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겨우살이 Lectin이 흰쥐의 혈청지질 및 간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rum Lipid and Liver Tissue on Rats in Lectin from Viscum Album(Mistleto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9, 2012년, pp.244 - 249  

장철수 (김천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류재기 (김천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국내산 겨우살이 lectin이 흰쥐 간의 지방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혈청 내 지질 함량을 측정하였고, 이를 확인하고자 간조직의 지방형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렉틴의 분리는 sephadex G-150로 여과 및 sepharose 4B affinity chromatography 로 정제하였다. $CCl_4$를 복강 내에 투여시 72시간 경과 후 혈청 총cholesterol 및 triglyceride는 정상군 및 olive oil 투여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ectin과 $CCl_4$를 동시 투여 하였을 때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였다. 흰쥐 간의 조직학적 관찰은 $CCl_4$투여군은 정상군 및 olive oil 투여군에 비해 지방변화 및 간세포 내에 많은 대소의 cytoplasmic vacuole가 보였으나, $CCl_4$와 lectin을 동시 투여시는 $CCl_4$ 투여군에 비해 cytoplasmic vacuole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이에 비례하여 혈청 cholesterol 및 triglyceride 측정치가 현저히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때 흰쥐에서 lectin이 혈청 지질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조직학적 관찰에서 간조직의 지질형성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 of serum lipid and liver tissue in lectin from Viscum album on rats. The lectin was purified by sepharose 4B affinity chromatography and gel filtration using sephadex G-150 with plant material from Viscum album. After 72 h of $CCl_4$ inj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까지 lectin은 자연 동식물 등에서만 분리 되므로 추출 및 정제에서 수율을 높이는 획기적인 방법은 아직 없는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연구는 물론 인공적으로 합성하거나 또는 대량 생산이 가능한 방법으로의 연구가 적실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자는 lectin이 갖는 임상적 약리효과를 확인하고자 인슐린유사 활성을 조사한 바 있다. 이를 위해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에 겨우살이 추출물 및 정제된 lectin을 경구 및 복강 내에 투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겨우살이가 동맥경화의 질병에서 한방, 민간요법의 치료제로 사용하는 바[14], 이를 규명하고자, carbon tetrachloride로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후 lectin이 간의 지방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혈청 내 지질 함량을 측정하였고, 이를 확인하고자 간조직의 지방형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겨우살이 독성은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coloratum Ohwi)는 참나무, 뽕나무, 사과나무 등을 숙주로 성장하는 반기생 식물로 여러나라에서 오래 전부터 민간요법에서 치료를 목적으로 한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겨우살이 자체가 가진 독성이 메스커움, 정신적 착란, 경련, 발작을 일으키므로 취급에 장애가 되고 있으며 이 독성이 의학적인 가치를 가진 당단백질의 일종인 lectin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많은 분리 정제 및 생물 의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8][13].
겨우살이는 어떤 병증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가? 국내산 겨우살이가 동맥경화, 심장질환 등의 질병에서 한방 및 민간요법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를 규명하고자, CCl4(Carbon tetrachloride)로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후, lectin을 투여하여 이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혈청 내 지질 함량을 측정하였고, 확인하고자 간조직의 지방형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정상 흰쥐에 CCl4를 투여하면 간의 지방형성을 촉진시키며, 혈청 중 lipoprotein 및 cholesterol 치가 증가한다고 보고 되고 있다[24-26].
겨우살이의 약리효과를 가능하게 하는 물질은 무엇인가? Lectin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사용한 겨우살이(Viscum album)는 기생식물로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약용 및 식용자원으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질환의 만병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11]. 이 같은 약리효과는 lectin에 의한 것이며 이를 이용한 연구와 치료제 개발을 위한 가능성을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12][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W. C. Boyd and E. Shapleigh, Specific precipitating activity of plant agglutinins (Lectin), Science, Vol.119, pp.419, 1954. 

  2. N, Sharon and H. Lis, Lectins Cell- agglutinating and sugar- specific proteins, Science, Vol.177, pp.9, 1994. 

  3. L. Lucy and I. J. Goldstein, Protein- Carbohydrate intera ction, The journal of biochemistry, Vol.243, No.8, pp.2003-2007, 1968. 

  4. H. Dedray, J. M. Wieruszeski, and G. Strecker, Structral analysis of the carbohydrate chains isolated from mistletoe (Viscumalbum) lectin, Carbohydrate Research, Vol.236, pp.135-143, 1992. 

  5. W. C. Boyd, The lectin. Their present status, Vox sang, Vol.8, pp.1-32, 1963. 

  6. M. M. Burger and A. R. Goldberg, Identification of a tumor-specific determinant on neoplastic cell surfaces, Proc. Natl. Acad, Vol.57, pp.351-354, 1967. 

  7. G. L. Nicolson, The interaction of lectins with animal cell surfaces, Int. Rev. Cytology, Vol.39, pp.89-190, 1974. 

  8. A. Pih1, W. Fodstad, and S. Olsnes, Anti-cancer properties of the toxic lectins abrin and ricin, in protides of the biological fluids 27th colloquium. Peeters, H. ed. Pergamon Press, Oxford, Vol.12, pp.631-636, 1979. 

  9. W. C. Greene and T. A. Waldman, Inhibition of human lymphocyte proliferation by the nonmitogenic lectin wheat germ agglutinin, J. Immunology, Vol.124, pp.2979, 1980. 

  10. K. O. David and J. Bikomo, Anti diabetic properties of the african mistletoe in strepto 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Ethnopharma, Vol.43, pp.13-17, 1994. 

  11. P. Griggs, Mistletoe, myth magic and medicine, The Biochemistry, Vol.13, pp.3-4, 1991. 

  12. L. Paine and H. Harrison, Mistletoe: Its role in horticulture and human life, Hort Technology, Vol.2, pp.324-329, 1992. 

  13. E. Kafaru, Mistletoe : an example of all purpose herb. The Guardian (Nigeria.), Vol.9, pp.16-17, 1993. 

  14. T. J. Kim, Korean resources plants(1), Seoul University Press, pp.140-141, 1996. 

  15. I. Siegle., P. Fritz, M. McClellan, S. Gutzeit and T. E. Murdter, Combined cytotoxic action of Viscum album agglutinin-1 and anticancer agents against human A 549 lung cancer cells. Anticancer Res, Vol.21, No.4A, pp.2687-2691, 2001. 

  16. A. Karagoz, E. Onay, N. Arda, and A. Kuru, Antiviral potency of mistleto extracts aganist human parainfluenza virus type 2 in Vero cells. Phytother. Res. Vol.17, No.5, pp.560-562, 2003. 

  17. C. S. Chang, M. J. Oh, and K. S. Roh, Purific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lectin from Viscum album, Korean J. Biotechnol. Bioeng, Vol.14, pp.578-584, 1999. 

  18. C. S. Chang and K. S. Roh, Anti-diabetic effect of Viscum album lectin, Korean J. Biomed. Lab. Sci, Vol.6, pp.151-157, 2000. 

  19. C. S. Chang, J. K. Ryu, and T. H. Kim, The cytotoxicity of rat hepatocytes on Viscum album lectin, Korean Soc. Clin. Lab. Sci., Vol.39, pp.190-195, 2007. 

  20. B. J. Davis, Disc electrophoresis II, Ann. N. Y. Acad. Science, Vol.121, pp.404-427, 1964. 

  21. C. C. Lin, J. M. Lin, C. H. Chang, M. Hattori, and T. Namba, Pharmacological studies on the crude drug Hwang-Jin- Guey' from taiwan(I), Phytotherapy research, Vol.8, pp.193-200, 1994. 

  22. W. C. Schfler, Statistics for the biological science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 USA. 1980. 

  23. A. K. Allen, A. Neuberger and N. Sharon, The ioslation of lectins on acid-treated agarose, Carbohyd rate Research, Vol.50, pp.121-131, 1972. 

  24. R. O. Recknagel and A. K. Ghoshal, Lipoperoxidation as a vector in carbon tetrachloride hepatotoxicity, Labo. Investigation, Vol.15, pp.132-137, 1966. 

  25. R. O. Recknagel, Carbon tetrachloride hepatotoxicity, Pharmacol. Reviews, Vol.19, pp.145-147, 1967. 

  26. J. W. Wakasugi, K. Katami, T. ikeda, and M. Tomikawa, Action of malotilate on reduced serum cholesterol level in rats with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damage, Japan J. Pharmacology, Vol.38, pp.391-401,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