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미김의 제조공정별 위해요소분석, 중요관리점 결정 및 한계기준 개발
Hazard Analysis, Determination of Critical Control Points, and Establishment of Critical Limits for Seasoned Laver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1 no.2, 2015년, pp.1 - 10  

강민정 (연성대학교 식품영양과) ,  이학태 (녹색식품안전연구원) ,  김정연 (서정대학교 식품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조미김 식품제조 가공 업소에서 제조한 조미김을 대상으로 주요 원료 및 제조공정별 생물학적 위해요소분석을 실시하여 생물학적 중요관리점(CCP)을 파악하고, 이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한계기준을 설정하여 HACCP Plan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 일반세균수는 2차 가열공정 이전에서는 $10^3{\sim}10^4CFU/g$의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2차 가열 이후에서는 $1.0{\times}10CFU/g$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조미김의 제조공정별 병원성미생물 분석결과, 모든 제조공정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조미김의 제조 유통시 CCP는 2차 가열 과정으로 결정되었다. 가열온도$170{\pm}5^{\circ}C$, $200{\pm}0.5^{\circ}C$, $230{\pm}5^{\circ}C$로 하고, 각각의 온도에서 가열시간을 $3.0{\pm}5$초, $4.0{\pm}0.5$초, $5.5{\pm}0.5$초로 실시하면서 일반세균과 병원성미생물을 시험한 결과, 2차 가열 전 병원성 미생물은 음성이었다. 일반세균은 $230{\pm}5^{\circ}C$일 때 현저히 감소되었고, 특히 가열시간을 $5.5{\pm}0.5$일 때 $1.0{\times}10CFU/g$ 이하로 나타났다. 미생물학적 위해요소를 HACCP 시스템에 적용하여 생산한 조미김의 경우 상품가치와 품질, 안전성을 확보하기에 가장 적절한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은 $230{\pm}5^{\circ}C$, 가열시간은 $5.5{\pm}0.5$초로 한계기준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조공정별 위해요소분석을 활용하여 조미김의 중요관리점 및 한계기준을 설정하였고, 이를 통하여 HACCP 계획을 수립하고, 사후관리 등에 활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ritical limit of CCP (Critical Control Point) of a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system used in the production of seasoned laver products. The hazard analysis examined microbial evaluations and developed a HACCP management plan for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조미김 식품제조 가공 업소에서 제조한 조미김을 대상으로 주요 원료 및 제조공정별 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을 실시하여 생물학적 중요관리점(CCP)을 파악하고, 이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한계기준을 설정하여 HACCP Plan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규모 제조 가공 업소에서 생산된 기타 식품류 조미김의 HACCP를 적용하기 위한 준비단계에서 생물학적 위해요소분석을 식품위생검사기관에 의뢰 분석을 실시하여 생물학적 중요관리점(CCP)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한계기준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안전 요구에 대한 소비자인식 및 요구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식품산업체는 어떤 태도를 보이는가? 최근 대형 식품안전사고의 발생으로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품의 생산 등 식품안전 요구에 대한 소비자인식 및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식품산업체 또한,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HACCP의 적용확대 등 이물 및 위해요소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가공식품의 보관, 제조, 가공, 유통, 조리 과정 후 최종 소비자에 이르기까지의 전반에 걸쳐 식품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HACCP은 무엇인가? 이러한 양면적 필요성을 부합시킬 수 있는 공식적인 인증 시스템이 HACCP이며, 식품안전관리기법으로는 최고의 것으로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Kim KY․Yoon SY 2013; Kim DJ․Kim GJ 2010; Lee JY 2008). HACCP은 식품가공제조와 관련된 미생물학적 위해요소를 공정단계별로 파악하고 평가하는 조직적 시도와 이들을 효과적으로 예방조치하는 식품안전시스템이다(Um YH 2010; Choi SR et al 2009; Kyung KH et al 2008; Om AS et al 2003; Woo GJ et al 2002).
구매 후 즉석에서 섭취되는 식품류가 갖는 특징은 무엇인가?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은 업소마다 다양한 조건을 갖는다. 구매 후 즉석에서 섭취되는 식품류는 식사준비 시간 절약과 섭취가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가열 및 별도의 조리 과정 없이 그대로 섭취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제품의 안전성과 미생물학적 품질이 중점적으로 관리될 필요가 있다. 소규모 제조업체에서 생산되는 조미김은 원재료 관리에서 최종제품의 생산, 유통 단계 중 어느 한 부분에서라도 품질관리가 소홀해지면 대형 식중독 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Bae HJ․Park HJ 2011, Lee JH․Bae HJ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e HJ, Park HJ (2011).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ready-to-eat sandwiches and quality improvement effect by implementing HACCP. Korean J Food Cookery Sci 27(4):55-65. 

  2. Choi SR, Hwang SH, Song IH, Yu MK, Choi SJ, Kim SN (2009).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Easy-to-understand HACCP administration. Easy-to-understand HACCP administation, 300-302. 

  3. Kim DJ, Kim GJ (2010). A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sanitation educ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sanitation knowledge and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of culinary employees.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2):291-307. 

  4. Kim KY, Yoon SY (2013). A study on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for the HACCP system construction of seasoned laver. J Environ Health Sci 39(3):268-278. 

  5.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2012). Korean Food Standards Codex, 591. 

  6. Korea Livestock Products HACCP Accrediation Service(2013). Statistics of HACCP certification. available: http://www.ihaccp.or.kr/site/haccp/sub.do?key221. 

  7. Koo MS, Kim YS, Shin DB, Oh SW, Chun HS (2007). Shelf-life of prepacked kimbab and sandwiches marketed in convenience stores at refrigerated condition. J Fd Hyg Safety 22(4):323-331. 

  8. Kwak TK, Nam SL, Kim JL, Park SJ, Seo SY, Kim SH, Choi EH (1995). Hazard analysis of commiss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Food Cookery Sci 11(3):249-260. 

  9. Kyung KH, Ko BK, Kim SS, Park JH, Son DH, Shin SK et al (2008)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Dictionar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wangil publishing. 

  10. Lee JH, Bae HJ (2011). Determining kimbab shelf- life with a HACCP system. Korean J Food Cookery Sci 27(2):61-71. 

  11. Lee JM, Park JY, Lee HR, Lee MS, Yoo SY, Chung DH, Lee JM, Oh SS (2005) Microbiological evaluation for HACCP guideline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J Fd Hyg Safety 20(1):36-42. 

  12. Lee JY (2008). Global trends in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HACCP. J Fd Hyg Safety 23:19-25. 

  13. NACMCF (1998a). HACCP principles and application guidelines. J Food Protection 61:1246-1259. 

  14. NACMCF (1998b). Principles of risk assessment for illness caused by foodborne biological agents. J Food Protection 61:1071-1074. 

  15. Om AS, Kwon SH, Chung DH, Oh SS, Lee HO (2003). Microbiological quality evaluation for application of the HACCP system to the bakery products at small scale bakeries. J Soc Food Cookery Sci 19(4):454-462. 

  16. Park WH, Yi SH, Chung DH (2004). SSOP program development for HACCP application in fresh raw fish manufacturing. J Food Hyg Safety 19(2):84-96. 

  17. Souness R (2000). HACCP in Australian food control. Food Control 11:353-357. 

  18. Um YH (2010). A study on actual sanitary management conditions and education plan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3): 237-249. 

  19. Woo GJ, Lee DH, Park JS, Kang YS, Kim CM (2002). Prevention of food poisoning outbreaks and food safety control. Food Industry and Nutrition 7(1):17-21. 

  20. Yang TS, You BJ, Jeon HJ (2005). A atudy for(on) the satisfaction and the importance of contract foodservice in colleges in Jeju. Korean J Culinary Research 11(2):1-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