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울토마토 시설재배에서 비벡터링(bee-vectoring) 기술을 이용한 Bacillus Subtilis 포장내 전파
Dissemination of Bacillus Subtilis by using Bee-vectoring Technology in Cherry Tomato Greenhouses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2 no.4, 2013년, pp.357 - 364  

박홍현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작물보호과) ,  김정준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농업미생물과) ,  김광호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작물보호과) ,  이상계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작물보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벡터링은 벌이 수정활동을 하는 동안에 이들로 하여금 병해충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식물체에 전달하게 하여 생력적으로 병해충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작물보호 기술이다. 국립농업과학원 시험포장과 농가포장의 방울토마토 시설하우스에서 화분매개충인 뒤영벌(Bombus terrestris), 미생물제제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그리고 자체 제작한 분배장치를 이용하여 비벡터링 시험을 수행하였고, 식물체에 전파된 미생물제제의 양과 비율을 측정하였다. 분배장치를 통과한 벌 충체에는 $9.0{\times}10^5{\sim}1.9{\times}10^6$의 세균이 검출되었다. 농과원 시험포장 방울토마토 꽃에서 측정된 세균수는 꽃당 2,600-8,600개 였으며, 80-100%의 꽃에서 검출되었다. 미생물제제를 주 1회와 주 2회 교체한 경우 처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농가포장에서는 꽃당 1,800-2,400개를 83-93%의 꽃에서 검출할 수 있었고, 비벡터링시험전에 비해 세균수가 75배 증가되었다. 비벡터링 시험에 따른 벌 사망률은 22% 정도로 무처리구와 차이는 없었고, 따라서 미생물제제가 뒤영벌에 대한 부작용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벡터링 기술 적용에 따른 방울토마토의 수확량은 무처리구와 비교해서 차이가 없었다. 앞으로 뒤영벌에 안전하면서 병해충에 대한 방제효과가 좋은 미생물 제제들을 선발하고, 병해충 발생에 따라 이 기술의 운용 전략 등을 세심하게 가다듬으면 화분매개곤충을 이용하는 토마토, 딸기 재배에서 이 기술의 실용화는 매우 가까이에 왔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e-vectoring is a new crop protection technology used for suppressing insect pests and diseases in crops by disseminating microbial agents into plants during bee pollination activities. In this study, we conducted bee-vectoring trials in cherry tomato greenhouses by using the bumble bee (Bombus 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농업현장에서 기술적용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을 때 친환경 안전농산물 생산에 많은 잠재성을 갖는 비벡터링기술 적용을 위해 국내에서 제작한 분배장치, 시판중인 미생물 제제 및 뒤영벌 조합을 이용하여 이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비벡터링에 따른 방울토마토에서 미생물제제의 운반량, 벌에 대한 영향, 수량조사결과에 대해 보고한다.
  • 본 연구에서는 농업현장에서 기술적용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을 때 친환경 안전농산물 생산에 많은 잠재성을 갖는 비벡터링기술 적용을 위해 국내에서 제작한 분배장치, 시판중인 미생물 제제 및 뒤영벌 조합을 이용하여 이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비벡터링에 따른 방울토마토에서 미생물제제의 운반량, 벌에 대한 영향, 수량조사결과에 대해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벡터링이란 무엇인가? 비벡터링은 벌이 수정활동을 하는 동안에 이들로 하여금 병해충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식물체에 전달하게 하여 생력적으로 병해충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작물보호 기술이다. 국립농업과학원 시험포장과 농가포장의 방울토마토 시설하우스에서 화분매개충인 뒤영벌(Bombus terrestris), 미생물제제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그리고 자체 제작한 분배장치를 이용하여 비벡터링 시험을 수행하였고, 식물체에 전파된 미생물제제의 양과 비율을 측정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시설재배에서 화분매개곤충으로 무엇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가? 우리나라의 경우 시설재배에서 화분매개곤충으로 뒤영벌 사용이 많이 되고 있으며(Yoon et al., 2007; Yoon et al.
비벡터링기술의 장점은 무엇인가? , 2008; Mommaerts and Smagghe, 2011). 이 기술의 장점은 화분매개곤충들의 빈번한 방화활동을 이용하여 병해충 방제가 필요한 꽃이나 잎에 정확히 미생물제제를 운반함으로써, 수분활동에 의한 농작물 수량증대 및 품질향상의 이점과 더불어 병해충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 요구 되는 미생물제제의 잦은 살포라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Sutton and Peng, 1993; Shipp et al., 1994; Kev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mazra'awi, M., Shipp, J.L., Broadbent, B., P. Kevan, P., 2006a. Biological control of Lygus lineolaris (Hemiptera: Miridae) and Frankliniella occidentalis (Thysanoptera: Thripidae) by Bombus impatiens (Hymenoptera: Apidae) vectored Beauveria bassiana in greenhouse sweet pepper. Biol. Control 37, 89-97. 

  2. Al-mazra'awi, M.S., Shipp, L., Broadbent, B., Kevan, P., 2006b. Dissemination of Beauveria bassiana by honey bees (Hymenoptera: Apidae) for control of tarnished plant bug (Hemiptera: Miridae) on canola. Environ. Entomol. 35, 1569-1577. 

  3. Al-mazra'awi, M.S., Kevan, P.G., Shipp, L., 2007. Development of Beauveria bassiana dry formulation for vectoring by honey bees Apis mellifera (Hymenoptera: Apidae) to the flowers of crops pest control. Biocontrol Sci. Techn. 17, 733-741. 

  4. Dimou, M., Taraza, S., Thrasyvoulou, A., Vasilakakis, M., 2008. Effect of bumble bee pollination on greenhouse strawberry production. J. Apicult. Res. 47, 99-101. 

  5. Kapongo, J.P., Shipp, L., Kevan, P., Broadbent, B., 2008a. Optimal concentration of Beauveria bassiana vectored by bumble bees in relation to pest and bee mortality in greenhouse tomato and sweet pepper. BioControl 53, 797-812. 

  6. Kapongo, J.P., Shipp, L., Kevan, P., Sutton, J.C., 2008b. Co-vectoring of Beauveria bassiana and Clonostachys rosea by bumble bees (Bombus impatiens) for control of insect pests and suppression of grey mould in greenhouse tomato and sweet pepper. Biol. Control 46, 508-514. 

  7. Kevan, P.G., Straver, W.A., Offer, M., and Laverty, T.M., 1991. Pollination of greenhouse tomatoes by bumble bees in Ontario. Proc. Ent. Soc. Ontario 122, 15-19. 

  8. Kevan, P.G., Kapongo, J.P., Al-mazra'awi, M., Shipp, L., 2008. Honey bees, bumble bees, and biocontrol. In: James, R.R., Pitts-Singer, T.L. (Eds.), Bee pollination in agricultural eco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pp. 65-79. 

  9. Kevan, P.G., Cooper, E., Morse, A., Kapongo, J.P., Shipp, L., Kholsa, S., 2009. Measuring foraging activity in bumblebee nests: a simple nest-entrance trip recorder. J. Appl. Entomol. 133, 222-228. 

  10.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KCPA), 2011. Agro-Pesticide user guide. SamJung Press. 1311pp. 

  11. Loose, J.L., Drummond, F.A., Stubbs, C., Woods, S., Hoffmann, S., 2005.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ive bees in cranberry. Maine agricultural and forest experimental station technical bulletin # 191, University of Maine, Orono, ME. 

  12. Mommaerts, V., Put, K., Vandeven, J., Jans, K., Sterk, G., Hoffman, L., Smagghe, G., 2010a. Development of a new dispenser for microbiological control agents and evaluation of dissemination by bumblebees in greenhous strawberries. Pest Manag. Sci. 66, 1199-1207. 

  13. Mommaerts, V., Sterk, G., Hoffmann, L., Smagghe, G., 2010b. A laboratory evaluation to determine the compatibility of microbiological control agents with the pollinator Bombus terrestris. Pest Manag. Sci. 65, 949-955. 

  14. Mommaerts, V., Put, K., Smagghe, G., 2011. Bombus terrestris as pollinator and vector to suppress Botrytis cinerea in greenhouse strawberry. Pest Manag. Sci. 67, 1069-1075. 

  15. Mommaerts, V., Smagghe, G., 2011. Entomovectoring in plant protection. Arthropod-Plant Inte. 5, 81-95. 

  16. Morandin, L.A., Laverty, T.M., Kevan, P.G., Khosla, S., Shipp, L., 2001. Bumble bee (Hymenoptera: Apidae) activity and loss in commercial tomato greenhouses. Can. Entomol. 133, 883-893. 

  17. Park, H.H., Kim, J.J., Mustafa, G., Shipp, L., 2011. Crop protection using entomopathogenic microbials and bee-vectoring technology in Korea. Proceedings of Korean Applied Entomology for 2011 fall meeting. p 3. 

  18. Peng, G., Sutton, J.C., Kevan, P.G., 1992. Effectiveness of honeybees for applying the biocontrol agent Gliocladium rosea to strawberry flowers to suppress Botrytis cinerea. Can. J. Plant Pathol. 14, 117-129. 

  19. Serrano, A.R., Guerra-Sanz, J.M., 2006. Quality fruit improvement in sweet pepper culture by bumblebee pollination. Sci. Hortic. 110, 160-166. 

  20. Shipp, J.L., Whitfield, G.H., Papadopoulos, A.P., 1994. Effectiveness of the bumble bee, Bombus impatiens Cresson (Hymenoptera: Apidae), as a pollinator of greenhouse sweet pepper. Sci. Hortic. 57, 29-39. 

  21. Shipp, L., Kapongo, J.P., Park, H.H., Kevan, P., 2012. Effect of bee-vectored Beauveria bassiana on greenhouse beneficials under greenhouse cage conditions. Biol. Control 63, 135-142. 

  22. Sutton, J.C., Peng, G., 1993. Manipulation and vectoring of biocontrol organisms to manage foliage and fruit disease in cropping systems. Annu. Rev. Phytopathol. 31, 473-493. 

  23. Turner, J.T., Backman, P.A., 1991. Factors relating to peanut yield increases after seed treatment with Bacillus subtilis. Plant Dis. 75, 347-353. 

  24. Yoon, H.J., Kim, M.A., Lee, S.B., Han, S.M., Kim. W.T., 2007. Understanding bumblebee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Rep. of Korea. 76pp. 

  25. Yoon, H.J., Kim, J.Y., Lee, K.Y., Lee, S.B., Park, I.G., Noh, S.K., 2008. Comparision of the colony development of the bumblebees, Bombus terrestris produced from domestic ad foreign bumblebees companies. Korean J. Appl. Entomol. 47, 95-100. 

  26. Yu, H., Sutton, J.C., 1997. Effectiveness of bumblebees and honeybees for delivering inoculum of Gliocladium roseum to raspberry flowers to control Botrytis cinerea. Biol. Control 10, 113-1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