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음주 유형에 대한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atterns of Alcohol Use in Korean Adul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5, 2012년, pp.441 - 453  

정성석 (전북대학교 통계학과.응용통계연구소) ,  정경화 (전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was aimed at identifyi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patterns of alcohol use (normal alcohol use, hazardous alcohol use, and alcohol dependence) in the Korean adult.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cross-sectional data from 230,715 Korean adults aged 19 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들 두 가지 요인 중 전자는 선행되거나 이미 결정되어 있는 반면 후자는 후천적이거나 생활습관에 따라 비교적 교정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9년도「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를 토대로 AUDIT를 활용하여 성인의 음주 유형을 분류하여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건강관련요인과의 관련성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즉, 하나는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만으로 성인의 음주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다른 하나는 인구사회학적인 요인과 건강관련요인을 포함하여 성인의 음주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 본 연구는 2009년도「지역사회건강조사」(KCDC, 2012)를 토대로 국내 성인의 음주 유형을 조명하고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건강관련요인 중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모형 1과 모형 2의 분석결과가 다소 상이하였기에 대상자의 문제음주 및 알코올 의존에 대해서 인구사회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건강관련요인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 2012)의 경우에서도 심각한 음주 문제가 발생함을 지지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남녀 성인의 음주 유형과 결혼 유형을 세분화함으로써 취약대상자와 음주 유형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기여하였다. 향후 성별과 결혼상태와 같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스트레스 원인을 탐색하고 음주 유형과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계획되어질 수 있다.
  •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09년도「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중 19세 이상 성인 230,715명에 대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국내 성인의 음주 유형을 파악하고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문제음주 및 알코올 의존은 도시에 거주하는 남자가 취약하였고 문제음주는 20대 이하 연령층에서는 알코올 의존은 중장년층 및 노년층에서 높았다.
  •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건강관련요인을 확인하고, 음주 유형(문제음주 및 알코올 의존)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성인의 음주 유형(정상음주, 문제음주 및 알코올 의존)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코올 남용과 유사한 개념으로는? 알코올 남용은 과다한 음주로 인한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것이고 알코올 의존은 알코올 남용이 심한 경우로 알코올에 대한 내성이 생기거나 금단 증상이 생기는 것으로 정의한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이 외에 알코올 남용과 유사한 개념으로 문제음주(hazardous drinking) 또는 유해음주 (harmful drinking)이라는 용어가 있다. 문제음주란 주로 과도한 음주량(주종의 표준음주잔을 기준으로 남성의 경우 1주 일에 평균 21잔 이상, 여성의 경우 1주일에 평균 14잔 이상)에 근거한 정의로 현재 음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 문제가 전혀 없다고 할지라도 음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예고한다(Piccinelli et al.
미국정신의학회가 제시한 기준에 대표적인 음주의 잘못된 사용 형태로는? 대표적인 음주의 잘못된 사용 형태로는 미국정신의학회가 제시한 기준(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DSM-Ⅳ])에 의거하여 알코올 남용과 알코올 의존을 들 수 있다. 알코올 남용은 과다한 음주로 인한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것이고 알코올 의존은 알코올 남용이 심한 경우로 알코올에 대한 내성이 생기거나 금단 증상이 생기는 것으로 정의한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음주의 폐해와 중독성은 음주 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음주의 폐해와 중독성은 음주 유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즉, 소량 혹은 적당량의 음주(정상음주)는 심혈관질환을 오히려 예방하거나 악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지나친 음주는 간질환 및 심뇌혈관질환과 같은 신체적인 건강문제와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장애, 신체적 ‧ 정신적 의존, 상해 및 사망에 이를 수 있다(Chavez, Williams, Lapham, & Bradley, 2012; Lee & Roh, 2011; Mun, Lee, & Park, 2007; WHO, 2007).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술에 대하여 관대한 문화적인 특성상 음주문제가 간과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 및 보건의료체계에서 대상자와의 면담 시 음주 유형을 파악하고 잘못된 사용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 (4th ed.).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 Babor, T. F., Higgins-Biddle, J. C., Saunders, J. B., & Monteiro, M. G. (2001). AUDIT: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Guidelines for use in primary health care. Retrieved May 4, 2012, from World Health Organization Web site: http://whqlibdoc.who.int/hq/2001/WHO_MSD_MSB_01.6a.pdf 

  3. Bradley, K. A., Rubinsky, A. D., Sun, H., Blough, D. K., Tonnesen, H., Hughes, G., et al. (2012). Prevalence of alcohol misuse among men and women undergoing major noncardiac surgery in the Veterans Affairs health care system. Surgery, 152 (1), 69-81. http://dx.doi.org/10.1016/j.surg.2012.02.007 

  4. Chavez, L. J., Williams, E. C., Lapham, G., & Bradley, K. A. (2012). Association between alcohol screening scores and alcoholrelated risk among female veterans affairs patient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73 (3), 391-400. 

  5. Hanwella, R., de Silva, V. A., & Jayasekera, N. E. (2012). Alcohol use in a military population deployed in combat areas: A cross sectional study. Substance Abuse Treatment, Prevention, and Policy, 7 (1), 24-35. http://dx.doi.org/10.1186/1747-597X-7-24 

  6. Kim, E. J., Hwang, S. S., Park, J. M., & Lee, H. I. (2004). A stud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a group of middle aged men in K-Ku, Incheon city.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5 (3), 408-418. 

  7. Kim, E. S., & Jung, H. S. (2010).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high risk drinking of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1 (1), 45-56. 

  8. Kim, H. S., Chang, S. H., Lee, K. S., Kim, C. S., & Kim, K. O. (2001). Prevalence of hazardous and harmful alcohol consumption using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in Chungju a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4 (3), 277-283. 

  9. Kim, K. W., Choi, E. A., Lee, S. B., Park, J. H., Lee, J. J., Huh, Y., et al. (2009). Prevalence and neuropsychiatric comorbidities of alcohol use disorders in an elderly Korean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4 (12), 1420-1428. http://dx.doi.org/10.1002/gps.2280 

  10. Kim, O., Kim, B. H., & Jeon, H. O. (2012). Risk factors related to hazardous alcohol consumption among Korean men with hypertension.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4 (2), 204-212. http://dx.doi.org/10.1111/j.1442-2018.2012.00680.x 

  1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2009 community health survey. Retrieved June 4, 2012, from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b site: http://chs.cdc.go.kr 

  12. Kweon, G. Y. (2005). Factors influencing drinking of employees: focus on the white collar employe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7 (2), 93-118. 

  13. Lee, H. K., & Roh, S. W. (2011). The relations of alcohol drinking behavior, depressive mood,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ult.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2 (1), 155-168. 

  14. Lee, W. K., & Kim, Y. (2009). Drinking pattern and nonfatal injuries of adul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raumatology, 22 (2), 233-241. 

  15. Mayfield, D., McLeod, G., & Hall, P. (1974). The CAGE questionnaire: Validation of a new of a new alcoholism screening instrument.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1 (10), 1121-1123. 

  16. Min, S. H., Noh, J. S., Ahn, J. S., & Kim, T. H. (2008). Alcohol dependence, mortality, and chronic health conditions in a rural popul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3 (1), 1-9. http://dx.doi.org/10.3346/jkms.2008.23.1.1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National mental health service 2011. Retrieved July 28, 2012, fro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eb site: http://knhanes.cdc.go.kr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2010 Health statistics: The fif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Retrieved May 14, 2012, fro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eb site: http://knhanes.cdc.go.kr 

  19. Mun, J. H., Lee, S. J., & Park, J. D. (2007). Th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ion with $\gamma$ -GTP in steelmill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 (1), 17-25. 

  20. Newmann, T., Linnen, H., Kip, M., Grittner, U., Weiss-Gerlach, E., Kleinwachter, R., et al. (2012). Does the Alcohol Use Dis- Orders Identification Test-consumption identify the same patient population as the full 10-item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43 (1), 80-85. http://dx.doi.org/10.1016/j.jsat.2011.10.021 

  21. O'Connell, H., Chin, A. V., Hamilton, F., Cunningham, C., Walsh, J. B., Coakley, D., et al. (2004). A systematic review of the utility of self-report alcohol screening instruments in the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9 (11), 1074-1086. http://dx.doi.org/10.1002/gps.1214 

  22. Piccinelli, M., Tessari, E., Bortolomasi, M., Piasere, O., Semenzin, M., Garzotto, N., et al. (1997). Efficacy of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s a screening tool for hazardous alcohol intake and related disorders in primary care: A validity study. BMJ, 314 (7078), 420-424. http://dx.doi.org/10.1136/bmj.314.7078.420 

  23. Pilling, J., Thege, B. K., Demetrovics, Z., & Kopp, M. S. (2012). Alcohol use in the first three years of bereavement: A national representative survey. Substance Abuse, Treatment, Prevention, and Policy, 7 (3), 1-5. http://dx.doi.org/10.1186/1747-597X-7-3 

  24. Rehm, J., Mathers, C., Popova, S., Thavorncharoensap, M., Teerawattananon, Y., & Patra, J. (2009). Global burden of disease and injury and economic cost attributable to alcohol use and alcohol-use disorders. Lancet, 373 (9682), 2223-2233. http://dx.doi.org/10.1016/S0140-6736 (09)60746-7 

  25. Ryu, S. Y., Kim, K. S., & Han, M. A. (2011). Factors associated sleep duration in Korean adults: Results of a 2008 community health surve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6 (9), 1124-1131. http:// dx.doi.org/10.3346/jkms.2011.26.9.1124 

  26. Saunders, J. B., Aasland, O. G., Babor, T. F., de la Fuente, J. R., & Grant, M. (1993). Development of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WHO collaborative project on early detection of persons with harmful alcohol consumption-II. Addiction, 88 (6), 791-804. http://dx.doi.org/10.1111/j.1360-0443.1993.tb02093.x 

  27. Selzer, M. L. (1971). The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 (MAST): The quest for a new diagnostic instrument.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27 (12), 1653-1658. 

  28. Statistics Korea. (2012). Statistics database for Korea for the year 2009. Retrieved June 04, 2012, from Statistics Korea Web site: http://kostat.go.kr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WHO global status report on alcohol. Retrieved December 10, 2011, from World Health Organization Web site: http://www.who.int/substance_abuse/publications/global_status_report_2004_overview.pdf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Alcohol and injury in emergency departments. Retrieved July 24, 2012, from World Health Organization Web site: http://www.who.int/substance_abuse/publications/alcohol_injury_summary.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