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도시연구를 위한 지리지(地理志)의 기초연구 -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여지도서(輿地圖書)』·『여도비지(輿圖備志)』·『대동지지(大東地志)』를 중심으로 -
Review of Geography Books for Joseon Dynasty Urban Research - Focused on Donggukyeojiji, Yeojidoseo, Yeodobiji and Daedongjiji -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1 no.5, 2012년, pp.33 - 46  

강서연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  윤인석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on reinterpreting the geography books in Joseon dynasty as records of the cities and consequently suggesting directions for further urban research. Geography books of Joseon dynasty are valuable references to understand the national policy, and imply that the focus of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에 관찬(官撰)의 전국 지리지에 대한 열람은 어떠했나? 조선시대 관찬(官撰)의 전국 지리지는 ‘조선’이라는 중앙집권국가에서 편찬한 일종의 자료집으로, 현재 도시사 연구에서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는 ‘읍지(邑誌)’를 토대로 작성된 것이다. 국방상의 이유로 자료의 열람이 제한되었던 조선전기와 달리, 조선후기에는 중앙에서 파악된 지역정보가 민간에까지 흘러들어가 『대동여지도』라는 성과물로 귀결되기에 이른다.
조선시대 관찬(官撰)의 전국 지리지는, 무엇을 토대로 작성되었는가? 조선시대 관찬(官撰)의 전국 지리지는 ‘조선’이라는 중앙집권국가에서 편찬한 일종의 자료집으로, 현재 도시사 연구에서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는 ‘읍지(邑誌)’를 토대로 작성된 것이다. 국방상의 이유로 자료의 열람이 제한되었던 조선전기와 달리, 조선후기에는 중앙에서 파악된 지역정보가 민간에까지 흘러들어가 『대동여지도』라는 성과물로 귀결되기에 이른다.
조선시대 전국 지리지는 어떤 가치가 있나? 조선시대 전국 지리지의 편찬은 국내외적으로 정국이 안정되고 왕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체제가 어느 정도 정비되었던 세종대에 와서야 비로소 시작된다.12) 이 시기 지리지는 건국초기 재정과 국방이라는 현안 해결의 필요성에 따라 작성된 가장 기본적인 자료로서13), 조선 초기 행정제도·자연환경 등을 참고할 수 있는 사료이다. 조선전기 지리지의 편찬은 세종 이후에도 몇 차례 더 시도되지만14) , 『동국여지승람』(1486년, 성종17)의 편찬으로 일단락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靑邱要覽 東輿圖 大東輿地圖 

  2. 經國大典, 大典通編 大典會通 以上, http://e-kyujanggak.snu.ac.kr 

  3. 全國地理志, 亞細亞文化社 影印本, 1982. 

  4. 輿地圖書, 國史編纂委員會 影印本, 1973. 

  5. 東輿圖志(標題: 大東輿地通考), 嶺南大學校圖書館 所藏 

  6. 輿圖備志, 韓國人文科學院 影印本, 1991. 

  7. 大東地志, 漢陽大學校附設國學硏究院 影印本, 1974. 

  8. 邑誌, 亞細亞文化社 影印本, 1982. 

  9. 朝鮮時代私撰邑誌, 韓國人文科學院 影印本, 1989. 

  10. (國譯)萬機要覽: 軍政編1, 民族文化추진회, 1971. 

  11. 朴仁鎬, 朝鮮後期 歷史地理學 硏究, 以會文化社, 1996. 

  12. 裵祐晟, 조선후기 국토관과 천하관의 변화, 一志社, 1998. 

  13. 徐仁源, 朝鮮初期 地理志 硏究, 혜안, 2002. 

  14. 李起鳳, 근대를 들어올린 거인, 김정호, 새문사, 2011. 

  15. 李起鳳, 조선의 지도 천재들, 새문사, 2011. 

  16. 韓國歷史硏究會, 조선은 지방을 어떻게 지배했는가, Acanet. 2000. 

  17. 李存熙, 朝鮮時代 地方行政制度硏究, 一志社, 1990. 

  18. 陸軍士官學校 韓國軍事硏究室, 韓國軍制史 2, 1968. 

  19. Yang, Bo-Kyung, A study on the Nature and Geographic Thought of Up-chi(邑誌) in the Choson Dynasty,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7. 

  20. Kim, Hun-Gyu, A study of the formation and planning principles of the provincial city "Eupchi" during the Joseon Dynasty,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ol.16, No.2, 2007. 

  21. Yoon, Hong-Key, A Carto-genealogical study of Taedongyojido(大東輿地圖),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Vol.3,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