  2. Statistics Korea. 2011. 2011 Multicultural Population Statistics. Press release (2011.11.21). Korea. 

  3.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12. 2012 Local government foreign citizens statistics. Korea.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The number of foreigner patients increased to be 81,789 in 2010. Press release(2011.5.27). Korea. 

  5. Kang IJ. 2010. A survey on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life of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Korea. 

  6. Kim JE, Kim JM, Seo SH. 2011.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multicultur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immigrants and nutrition education professionals. Korean J Nutr 44: 312-325. 

  7. Kittler PG, Sucher KP. 2004. Food and culture. 4th ed. Thomson/Wadsworth Publishing, Belmont, CA, USA. p 1-13. 

  8. Lee J. 2012. The factors for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807-815. 

  9. Kim JM, Lee NH. 2009. Analysis of the dietary life of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Daegu area. J Korean Diet Assoc 15: 405-418. 

  10. Han YH, Shin WS, Kim JN. 2011. Influential factor on Korean dietary life and eating behavior of female marriage migrants. Comparative Korean Studies 19: 115-159. 

  11. Kim DS. 2011. Foreign employee's dining behaviors and analysis of importance/satisfaction level toward the foodservice attribute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2. Caballero AE. 2006. Building cultural bridges: understanding ethnicity to improve acceptance of insulin therap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Ethn Dis 16: 559-568. 

  13. Stein K. 2010. Moving cultural competency from abstract to act. J Am Diet Assoc 110: 180-184. 

  14. Stein K. 2004. Cultural literacy in health care. J Am Diet Assoc 104: 1657-1659. 

  15.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01. Building Our Future: Toolkit for Mentoring Diverse Students for Dietetics Careers. www.eatright.org/ACEND/content.aspx?id6442450944 (accessed Aug 2011). 

  16. National Center for Cultural Competence. Policy Brief 1: Rationale for cultural competence in primary care. Georgetown University, Washington, DC, USA. gucchd.georgetown.edu/nccc/documents/policy_brief_1_2003.pdf (accessed Aug 2011). 

  17. Curry K. 2000. Multicultural competence in dietetics and nutrition. J Am Diet Assoc 100: 1142. 

  18. Campinha-Bacote J. 2002. The process of cultural competency in the delivery of healthcare services: a model of care. J Transacultural Nurs 13: 181-194. 

  19. Balcazar FE, Suarez-Balcazar Y, Taylor-Ritzler T. 2009. Cultural competence: development of a conceptual framework. Disability Rehab 31: 1153-1160. 

  20. Organista KC. 2009. New practice model for Latinos in need of social work service. Soc Work 54: 297-305. 

  21. Bae J. 2010. Evaluating and facilitat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using DMIS and IDI. J Children's Media Studies 9: 143-166. 

  22. Commission on Accreditation for Dietetics Education. Commission on Accreditation for Dietetics Education 2008 Eligibility Requirements and Accreditation Standards for Coordinated Program in Dietetics. www.eatright.org/WorkArea/linkit.aspx?LinkIdentifierid&ItemID11434 (accessed May 2011). 

  23. Jeong M, Jung E, Kim A, Joo N. 2012. Nutrition knowledge and need for a dietary education program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in Gyeongbuk region. J Korean Diet Assoc 18: 30-42. 

  24. Sargent SE, Sedlak CA, Martsolf DS. 2005. Cultur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and faculty. Nurse Educ Today 25: 214-221. 

  25. McArthur LH, Greathouse KR, Smith ER, Holbert D. 2011. A qualitative assessment of the cultural knowledge, attitudes, and experiences of junior and senior dietetic students. J Nutr Educ & Behav 43: 464-472. 

  26. Harris-Davis E, Haughton B. 2000. Model for multicultural nutrition counseling competences. J Am Diet Assoc 100:1178-1185. 

  27. Kardong-Edgren S, Bond ML, Schlosser S, Cason C, Jones ME, Warr R, Strunk P. 2005. Cultural attitudes, knowledge, and skills of nursing faculty toward patients from four diverse cultures. J Professional Nurs 21: 175-182. 

  28. Office of Minority Health,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2001. National Standards on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Appropriate Services in Health Care (Executive Summary). www.minorityhealth.hhs.gov/assets/pdf/checked/executive.pdf (accessed July 2011). 

  29. Knoblock-Hahn A, Scharff D, Elliot M. 2009. Cultural competence in dietetics education. J Am Diet Assoc 109(Suppl):A12. 

  30. Park J, Chung J. 2008. A validation study for the intercultural development inventory. Korean J Soc Personality Psycho 22: 1-21. 

  31. Stein K. 2010. Navigating cultural competency: in preparation for an expected standard in 2010. J Am Diet Assoc 110: S13-S20. 

  32. Kim H, Lim J. 2011. Student, dietitian reaction to multicultural food service in Hannam school district. Korean J Food Culture 26: 478-489. 

  33. Poehlitz M, Pierce M, Ferris AM. 2006. Delivering nutrition education in a service-learning course. J Nutr Educ Behav 38: 388-389. 

  34. Gilboy MBR, Karpinski C. 2009. Cultural experience project: expanding college students' worldview. J Nutr Educ Behav 41: 146-147. 

  35. Horacek T, Erdman M, Brann L, Carter B, Hensel M, Middlemiss MA, Raj S, Smith C. 2007. Inter-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 method of teaching cultural, ethical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to dietetic students through an interdisciplinary service-learning experience. J Nutr Educ Behav 39: S91. 

  36. Duffy M. 2001. A critique of cultural education in nursing. J Adv Nurs 36: 487-495. 

  37. Rengers B, Heiss CJ, Henley SM, Bizeau M, Dormer- Gillette C. 2011. A cultural immersion program in Mexico to improve Spanish proficiency and cultural competency. J Am Diet Assoc 111(Suppl): A77. 

  38. Gilboy MB, Bill DE. 2011. Cultural immersion experience: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Mexican American nutrition and food traditions. J Nutr Educ Behav 43: 419-420. 

  39. Heiss CJ, Rengers B, Fajardo-Lira C, Henley SM, Bizeau M, Gillette CD. 2011. Preparing dietetics practitioners to effectively serve the Hispanic population. J Am Diet Assoc 111: 359-364. 

  40. McCaffree J. 2008. Language: a crucial part of cultural competency. J Am Diet Assoc 108: 611-613. 

  41. Boutin-Foster C, Foster J, Konopasek L. 2008. Viewpoint: physician, know thyself: the professional culture of medicine as a framework for teaching cultural competence. Acad Med 83: 106-1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