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통되는 코코아함유 가공품의 항산화능과 폴리페놀 함량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nt Capacities and Polyphenolic Contents of Commercially Available Cocoa-containing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0, 2012년, pp.1356 - 1362  

이은순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금진영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황영옥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두옥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조한빈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김정헌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채영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코코아가공품이나 초콜릿은 영양적으로 고에너지 식품이며 간식이나 후식으로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비만이나 다른 부작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강에 유익하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코아가공품이나 초콜릿의 건강에 유익성은 코코아가공품, 초콜릿의 코코아로 부터 얻어지는 폴리페놀류와 그 항산화능에 있다. 이 연구에서는 코코아자체의 폴리페놀류와 그 항산화능보다는 실제로 사람들이 날마다 먹는 제품에서의 폴리페놀류와 그 항산화능과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수많은 폴리페놀류가 존재하고, plant-derived product의 폴리페놀류의 정량과 항산화능의 분석에 관한 표준화된 방법이 아직 확립되지 않아 연구에 어려움이 있으며, 더구나 이 연구에서는 코코아함량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품이 많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연구 결과의 약간의 불확실한 결론은 당연한 것으로 보인다. 코코아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군은 코코아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추정하는 다크초콜릿이었다. 코코아 추출물의 epicatechin은 정량적으로 catechin보다 높았으며, 다크초콜릿에서 그 함량이 가장 높았고, 다크초콜릿에서만 epicatechin gallate, caffeic acid, quercetin 등이 소량 검출되었다. 항산화능은 밀크초콜릿과 다크초콜릿이 코코아믹스와 초코시럽과는 유의하게 높았고, 밀크초코릿과 다크초콜릿의 비슷한 항산화능을 보였으며, 이 결과는 더 정밀하고 확실한 항산화능 실험법의 확립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코코아로 만들어지는 초콜릿이 항산화능이 있음을 암시하며, 건강과의 관련 있음의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V-VIS spectrophotometric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HPLC-DAD) methods were applied in order to identify and quantify the composition of polyphenols in commercial cocoa-containing products. Total polyphenolic contents of cocoa mix, choco-syrup, milk chocolate, and dark chocolate w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생리활성물질로서의 폴리페놀류의 기능성과 그 항산화성의 관련여부에 관심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나 그 연구가 녹차와 포도주에 집중되어 있고 카카오 자체에 대한 자료는 있으나 실제로 섭취하고 있는 유통식품에 대한 자료는 미비하여 그 접근을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 유통되어 실제로 섭취하게 되는 코코아함유 가공품의 폴리페놀류의 함량과 항산화능과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생리학적인 영향에 대한 기능성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그리고 발효 전 카카오빈은 120~180 g/kg(8)의 폴리페놀류의 화합물을 함유하며, 특히 주요한 물질은 epicatechin과 (+)-catechin이고, 소량의 (+)-gallocatechin, (-)-epiallocatechin, (+)-epicatechin-3-gallate, procyanidin 등이 있으며, 그 이외에 quercetin, quercetin glycosides, naringenin, luteolin, apigenin, clovamide 그리고 phenolic acids(caffeic, ferulic, gallic and ρ-coumaric acid) 등이 있다. 생리활성성분으로 알려진 폴리페놀류중의 코코아에 들어있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그리고 폴리페놀류 중의 함량이 가장 많은 catechin과 phenolic acids를 분석하고 그들의 항산화능을 분석하여 그들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코코아함량이 가장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다크초콜릿이 가장 높았고, 다른 코코아믹스, 초코시럽, 밀크초코릿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코아가공품이나 초콜릿의 건강에 유익성은 코코아가공품, 초콜릿의 코코아로부터 얻어지는 폴리페놀류와 그 항산화능에 있다. 이 연구에서는 코코아자체의 폴리페놀류와 그 항산화능보다는 실제로 사람들이 날마다 먹는 제품에서의 폴리페놀류와 그 항산화능과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수많은 폴리페놀류가 존재하고, plant-derived product의 폴리페놀류의 정량과 항산화능의 분석에 관한 표준화된 방법이 아직 확립되지 않아 연구에 어려움이 있으며, 더구나 이 연구에서는 코코아함량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품이 많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산화기능을 가진 phytochemical로 알려진 식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활성산소는 강한 산화력이 있어 세포막 분해, 단백질 분해, 지방 산화, DNA 합성 억제, 광합성 억제, 엽록체의 파괴 등 생체 내에서 심각한 생리적인 장애를 유발한다(4,5). 이러한 노화와 생리적인 장애를 유발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기능을 가진 phytochemical로 알려진 식품으로는 녹차, 홍차, 적포도주와 더불어 초콜릿류와 같은 코코아 함유식품이 있다.
실험 결과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밀크초콜릿과 다크초콜릿은 mg gallic acid equivelants/g defatted로 나타내었으며, 코코아믹스와 초콜릿시럽은 mg gallic acid equivelants/g sample로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코코아믹스는 0.517~2.137 mg GAE/ g, 초콜릿시럽은 0.034~2.017 mg GAE/g, 밀크초콜릿은 0.831~1.384 mg GAE/g, 다크초콜릿은 3.086~5.452 mg GAE/g을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코코아믹스는 0.403~1.721 mg GAE/g, 초콜릿시럽은 0.242~0.999 mg GAE/g, 밀크초콜릿은 0.718~1.166 mg GAE/g, 다크초콜릿은 1.905~4.388 mg GAE/g을 보였다.
초콜릿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초콜릿은 카카오나무의 씨앗을 발효한 후 건조, 세척, 볶아서 껍질을 제거한 카카오닙(cacao nib)을 카카오매스로 가공하여, 여기에 다른 첨가물을 넣어서 제조하며, 또한 카카오매스는 코코아솔리드와 코코아버터로 가공된다. 초콜릿은 코코아솔리드, 코코아 버터, 지방, 당을 포함하는 다크초콜릿, 밀크초콜릿, 무가당 초콜릿으로 분류되며 코코아솔리드를 포함하지 않은 화이트초콜릿이 있다. 그리고 코코아가공품이란 카카오열매에서 얻은 원료를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등의 혼합 및 기타 방법으로 가공한 것으로 코코아매스, 코코아버터, 코코아분말이외의 것을 말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Goldberg I. 1994. Functional Foods. Chapman & Hall Press, New York, NY, USA. p 3-550. 

  2. Sadaki O. 1996.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materials. Bioindustry 13: 44-50. 

  3. Fridorich I. 1978. The biology of oxygen radicals. Science 201: 875-880. 

  4. Gardner PR, Fridovich I. 1991. Superoxide sensitivity of Escherichia coli 6-phosphogluconate dehydratase. J Biol Chem 266: 1478-1483. 

  5. Imlay JA, Linn S. 1988. DNA damage and oxygen radical toxicity. Science 232: 1302-1309. 

  6. Herrmann K. 1995. Neuere Erkenntnisse uber Kakaoinhaltsstoffe. II: catechin und procyanidine und deren oxidative kondensation sowi Ballastsoffe der Kakoaschalen. Gordian 95: 141-142, 144. 

  7. Wollgast J, Anklam E. 2000. Review on polyphenols in Theobroma cacao: changes in composition during the manufacture of chocolate and methodology for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Food Res Int 33: 423-447. 

  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1. Korea Food Code. Korea. p 5-3-1. 

  9. Guyot S, Marnet N, Laraba D, Sanoner P, Drillear JF. 1998. Reversed-phase HPLC thiolysis for quantitative estim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four main classes of phenolic compounds in different tissues zones of French cider apple variety (Malus domestica var. Kermerrien). J Agric Food Chem 46: 1698-1705. 

  10. Belscak A, Komes D, Horzic D, Ganic KK, Karlovic? D. 2009. Comparative study of commercially available cocoa products in terms of their bioactive composition. Food Res Int 42: 706-716. 

  11. Lachman J, Hosnedl V, Pivec V, Orsak M. 1998. Polyphenols in cereals and their positive and negative role in human and animal nutrition. Proceeding of Conference Cereals for Human Health and Preventive Nutrition. Brno, Czech Republic. p 118-125. 

  12.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13. Re R, Pellegrini N, Prot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4. Brand-Wiliams W, Cuvelier ME, Berset C. 1995. Use of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 Technol 28: 25-30. 

  15. ?eruga M, Novak I, Jakobek L. 2011. Determination of polyphenols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red wines by differential pulse voltammetry, HPLC and spectrophotometric methods. Food Chem 124: 1208-1216. 

  16. Siebert KJ, Troukhanva NV, Lynn PY. 1996. Nature of polyphenol- protein interaction. J Agric Food Chem 44: 80-85. 

  17. Adamson GE, Lazarus SA, Mitchell AE, Prior RL, Cao G, Jacobs PH, Kremers BG, Hammerstone JF, Rucker RB, Ritter KA, Schmitz HH. 1999. HPLC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procyanidins in cocoa and chocolate samples and correlation to total antioxidant capacity. J Agric Food Chem 47: 4184-4188. 

  18. Liu AH, Li L, Xu M, Lin YH, Guo HZ, Guo DA. 2006. Simultaneous quantification of six major phenolic acids in the roots of Salvia miltiorrhiza and four related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preparations by HPLC-DAD method. J Pharm Biomed Anal 41: 48-56. 

  19. Escarpa A, Gonzalez MC. 2001. An overview of analytical chemistry of phenolic compounds in foods. Anal Chem 31: 57-139. 

  20. Vinson JA, Su X, Zubik L, Bose P. 2001. Phenol antioxidant quantity and quality in foods: fruits. J Agric Food Chem 49: 5315-5321. 

  21. Pimentel FA, Nitzke JA, Klipel CB, de Jong EV. 2010. Chocolate and red wine-A comparison between flavonoids content. Food Chem 120: 109-122. 

  22. Lee KW, Kim YJ, Lee HJ, Lee CY. 2003. Cocoa has more phenolic phytochemicals and a higher antioxidant capacity than teas and red wine. J Agric Food Chem 51: 7292-7295. 

  23. Arlorio M, Coisson JD, Travaglia F, Varsaldi F, Miglio G, Lombardi G. 2005. Antioxidant and biological activity of phenolic pigments from Theobroma cacao hulls extracted with supercritical $CO_{2}$ . Food Res Int 38: 1009-1014. 

  24. Othman A, Ismail A, Ghani NA, Adean I. 2007.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 content of cocoa beans. Food Chem 100: 1523-153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