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경재배 프로그램을 통한 지적 장애학생의 직업적응력 증진
Improving Work Adjustment Skills in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Using Hydroponics Program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0 no.5, 2012년, pp.586 - 595  

주병식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박신애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손기철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원예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실제 재배농가에서 실시되는 엽채류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지적 장애학생의 직업적응력을 향상시키고자 실시하였다. 직업적응훈련모델과 제 7차 특수학교 직업교과과정 농업교과의 경제작물영역에서 수경재배의 특성과 기초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엽채류(상추, Lettuce (Lactuca sativa L. 'Asia Heuk Romaine'))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총 22회기)을 개발하였다. 인천광역시 K구에 위치한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중인 1-2학년 지적 장애학생 14명(남 10명, 여 4명)을 대상으로, 학교와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인천시 K구에 위치한 채소류 전문생산농가에서 실시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2011년 9월부터 12월까지 주 2회(회기 당 평균 60분) 전공과 교육과정 내 실습교육의 일부로 진행되었다.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담임교사 또는 원예치료사가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실험에 참여한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신경근육발달능력(McCarron assessment neuromuscular development), 정서적 행동능력(emotional behavioral checklist), 대인관계전략(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직업 흥미도 검사(KEPAD pictoral vocational interest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에 지적 장애학생들의 운동능력(P= 0.002), 정서적 행동능력(P= 0.00), 대인관계전략(P = 0.05)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 흥미도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지적 장애학생들의 직업적응력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능력과 정서적 행동능력 및 대인관계전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수경재배는 대체로 단순하고 쉬운 작업과정으로, 지적 장애인의 직업영역으로써 적합하며, 직무수행에 있어서도 비교적 어려움이 적은 직종이라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직업적응력 증진을 위해 실제 현장에서 다양한 종류의 엽채류를 재배하는 수경재배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HT) program using hydroponics on work adjustment skill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Based on the critical role transitional model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agriculture, especially hydroponics, HT progra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재배농가에서 실시되는 엽채류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지적 장애학생의 직업적응력 향상을 위한 신경근육발달능력, 정서적 행동 능력, 대인관계전략능력 및 직업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 즉, 매 회기 치료목적과 관련된 활동들(예: 대소근육운동을 위한 상추 수확하기와 수확물 나르기, 대인관계증진을 위한 집단 내에서 협동작업 등)로 구성하였으며, 치료사는 미리 계획된 목적대로 각 과정을 진행하였다. 실제 농가현장에서 생산 활동을 직접 체험하고 반복훈련 함으로써 직무에 대한 적응과 직업의식을 함양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중인 1-2학년 지적 장애학생 14명(남 10명, 여 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첫 회기 원예치료 활동이 실시 되기 전에 인구통계학적 정보 설문지가 가정으로 배부되었고, 참여학생들의 보호자가 자녀들의 성별, 나이, 장애등급, 가족관계 및 현재 참여하고 있는 다른 대체치료 여부에 대하여 응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적 장애인은 어떻게 규정되는가? 지적 장애인은 정신발육이 항구적으로 지체되어 지적 능력의 발달이 불충분하거나 불완전하여, 자신의 일을 처리하는 것과 사회 생활에 적응이 상당히 곤란한 사람으로 규정하고 있다(Smith et al., 2006).
수경재배가 장애를 가진 사람도 참여가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 , 1999). 특히 농 작업의 대부분을 기계화, 장치화, 자동화를 통해 관수와 시비의 생력효과가 크며, 작기 종료 후 작물의 교체, 토양경운과 소독, 제초 등 생력화할수 있어 부녀자나 노년층, 그리고 정신적,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도 참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Jeong et al., 1999).
수경재배란 어떤 과정을 말하는가? 한편 수경재배(양액재배)는 ‘토양을 사용하지 않고, 작물의 정상적인 생육에 필요한 필수원소인 무기양분을 적당한 농도로 물에 용해시킨 배양액을 인위적으로 공급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과정’을 말한다(Lee, 1988). 수경재배는 시설재배 시 연작에 의하여 발생하는 염류 집적과 토양산성화 문제, 각종 생리장해 그리고, 토양전염성 병원균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시설의 주년 이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있는 장기적인 농업경영 계획을 설계하는데 유리하며, 농약의 사용기회가 줄어들어 고품질 청정 농산물의 생산이 가능 하다(Je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insworth, B.E., W.L. Haskell, S.D. Herrmann, N. Meckes, D.R. Bassett, Jr., C. Tudor-Locke, J.L. Greer, J. Vezina, M.C. Whitt-Glover, and A.S. Leon. 2011. 2011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ies: A second update of codes and MET values. Med. Sci. Sports Exerc. 43:1575-1581. 

  2. Allenbeck, P. and J. Campbell. 1966. A conceptual framework for adjustment training, J. Counseling Psychology 13:409-415. 

  3.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7.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4th ed. Lea & Febiger Co., Pennsylvania. 

  4. Beardslee, W.R., L. Son, and G.E. Vaillant. 1986. Exposure to parental alcoholism during childhood and outcome in adulthood: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British J. Psychiatry 149:584-591. 

  5. Cho, H.G. 2006.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mentally retarded adults. MS Thesis, Dong-A Univ., Busan, Korea. 

  6. Choi, S.M. 2001. Effects of a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for adjustment behavior and emotion in the high school students of special education. Case Studies Spec. Educ. 2:259-265. 

  7. Ekman, P. 1992. Are there basic emotion?. Psychol. Rev. 99: 550-553. 

  8. Hyun, J.H., H.S. Jin, J.Y. Hong, S.H. An, J.C. Choi, and H.S. Lee. 2007. The research on creating of job opportunity for the primary industry in the mentally retarded people.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Seongnam, Korea. 

  9. Im, E.A. 2010.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es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examination of its efficacy. PhD. Diss., Konkuk Univ., Seoul, Korea. 

  10. Izard, C.E. 1994. Innate and universal facial expressions: Evidence from development and cross-cultural research. Psychol. Bul. 115:288-299. 

  11. Jeong, S.J., B.S. Seo, and B.S. Lee. 1999. Eco-friendly product nutrient solution culture . Chonnam Natl. Univ., Gwangju, Korea. 

  12. Kang, G.N. 2004.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for job adjustment skills in the mentally retarded people. MS 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13. Kang, O.O., O.H. Na, K.S. Park, J.G. Ryu, M.H. Jeong, D.J. Kim, S.O. Jeong, and O.J. Kang. 2009.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ory. Nanumeuijip, Seoul, Korea. 

  14. Kim, H.Y., J.S. Song, J.H. Son, M.J. Gu, and M.H. Choi. 2001.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changes of interpersonal and self-esteem in the mental disorder. Kor. J. Hort. Sci. Technol. 19:35-35. 

  15. Kim, J.H. 2007.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based on social skill on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ity of women with mental retardation. MS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16. Kim, J.I., M. Yoo, and J.G. Park. 2003. Developing pictoral vocational interest test for mentally retarded people. Disability Employment 13(3):32-53. 

  17. Kim, J.Y. 2009.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depression and personal relations to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J. Ag. Sci. 20:185-186. 

  18. Kim, S.A. 1994. Studies for job adjust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disabled person.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Seongnam, Korea. 

  19. Kwon, H.S. 1988. Effects of a social-life drama for social efficiency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MS Thesis, Dankook Univ., Cheonan, Korea. 

  20. Lee, B.H. 2001. The effects of therapeutic recreation as physical activities on adaptive and emotional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tic mental retardation. MS Thesis, Ewha Womans Univ., Seoul, Korea. 

  21. Lee, E.S., S.H. Si, and K.C. Son. 2002. Effect of horticulture therapy on 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of mentally retarded persons. J. Kor. Soc. People Plant. Environ. 5(2): 17-24. 

  22. Lee, S.J., S.J. Um, J.E. Song, and K.C. Son. 2007.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using the floral decoration training on the improvement of occupational performance ability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mentally retarded. Kor. Soc. Hort. Sci. 25:474-484. 

  23. Lee, Y.G. 2010. Apply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the improvement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youth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MS 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24. Lee, Y.H. 1988. Hydroponics techniques. DaihakSeolim, Seoul. 

  25. McCarron, L.T. 1997. MAND McCarron assessment of neuromuscular development: Fine and gross motor abilities. Revised ed. Common Market Press, Dallas, TX. 

  26. McCarron, L. and J. Dial. 1976. McCarron-Dial evaluation system: A systematic approach to vocational, educational an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McCarron-Dial System. Dallas, TX. 

  27. McCarron, L. and J. Dial. 1986. McCarron-Dial evaluation system: A systematic approach to vocational, educational an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2nd ed. McCarron-Dial System, Dallas, TX. 

  28. McGowan, J.F and T.L. Porter. 1967. An introduction to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Washington, D.C 

  29. Oh, K.S. 2009. Exploration on possibility of the agricultural area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problems or people with autism. Spec. Educ. Res. 16(2): 283-308. 

  30. Park, H.C., J.O. Kim, J.H. Ryu, and H.J. Jeong. 2005. Neuromuscular development tes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31. Park, M.H., Y.J. Cha, Y.W. You, H.O. Boo, and S.Y. Lee. 2004.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esteem and sociality of mentally retarded persons. Kor. J. Plant. Res. 17:339-351. 

  32. Park, S.A., S.R. Oh, K.S. Lee, and K.C. Son. 2012.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upper limb and hand muscles during horticultural activity motions. Kor. J. Hort. Sci. Technol. 30:198. (Abstr.) 

  33. Park, S.A., C.A. Shoemaker, and M.D. Haub. 2008. How to measure exercise intensity of gardening tasks as a physical activity for older adults using metabolic equivalents. Acta Hort. 775:37-40. 

  34. Park, S.A., K.S. Lee, and K.C. Son. 2011. Determining exercise intensities of gardening tasks as a physical activity using metabolic equivalents in older adults. HortScience 46:1706-1710. 

  35. Park, S.A., C.A. Shoemaker, and M.D. Haub. 2009.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conditions of older adults classified as gardeners or nongardeners. HortScience 44:206-210. 

  36. Park, S.A and C.A. Shoemaker. 2009. Observing body position of older adults while gardening for health benefits and risks. Activities, Adaptation Aging 33:31-38. 

  37. Parker, H.C. 1992. The ADD hyperactivity handbook for schools: Effective strategies for identifying and teaching students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Plantation, FL: Impact. Specialty Press, North Branch, US. 

  38. Seo, J.S. 1999. A study on the effect of therapeutic recreation on the 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of the mental retarded. MS Thesis, Ewha Womans Univ., Seoul, Korea. 

  39. Shim, Y.E. 2008.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work adjustment skill in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MS Thesis, Dankook Univ., Cheonan, Korea. 

  40. Smith, M.B., J.R. Patton, and S.H. Kim. 2006. Mental retardation: An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disabilities. 7th ed.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41. Son, K.C. 2009. Indoor plants for human-being. Jungangsaeghwalsa, Seoul, Korea. 

  42. Son, K.C., J.S. Lee, and J.E. Song. 1999. Effect of visual recognition of Ficus benjamina and its photograph on changes of human brain electroencephalography and brain blood flow. J. Kor. Soc. Hort. Sci. 40:134-138. 

  43. Son, K.C., M.G. Cho, J.O. Song, S.Y. Kim, and S.S. Lee. 2006. Practice of professional horticultural therapy. Coobook Press, Korea. 

  44. Song, S.H. 2008. The effect pre-vocational education program on vocational interest search for students of highschool special classes. MS Thesis, Kong-ju Natl. Univ., Kongju, Korea. 

  45. Strong, W.B., R.M. Malina, C.J.R. Blimkie, S.R. Daniels, R.K. Dishman, B. Gutin, A.C. Hergenroeder, A. Must, P.A. Nixon, J.M. Pivarnik, T. Rowland, S. Trost, and F. Trudeau. 2005. Evidence based physical activity for school-age youth. J. Pediatrics 146:732-737. 

  46. Tan, S.K., H.E. Parker, and D. Larkin. 2001. Concurrent validity of motor tests used to identify children with motor impairment. Adapted Phys. Activity Quarterly 18:168-182. 

  47. Turner, L.W., M.A. Bass, L. Ting, and B. Brown. 2002. Influence of yard work and weight training on bone mineral density among older U.S. women. J. Women Aging 14:139-149. 

  48. Um, S.Y. 1996. Studies on the support system for employment stability of mentally retarded people.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Seongnam,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