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마즙과 오디가 첨가된 오미자청 샐러드드레싱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of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Salad Dressing Prepared with Yam Juice and Mulberry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8 no.5, 2012년, pp.531 - 540  

김형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임수빈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오혜림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혜련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초롱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나연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홍윤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이지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김미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방함량이 낮고 건강지향적인 고품질 오디 샐러드드레싱 개발을 위해 식초대신 오미자, 점도를 높이기 위해 생마즙을 사용하여 샐러드 드레싱을 제조하고 그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을 분석하였다. 샐러드 드레싱에 첨가되는 재료는 샐러드베이스(플레인 요거트:마요네에즈:생크림=8:1:1):오디분쇄물:오미자청:생마즙=4:4:6:1 또는 4:4:6:3 으로 첨가하였으며, 이때 첨가된 생마는 전체 샐러드 드레싱의 0,7, 18% 수준이었다. 샐러드 드레싱의 pH는 생마즙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산도는 낮아졌다. 점도는 생마즙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은 83.20 cP로 낮았으나, 생마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생마즙 7%첨가군은 113 cP, 18% 첨가군은 125 cP 를 나타내었다(p<0.001). 유화 안정성은 생마즙 첨가량과 관계없이 49-50으로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색도 중 명도와 황색도는 생마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대조군이 0.087 mg/g 이었으며, 생마즙 7% 첨가 오디 샐러드 드레싱은 0.101 mg/g, 생마즙 18% 첨가 오디 샐러드 드레싱은 0.122 mg/g 으로, 생마즙 함량이 증가할수록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증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IC_{50}$ 값은 대조군이 34.4 mg/mL, 생마즙 7% 첨가군이 32.3 mg/mL, 18% 첨가군이 29.7 mg/mL으로 생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DPPH 라디칼 소거능의 $IC_{50}$ 값이 낮아져 샐러드 드레싱의 항산화능이 증가하였다.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의 $IC_{50}$ 값은 대조군이 16.556 mg/mL, 7% 첨가군은 14.297 mg/mL, 18% 첨가군은 11.812 mg/mL 으로, 생마즙 함량이 증가할수록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은 증가하였다. 관능적 특성으로 기호도 검사 결과, 외관, 향, 맛, 조직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생마즙 첨가군이 높았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7%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오미자와 생마즙을 첨가한 오디 샐러드 드레싱 제조시 7%의 생마즙을 첨가할 경우 윤기, 색, 점도, 맛, 향, 기호도면에서 우수할 뿐 아니라 항산화성이 우수하여 고품질 천연 샐러드드레싱으로서 상품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ffect of yam juic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alad dressing was evaluated. Salad dressings were prepared with the salad dressing base (plain yogurt:mayonnaise:fresh cream=8:1:1), mulberry, omija for acidity, and yam for viscosity in the ratios of 4:4:6:1 and 4:4:6:3.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샐러드에 기호도가 높은 20대 초반 연령대의 사람들을 target group으로 설정하며 기능성이 우수한 고품질 샐러드 드레싱 개발을 위해 오디를 첨가하여 항산화능을 높이고, 식초대신 오미자를 사용하여 산미를 주고, 드레싱의 점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의 식용유 대신 마즙을 첨가하여 샐러드 드레싱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지방함량이 낮고 건강지향적인 고품질 오디 샐러드드레싱 개발을 위해 식초대신 오미자, 점도를 높이기 위해 생마즙을 사용하여 샐러드 드레싱을 제조하고 그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을 분석하였다. 샐러드 드레싱에 첨가되는 재료는 샐러드베이스(플레인 요거트:마요네에즈:생크림 =8:1:1):오디분쇄물:오미자청:생마즙=4:4:6:1 또는 4:4:6:3 으로 첨가하였으며, 이때 첨가된 생마는 전체 샐러드 드레싱의 0, 7, 18% 수준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드레싱이란 무엇인가? 샐러드에는 드레싱이 곁들여지는데, 드레싱이란 식품을 제조, 가공, 조리함에 있어 식품의 풍미를 돋우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식용유, 식초 등을 주원료로 하여 식염, 당류, 향신료, 알류 또는 식품 첨가물을 가하고 유화시키거나 분리액상으로 제조한 것 또는 이에 채소류, 과일류 등을 가한 것으로 마요네즈, 유화형 드레싱, 분리액상 드레싱, 샐러드드레싱, 프렌치드레싱을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다(식품공전 2010). 마요네즈의 상업적 생산은 우리나라에서는 1972년에 처음 기업화되어 그 소비가 급증되었다.
샐러드 드레싱의 점도는 생마즙을 첨가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샐러드 드레싱의 pH는 생마즙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산도는 낮아졌다. 점도는 생마즙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은 83.20 cP로 낮았으나, 생마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생마즙 7%첨가군은 113 cP, 18% 첨가군은 125 cP 를 나타내었다(p<0.001). 유화 안정성은 생마즙 첨가량과 관계없이 49-50으로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오디는 어떤 생리활성을 나타내고 있는가? 오디는 뽕나무 열매로 안토시아닌 함량이 매우 높고 비타민, 무기질 함량이 높아, 항당뇨(Kim TW 등 1996), 항산화, 항염증(Shin DH 1996, Kim YJ 1997), 콜레스테롤 억제 및 지질대사개선(Kim HB 등 2001)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어 가공식품 및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는 유기산 함량이 약 24%로 매우 높고, 항산화(Kim YS 등 2003), 혈당강하(Kim SI 등 2009), 항균성과 혈전 용해능(Kwon HJ와 Park CS 2008), 항암 및 항종양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므로(Mok CK 2005) 드레싱에 식초대신 오미자를 사용한다면 건강기능성이 부여된 고품질의 드레싱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한국식품공업협회. 2010. 식품공전(별책). pp 404-405 

  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cals, Inc. Virginia. p 918 

  3. Cha GS, Kim JW, Chio CU. 1998. A composition of emulsion stability as affected by egg yolk ratio in mayonnaise prepa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2):225-230 

  4. Cho H, Yang YH, Lee KJ, Cho YS, Chun HK, Song KB, Kim MR.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fat salad dressing with spirulina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2(4):329-335 

  5. Chung HY. 1995. Fraction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lipid components in Korean yam (Dioscorea) tubers. J Korean Agric Chem Biotechnol 37(6):509-515 

  6. Chun JA, Song ES. 1995. Sensory and physical properties of low-fat mayonnaise made with starch-based fat replac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3):839-844 

  7. Ha YD, Lee SP, Kwak YG. 1998. Removal of heavy metal and ACE inhibition of yam mucilage. Korean J Food Sci Nutr 27(4):751-755 

  8. Hong JY, Choi YJ, Kim MH, Shin SR, 2009. Study on the quality of apple dressing sauce added with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Sing) and chitosan. Korean J Food Preserv 16(3):60-67 

  9. Hwangbo MH, Kim HJ, Yu MH, Lee JW, Lee IS. 2006. Optimization on dressing preparation from yogurt added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extract. Korean J Food Sci 22(2):22-29 

  10. Jeong CH, Shion JH, Kang MJ, Seoung TJ, Shin KH, Choi SG. 2007. Effect of garlic addition on oxidative stability of oil dressing and mayonnaise. J Agric Life Sci 41(4):52-62 

  11. Jung SJ, Kim NY, Jang MS. 2008. Formulation optimization of salad dressing added ith Bokbunja (Rubus coreanum Miquel) juice. Korean J Food Sci Nutr 37(1):497-504 

  12. Kim AJ, Yuh CH, Bang IS, Park HY, Lee GS. 2007. An investigation the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ddi jelly using mulberry fruit powder. Korean J Food Nutr 20(1):27-33 

  13. Kim HB, Kim SY, Ryu KS, Lee WC, Moon JY. 2001.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mulberry fruit on the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a rats. Korean J Seri Sci 43(4):104-108 

  14. Kim HD, Lee YJ, Han JS. 2002. A study of western food experience and the influence of sauce on food quality. J East Asian Dietary Life 12(5):307-311 

  15. Kim KI, Kim ML. 2010. Characteristics of wine fermented from mulberry juice. Korean J Food Preserv 17(4):563-570 

  16. Kim MH, Lee YJ. 2002. A study on standardizing a recipe for kiwi salad dressing. J East Asian Dietary Life. 12(5):407-414 

  17. Kim TW, Kwon YB, Lee JH, Yang IS, Yourn JK, Lee HS, Moon JY. 1996. A study on the antidiabetics effect of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 Sci 38(4):100-107 

  18. Kim SA, Koo HJ, Kim KS, Park JB. 2006. Characteristics of Korean single-harvested Pepper (Capsicum annuum, L.) flakes and the effects on the quality of various dressing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1):12-21 

  19. Kim SI, Sim KH, Ju SY. 2009. A study on antioxidative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under variable extract conditions Korean J Food Nutr 22(3):41-47 

  20. Kim YJ. 1997. The protect the living organ from free radicals and the failure of protection: age-related disease. Bull Food Technol 10(2):4-26 

  21. Kim YS, Park YS, Im MH.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Prunus mume and Schizandra chinenis H-20 extracts and their effects on quality of func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2):893-897 

  22. Kwon HJ, Park CS. 2008.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Preserv 1(5):587-592 

  23. Lee BY, Kim HK. 1998. Quality properties of Korean yam by various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4):877-882 

  24. Lee EJ. 2006. Effect of addition of 1-monocaprin on the storage stability of mayonnaise.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 240 

  25. Lee JA.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added with mulberry fruit juice from different breeds. Korean J Food Cookery Sci 18(2):216-227 

  26. Lee JA, Shin YJ, Park G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wite added aprico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6):165-173 

  27. Lee HJ, Hwang HJ.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with Rubos coreanum Miquel juice. Korean J Culinary Res 12(2):195-205 

  28. Lee SB, Ha YD, Kim HI. 1999. Effect of yam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Sci Nutr 28(4):805-809 

  29. Lee YJ, Ryu HS, Chun S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prepared with mulberry frui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5):537-544 

  30. Mok CK.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tea prepared from spray-dri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grape juice mixture. Food Eng Progress 9(13):226-230 

  31. Molyneux P. 2004. The use of the stable free radical diphenylpicrylhydrazyl (DPPH)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J Sci Technol 26(2):211-219 

  32. Moon HK, Park MS, Lee KH. 2008. Nutrition management examined by plate waste measurement- A comparison with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in the Changwon area. Korean J Comm Nutr 13(2):879-889 

  33. Nam HW, Woo IA, Phyn JW. 2000. A comparison of sociodemographic and dietary attitudes by lunch-provided types in elementary schools. J East Asian Dietary Life 10(1):77-88 

  34. Park SY, Joo NM. 2011. Processing optimiz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ocolate added with mulberry. Korean J Food Sci Technol 43(3):303-314 

  35. Park WH. 2009. Quality properties of herbal vinegar using medicinal herbs fermented with Cordyceps sinensis.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on p 1-52 

  36. Pearce KN, Kinsella JE. 1978. Emulsifying properties of proteins: Evaluation of a turbidmetric technique. J Agric Food Chem 26(3):716-723 

  37. Shin DH. 1996. The research and prospect of natural antioxidants. Bull Food Technol 8(11):28-33 

  38. Shin MH, Kim JG, Kang KO. 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s containing chicken foot gelatin. J East Asian Dietary Life 18(2):58-63 

  39. Shin SW, Lee YS, Park JH, Kwon TK, Suh SI, Kwon YK. 2004. Comparison of immunomodualtory effects of water-extracted Ginseng Radix, Pilose Asia-bell, Astragali Radix, Astractylodes Rhizoma alba and Dioscoreae Rhizoma.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ol 18(4):1140-1146 

  40. Shim HJ, Shon CW, Kim MH, Kang EY, Kim MY, Lee KJ, Lee JH, Kim MR.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paste salad dressing stored at two different temperatur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1):92-98 

  41.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3):144-158 

  42. Son MH. 2004. A study on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quality stability of functional red pepper dressing. Korean J Food Sci 10(1):107-120 

  43. Weicheng HU, Wang MH.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Aralia elata seeds fractions. Hort Environ Biotechnol 50(3):253-257 

  44. Weiss TJ. 1983. Mayonnaise and salad dressing in food and their uses 2nd Ed, Avi publishing company Inc. Westpot Connecticut. p 211 

  45. Yoon MH, Kim KH, Hwang HR, Jo JE, Kim MS, Yook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ocolate containing flowering cherry fruit powder. J Korean Food Sci Nutr 38(11):1600-1605 

  46. Xhin Z, Yang YH, Cho YS, Chun HK, Song KB, Kim, MR.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irulina-added salad dressing. J East Asian Dietary Life 15(3):292-2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