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급식 HACCP 검증 체크리스트 개선 - 오징어채소무침을 중심으로 -
Improvement of HACCP Verification Checklist in School Foodservices - A Case Study on Cooked Squid with Seasoned Fresh Vegetable -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8 no.3, 2012년, pp.222 - 233  

김양숙 (상남초등학교) ,  문혜경 (국립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혜진 (경해여자고등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improvement and modification of the HACCP verification checklist in school foodservices. For this, the HACCP verification checklist was modified on the basis of an existing school foodservice format. The modified checklist was composed of 28 items, including CCPs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HACCP 시스템 전반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일련의 행위가 HACCP 검증이다. 검증의 목적은 수립된 HACCP 계획이 식품안전성 확보에 효과적인지, HACCP 계획이 올바르게 실행되고 있는지 또는 계획에 대한 변경 필요성은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에는 학기당 1회에 한하여 HACCP 자체 검증을 실시하고 결과표를 작성하도록 하고 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학교급식 HACCP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주로 HACCP 도입의 장애요인(Choi 등 2003; Lee & Lee 2005), 생산음식이나 기구 및 용기에 대한 미생물 품질분석(Kwon 등 2003) 및 종사자들의 직무수행 수준(Moon 등 2004)을 중심으로 많이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식 HACCP 검증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학교급식위생관리 지침서(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의 HACCP 자체 검증 결과표를 수정ㆍ보완하고 조리음식, 조리도구의 미생물 및 환경 미생물 분석 결과와의 상관성을 통해 검증용 체크리스트의 사용 적합성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기존의 HACCP 검증 결과표를 급식현장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정ㆍ보완하고 창원지역 14곳의 급식학교에서 오징어채소무침을 중심으로 조리음식, 작업도구, 환경위생 미생물 검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HACCP 검증용 체크 리스트의 사용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기존의 방식이 검증결과와 시정조치사항을 자유롭게 기술 하는 방식인 반면 본 연구에 사용된 체크리스트는 각 문항에 대한 검증 척도를 3단계(우수, 보통, 미흡)로 나누었으며 우수 2점, 보통 1점, 미흡 0점으로 점수화하였다. 학교 현장점검 시 평가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편견을 방지하고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각 항목에 대하여 평가지표를 함께 제시하였다. 평가지표는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에 제시된 학교급식 위생안전점검표와 CCP별 점검 결과 및 조치 사항을 참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공적인 HACCP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HACCP 시스템은 식품의 위해요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관리제도로 인정받고 있다. 성공적인 HACCP을 위해서는 적절하고 효과적인 HACCP 계획의 수립, 실행및 유지가 중요하며, 상황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개선, 보완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HACCP 시스템 전반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일련의 행위가 HACCP 검증이다.
HACCP 시스템은 어떤 제도로 인정받고 있는가? 학교급식 HACCP 시스템은 1999년 교육부 정책 연구과제로 HACCP plan이 개발되었으며 2000년에 시ㆍ도교육청별로 3개교씩 시범 적용을 통해 2001년부터 모든 급식학교에 점진적으로 확대되었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HACCP 시스템은 식품의 위해요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관리제도로 인정받고 있다. 성공적인 HACCP을 위해서는 적절하고 효과적인 HACCP 계획의 수립, 실행및 유지가 중요하며, 상황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개선, 보완해 나가야 한다.
HACCP 검증의 목적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HACCP 시스템 전반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일련의 행위가 HACCP 검증이다.검증의 목적은 수립된 HACCP 계획이 식품안전성 확보에 효과적인지, HACCP 계획이 올바르게 실행되고 있는지 또는 계획에 대한 변경 필요성은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에는 학기당 1회에 한하여 HACCP 자체 검증을 실시하고 결과표를 작성하도록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 HJ, Chun HJ (2003):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cooking utensils and working area of foodservice establishments and hygienic improvement by implementing HACCP system. Korean J Sci Food Cookery Sci 19:231-240 

  2. Choi SH, Kim SH, Kwak TK (2003): The survey of perception on obstacles in implementing generic HACCP plan for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Diet Assoc 9(3):209-218 

  3. Jang JS, Bae HJ (2006): Analysis of usage frequency of foods with microbiological hazards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Food & Nutr 19(2):234-241 

  4. Jeon IK, Lee YK (2003): Verification of the HACCP system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focus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foods in heating process and after-heating process. Korean J Nutr 36(10):1071-1082 

  5. Kassa H, Harrington B, Bisesi M, Khuder S (2001): Comparisons of microbiological evaluations of selected kitchen areas with visual inspections for preventing potential risk of foodborne outbreaks in food service operations. J Food Prot 64(4):509-513 

  6. Kim GM, Lee SY (2009): Factors related to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based on HACCP system in school foodservice: seoul, Gyeonggi, Kangwon and Choongchung area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4(6):817-830 

  7. Kim JG, Lee KM (2003): A study on the sanitary condition of kitchens and facilities of school food-service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part 2. temperature, humidity, noise and microbiological examination.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9(3.4):259-268 

  8. Kim NY (2010): The survey of cleaning and sanitizing of raw vegetables not heated and utensils in school foodservices. Masters degree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9. Kim YJ, Choi KD, Shin IS (2010): Bactericidal activity of strongly acidic electrolyzed water on various vegetables and kitchen appar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5):776-781 

  10. Kim YS (2008): Microbiological quality and perception of nutrition teachers regard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Gyeongnam. Masters degree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pp.34-43 

  11. Kim YS, Jung RW, Lee HG (1990): A study on the dietary habit and the food preference of pre-school children. Korean J Soc Food Sci 6(2):105-119 

  12. Kwon SH, Lee HO, Chung DH, Shin WS, Om AS (2003): The Seasonal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for application of HACCP system to the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5):647-658 

  13. Lee BD, Kim JH, Kim JM, Kim DW, Rhee CO, Eun JB (2006):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HACCP system application to hospitals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3):383-387 

  14. Lee JH, Goh YK, Park KH, Ryu K (2007): Assess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for school food service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3):310-321 

  15. Lee KE, Lee HS (2005): Influences of school food service dietitians'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barriers to HACCP implementation on food sanitation/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in Gyeongbuk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1(2):179-189 

  16.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4): Hygienic management guide book for school lunch. 2nd ed. pp.121 

  1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Hygienic management guide book for school lunch. 3rd ed. pp.52-122 

  18. Moon HK, Jean JY, Lyu ES (2004): Assessment of hygiene knowledge and recognition on job performance levels for HACCP implementation for dieticians and employees at contract foodservices. J Korean Diet Assoc 10(3):261-271 

  19. Nam EJ, Lee YK (2001): Evaluation of sanitary management based on HACCP of business and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in Taegu and Kyungpook areas. J Korean Diet Assoc 7(1):28-37 

  20. Om AS, Kwon SH, Chung DH, Oh SS, Lee HO (2003): Microbiological quality evaluation for application of the HACCP system to the bakery products at small scale bakerie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4):454-462 

  21. Park HK, Kim KL, Shin HW, Kye SH, Yoo WC (2000):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cooking utensils and environment of mass catering establishments. J Fd Hyg Safety 15(4):315-323 

  22. Stauffer LD (1971): Sanitation and the human ingredient. Hospital 45:62-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