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과 인간공학적 평가
Evaluation of the Ergonomic Method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Dental Hygienis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9, 2012년, pp.234 - 243  

오나래 (강원대학교 치위생학과) ,  김해경 (대구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정미애 (대구보건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증상과 작업관련 요인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자기기입식 설문지는 서울, 경기, 대구, 포항의 210명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011년 8월1일부터 12일까지 조사를 실시한 후 회수하여 응답이 불분명하거나 크게 사고를 당한 5명을 제외한 205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차분석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고 인간공학적 분석은 RULA 와 REBA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의 205명중 신체 한 부위라도 근골격계 증상을 경험한 사람은 196명으로 95.6%의 총경험률을 나타내었고, 근골격계 증상 경험은 오른쪽 목과 어깨사이가 82.4%로 가장 높았다. 목부위가 78%, 오른쪽 어깨가 69.8%, 오른쪽 손목이 66.3% 순으로 나타났다. 치과에서의 작업환경 개선은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데 필요하다. 스켈링 position별 점수는 술자 7시 방향에서 점수가 높았고, 교정장치 결찰작업 중 설측 교정결찰 작업의 REBA Total score가 12점으로 Action Level 5 에 해당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work-related factors of these symptoms in dental hygienists.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surveyed and collected from August 1-12 of 2011 targeting 210 dental hygienists Seoul, Gyeonggi, Daegu, Poha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 경험과 치과위생사의 작업특성과의 관련성의 요인을 제시하고 작업환경의 인간공학적 평가를 시행하여 근골격계 질환의 효율적인 예방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위생사들의 건강행위 실천은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가? Suh는 건강관리에 대한 개념은 의학의 발전과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치료위주에서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생활습관의 개선과 같은 개인의 건강행위라고 말하였다[3]. 더불어 치과위생사들의 건강행위 실천은 본인의 건강관리뿐만 아니라 환자를 포함한 주변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4]으로 판단되므로 근골격계 질환으로 부터 치과위생사들이 건강증진행위 실천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모색은 반드시 마련되어야 할 중요한 사항이라 생각된다. 보건의료계 종사자 중 신체를 많이 사용하는 치과위생사, 물리치료사, 간호사 등은 환자 관리 및 치료관련 업무활동으로 근골격계질환(Musculoskeletal Disorders; MSD)을 비롯한 직업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타 직종보다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5-10].
RULA평가방법에는 어떤 단점이 있는가? 이 방법은 주로 작업 자세의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 최종 평가 점수가1-2점은 적절한 작업, 3-4점은 추적 관찰필요, 5-6점은 작업 전환 고려, 7점은 즉시 작업 전환 필요 등으로 구분하여 사후관리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원래 인간공학 전문가가 평가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평가 과정이 너무 난해하고 진동이 문제되는 작업은 과소평가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REBA는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평가방법으로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된 유해요인에 대한개별 작업 평가를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RULA 평가표를 보완한 것이다.
보건의료계 종사자들 중에 신체를 많이 사용하는 직종은 어떤 직업병이 생길 가능성이 높은가? 더불어 치과위생사들의 건강행위 실천은 본인의 건강관리뿐만 아니라 환자를 포함한 주변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4]으로 판단되므로 근골격계 질환으로 부터 치과위생사들이 건강증진행위 실천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모색은 반드시 마련되어야 할 중요한 사항이라 생각된다. 보건의료계 종사자 중 신체를 많이 사용하는 치과위생사, 물리치료사, 간호사 등은 환자 관리 및 치료관련 업무활동으로 근골격계질환(Musculoskeletal Disorders; MSD)을 비롯한 직업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타 직종보다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5-10]. 최근 근골격계질환이 건강상의 문제로 대두된 외국에서는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한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로 허리, 목, 손목에 대한 근골격계 위험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a cr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 back," U.S.:NIOSH, pp.1-7, 1997. 

  2. AV. Putz, "a mannual for musculoskeletal disease of the upper limbs," Bristol:Taylor & Francis Inc, pp.3-31, 1994. 

  3. Y. Suh, "Structural model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midwife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KyungHee University, 1995. 

  4. 이승주, 조명숙, "일부 치과위생사의 요통경험 및 관련 요인(II)", 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23-130, 1999. 

  5. 이승주, 조명숙, "치과위생사의 직업성 요통 발생 관련요인조사", 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제12권, 제2호, pp.81-91, 1992. 

  6. 정현자,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증상 경험률 및 관련요인,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66-69, 2003. 

  7. 조명숙, "일부 치과위생사의 목.어깨 통증호소와 관련요인(자각증상)", 한국위생과학회지, 제9권, 제1호, pp.9-19, 2003. 

  8. 정유선, "치과위생사 스켈링 시술자세의 2D에 의한 인간공학적 분석",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제3권, 제1호, pp.73-87, 2003. 

  9. 하성자,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질환의 유병상태와 관련 요인", 한국치위생과학회지, 제5권, 제2호, pp.29-32, 2003. 

  10. 윤미숙, 송귀숙, 고미희, "치과위생사의 직업병에 의한 건강장애요인 인식도 조사", 한국치위생과학회, 제3권, 제2호, pp.59-66, 2003. 

  11. S. Paola, "Static Load Repetition Is a Risk Factor in the Dvelopment of Lumbar Cumulative Musculoskeletal Disorder," Spine Vol.29, No.2, pp.2463-2653, 2004. 

  12. 김민아, 치과위생사의 작업관련 근골격계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천의과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3. 박정란, 한동욱, "일부지역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 인지정도 및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제9권, 제1호, pp.141-151, 2009. 

  14. O. Karhu, P. Kansi, and I. Kuorinka, "Correcting workingpostures in industry: a practical method for analysis," Applied Ergonomics, Vol.8, No.4, pp.199-2001, 1977. 

  15. L. McAtamney and E. N. Corlett, "ULA: a survey method for the investigation of work-related upper limb disorders," Applied Ergonomics, Vol.24, No.2, pp.91-99, 1993. 

  16. S. Hignett and L. McAtamney, "apid entire body assessment(REBA)," Applied Ergonomics, Vol.31, pp.201-205, 2000. 

  17. 한국산업안전공단, "근골격계 부담 작업 유해요인 조사지침", 서울, 2003. 

  18. 이윤근, "근골격계진환 위험요인을 어떻게 평가 할 것인가?", 한국산업위생학회지, 제13권, 제3호, pp.182-190, 2003. 

  19. S, Y. Kim and I. H. Paek, "Effects of Transversus Abdominal Muscle Stabilization Exercise to Spinal Segment Motion on Trunk Flexion-Extension," Korea Journal of Physical Therapy, 제10권, 제1호, 2003. 

  20. http://ergo.human.cornell.edu/ahmsquest.html 

  21. 한국산업안전공단, "근골격계 질환 예방유해요인 조사 및 평가기법", 서울, 2003. 

  22. 이인석, 정민근, 최경임, "지각 불편도를 이용한 관찰적작업자세평가기법의비교", 대한인간공학회지, Vol.22, No.1, pp.43-56, 2003. 

  23. 유지형, "호텔종사자들의 근골격계 증상완화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산업간호학회지, 제17호, 제2권, pp.139-145, 2008. 

  24. 한국산업안전공단, "근골격계질환 예방 유해요인조사 및 평가기법", 서울, 2003. 

  25. 이인석, 정민근, 최경임, "지각불편도를 이용한관찰적 작업자세 평가기법비교", 대한인간공학회지, 제22호, 제1권, pp.43-56, 2003. 

  26. J. S. Martha, "Preventing work-related MSDs in dental hygienists.In: Martha JS. Ergonomics and the manage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Butterworth Heinemann, pp.448-469, 1997. 

  27. M. J. Hayes, "A systemic review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dental professionals," Int J Dent Hygiene, Vol.7, No.3, pp.159-165, 2009. 

  28. 김수관, 오나래, 정미애,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에 관한 요인조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4, 2012. 

  29. 문희정,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통증관리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위생학회지, 제9권, 제1호, pp.35-45, 2007. 

  30. 민정란, 조영식, 전미진, 김동기, 이병진. "서울지역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증상 호소 실태",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1권, 제3호, pp.396-406, 2007. 

  31. 박정란, 박재용, "치과위생사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1권, 제3호, pp.416-431, 2007. 

  32. J. S. Marthas, "Preventing work-related MSDs in dental hygienists. In: Martha JS. Ergonomics and the manage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Louis:Butterworth Heinemann;, pp.448-469, 1997. 

  33. 이소영, 유병철, 엄상화, 권현숙, 박정희, 김진범, 이용환, "치과위생사의 작업특성과 근골격계 증상의 상관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5권, 제4 호, pp.486-496,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