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애완학습곤충 소비자의 행동 모니터링
Website Monitoring on the Behavior of Consumers for Educational Pet Insects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2 no.4, 2013년, pp.335 - 340  

김소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성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최원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박종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박해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영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남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점차 확대되고 있는 애완학습곤충 시장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적절한 대응을 하기 위해 실제 소비자들의 이용행태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소비자의 욕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곤충 관련 박물관, 체험관, 곤충농장 등을 방문한 적이 있거나 곤충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가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게시물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게시물의 사진 및 텍스트를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애완학습곤충 시장은 자녀의 교육목적을 위한 초등학교 저학년 이하의 자녀를 동반한 가족형 방문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 목적지는 주로 서울, 경기의 수도권에 집중되어있으며, 자녀의 방학기간을 이용한 방문이 가장 많았다. 사진 분석 결과 체험활동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만족한 내용도 체험거리가 많고 다양하다는 것이었기 때문에 앞으로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수준별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불만족한 내용은 곤충에 대한 거부감인 것으로 나타나 곤충에 대한 친근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다른 동물이나 식물과 연계한 프로그램의 개발 등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애완학습곤충 시장이 계속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곤충종의 다양화 및 곤충을 활용한 체계화된 체험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market of educational pet insects is expanding, understanding the consumer needs became more crucial. To achieve the ideal analysis on the market, this research monitored the behavior of consumers. The posting on the blogs of consumers, who have visited insect museums and farms, or have bou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점차 확대되고 있는 애완학습곤충시장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 실제 소비자들의 이용행태를 살펴봄으로써 애완학습곤충 소비자의 욕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곤충관련 박물관, 체험관, 과학관, 전시회, 곤충농장 등을 방문한 적이 있거나 곤충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가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게시물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사진 및 텍스트를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애완학습 곤충이란? , 2011). 애완학습곤충이란 사람들이 곁에 두고 기르면서 즐거워할 뿐 아니라 자연을 이해하고 공부하면서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받는 곤충을 말하는데(Park et al., 2011), 국내에서는 주로 장수풍뎅이류와 사슴벌레류 및 나비류의 인기가 높은 편이다.
곤충시장은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가? 곤충은 전통적으로 양봉· 양잠과 일부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천적용 및 화분매개용 곤충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나, 최근 곤충시장에서 가장 빨리 성장하고 있는 분야는 애완학습용 곤충분야라고 할 수 있다(Kim, 2007). 애완용 곤충 시장은 그 규모면에서는 일본이 가장 큰 편이지만 중국에서도 오래전부터 곤충의 소리를 즐겨듣기 위해 소리곤충을 사육하고 판매해왔으며, 우리나라도 주로 왕실이나 상류층에서 살아있는 곤충을 감상하고 즐기는 풍습을 찾아볼 수 있어 오랜 역사를 가진 것을 알 수 있다(Nam and Ma, 2000).
국내에서는 어떠한 문화곤충의 인기가 높은 편인가? 애완학습곤충이란 사람들이 곁에 두고 기르면서 즐거워할 뿐 아니라 자연을 이해하고 공부하면서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받는 곤충을 말하는데(Park et al., 2011), 국내에서는 주로 장수풍뎅이류와 사슴벌레류 및 나비류의 인기가 높은 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Choi, Y.C., Kim, N.J., Park, I.G., Lee, S.B., Hwang, J.S., 2011. The new value of insect. 20 pp.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 Kang, P.D., Choi, Y.C., Hwang, J.S., Park, I.G., Nam, S.H., Kim, M.A., Lee, Y.B., Kim, N.J., Park, G.H., Yun, H.J., Lee, G.Y., Kim, J.H., 2012. Insect industry. 157 pp.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3. Kim, B.S., 2007. The utilization of insect resources in agricultural sector and future challenges. 93 pp.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4. Kim, H.J., Bae, J.H., Shim, K.C., So, K.H., 2013. A study of elementary students' cognition and attitude about insects. J. Biol Education, 41, 61-74. 

  5. KIPO, 2011. Risk assessment of educational pet insect and patent trend report. 157 pp.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Institute. 

  6. Nam, J.H., Ma, Y.I., 2000. Resource of insects from various countries and its utiliz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6 pp. 

  7. Park, H.C., Kim, N.J., Hong, S.J., Kim, S.H., Yun, H.J., Kim, M.A., Kim, J.G., Lee, Y.B., No, E.H., 2011. Educational pet insect. 141 pp.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8. Prebensen, N., Skallerud, K., Chen, J, S., 2010. Tourist motivation with sun and sand destinations: satisfaction and the wom-effect. J. Travel & Tourism Marketing, 2, 858-8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