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지(Root of Polygala teunifolia Willd.) 추출물의 급성 경구투여 독성 연구
Acute Oral Toxicity of Root of Polygala teunifolia Willd. Extract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26 no.4, 2013년, pp.1 - 13  

노항식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독성연구과) ,  정자영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독성연구과) ,  석지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독성연구과) ,  하헌용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n this study, i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cute oral toxicity of Root of Polygala teunifolia Willd. in Sprague-Dawley (SD) rats. Methods: Male and female rats were administered orally with Root of Polygala teunifolia Willd. water extract of 1,000 mg/kg (low dosage group), 2,000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한약 및 제한적 식품원료로 사용되는 원지의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 식품의약품 안전청 ‘비임상시험관리기준(식약청고시제2012-61)’ 및 ‘의약품등의 독성시험기준(식약청고시 제2012-86)’에 따라 단회 투여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지의 성질은 무엇인가? )의 뿌리를 사용하며, 細草, 棘菀, 葽繞, 小草根, 醒心杖, 小鷄腿, 小鷄眼 등의 이명으로 불린다9,13). 원지의 성질은 미온(微溫)하고, 맛은 신고(辛苦)하며, 폐, 심장, 신장 등에 주로 작용하여 영심안신(寧心安神), 거담개규(祛痰開竅), 해독소종(解毒消腫) 하는 작용이 있어 심신불안, 경계실면, 건망 등의 긴장성 신경질환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으며, 해수담다(咳嗽痰多), 옹저발배(癰疽發背), 유방창통(乳房脹痛) 등의 장부 기능저하로 인한 염증성 질환에도 효과가 있는 약물로 알려져 있다9). 주요 약리활성 성분으로는 tenuigenin, tenuifolin, onjisaponin, polygalitol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중추신경안정, 항경궐, 혈압강하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14).
원지는 무엇인가? 원지는 원지과(Polygalaceae)에 속한 다년생 식물인 원지(Polygala teunifolia Willd.) 또는 시베리아 원지(P. sibirica L.) 및 신강 원지(P. hybrida DC.)의 뿌리를 사용하며, 細草, 棘菀, 葽繞, 小草根, 醒心杖, 小鷄腿, 小鷄眼 등의 이명으로 불린다9,13). 원지의 성질은 미온(微溫)하고, 맛은 신고(辛苦)하며, 폐, 심장, 신장 등에 주로 작용하여 영심안신(寧心安神), 거담개규(祛痰開竅), 해독소종(解毒消腫) 하는 작용이 있어 심신불안, 경계실면, 건망 등의 긴장성 신경질환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으며, 해수담다(咳嗽痰多), 옹저발배(癰疽發背), 유방창통(乳房脹痛) 등의 장부 기능저하로 인한 염증성 질환에도 효과가 있는 약물로 알려져 있다9).
원지의 약리활성 성분과 효능은 무엇인가? 원지의 성질은 미온(微溫)하고, 맛은 신고(辛苦)하며, 폐, 심장, 신장 등에 주로 작용하여 영심안신(寧心安神), 거담개규(祛痰開竅), 해독소종(解毒消腫) 하는 작용이 있어 심신불안, 경계실면, 건망 등의 긴장성 신경질환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으며, 해수담다(咳嗽痰多), 옹저발배(癰疽發背), 유방창통(乳房脹痛) 등의 장부 기능저하로 인한 염증성 질환에도 효과가 있는 약물로 알려져 있다9). 주요 약리활성 성분으로는 tenuigenin, tenuifolin, onjisaponin, polygalitol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중추신경안정, 항경궐, 혈압강하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14). 이와 같이 원지는 오늘날에도 다양한 한방질환에 단방 또는 복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통적 활용방법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안전성에 대한 기초자료의 확보가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신현경. 기능성 식품의 개발 및 연구동향. 식품과학과 산업. 1997;30(1):2-13. 

  2. Park SH, Han JH. A study of medicinal plants for applications in functional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4;33(1):34-40. 

  3. Bae JS, et al.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granule, globular and liquid types of herbal medicines. KSBB Journal. 2010;25:91-6. 

  4. Park HM, et al. Metal exposure through consumption of herbal medicine and estimation of health risk among Korean population. Kor. Env Health. 2006;32 :186-91. 

  5. Oh TW, et al. Thirteen-week repeated -dose oral toxicity study of the Modified Wenpitang-Hab-Wulingsan(WHWⓡ) in sprague-dawley rats. Korean Journal of Herbology. 2010;25(3):43-51. 

  6. Kim TH, et al. The analysis of residual pesticides and sulfur dioxide in commercial medicinal plants. Korean Journal of Herbology. 2012;27(6):43-8. 

  7. Lee SD, et al. Herbal toxicological effects on rats' fetus-focusing on ojeoksan-. 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2008;12(2):27-35. 

  8. Hwang SY, et al. Four-week repeated -dose toxicity study on Mori radicis Cortex. The korean journal of laboratory animal science. 2004;20(3):283-90. 

  9. Shi CN, et al. Effects of polygala tenuifolia extracts on learning and memory abilities in Alzeimer's disease model mice. J Apoplexy and Nervous Diseases. 2011;28(7):620-2. 

  10. Oh HS, Kim BW.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 of Root of Polygala tenuifolia Willd. Korean J Orient Int Med. 2013;34(2):204-14. 

  11. Lee DS, et al. Neuroprotective effect of the acid hydrolysis fraction of the J Korean Obstet Gynecol Vol.26 No.4 November 2013 13 roots of Root of Polygala tenuifolia.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1;25(4):628-34. 

  12. Kim SH, et al. Nootropic and antiamnestic effect of PPA on scopolamine -induced cognitive impairment in mice.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1;22(4):185-99. 

  13. 하헌용. 本草學異名辭典. 서울:문두사. 2007:488. 

  14. Hu XM, et al. Zhonghwabencao jingxuanben. Shanghai:Shanghaikejichubanshe. 1998; 1:1893-902. 

  15. Kim KS. Pres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medicinal plant resources in korea. research of national resources. 1999;2 :25-41. 

  16. Kweon KT. A reasearch on management system of herbal medicine in common use for food and medicine. Korean Journal of Herbology. 2012;27(2):25-9. 

  17. Shi CN, et al. Effects of Polygala tenuifolia extracts on learning and memory abilities in alzeimer's disease model mice. J Apoplexy and Nervous Diseases. 2011;28(7):620-2. 

  18. Kweon KT. Study on the regulation on poisonous medicinal herbs.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2010;11(1):271-96. 

  19. Park YK, et al. Thirteen-week repeated -dose oral toxicity study of KOB03, a polyherbal medicine for allergic rhinitis, in rats. Korean Journal of Herbology. 2013;28(1):15-21. 

  20. Yu PH, et al. Furendaquanliangfang. Tianjin:Tianjinkejichubanshe. 2003;1:67-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