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마토, 고추의 생육촉진 및 병 저항성 의 농업적 활용을 위한 토착 Bacillus subtilis의 생물활성 평가
Evaluation of Bacillus subtilis Native Strains for Plant Growth Promotion and Induced Systemic Resistance in Tomato and Red-pepper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4 no.4, 2010년, pp.407 - 414  

박진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농업미생물팀 기능 이용연구실) ,  샤마라오 쟈하기르달 (인도 다르와드 농업과학대학 식물병리과) ,  조영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농업미생물팀 기능 이용연구실) ,  박경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농업미생물팀 기능 이용연구실) ,  이서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농업미생물팀 기능 이용연구실) ,  박경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농업미생물팀 기능 이용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의 여러 지역에서 수집 분리 동정한 Bacillus subtilis의 토마토, 고추에 대한생육촉진 및 병 저항성 활성을 평가하였다. 선발된 B. subtillis JE 21-1 와 JE8-1 균주는 토마토 및 고추의 생육을 크게 증진 시켰다. B. subtillis JE21 균주 처리는 무처리 혹은 0.1 mm BTH 처리와 비교하여 고추와 토마토의 초장, 잎의 크기 등 생육을 촉진하고 고추 탄저병의 발생을 억제시켰다. ES2-1 균주는 고추 근권에 정착력이 우수하며 $1.2{\times}10^5cfu/g$ root의 밀도를 나타내었다. 생육촉진은 과실의 크기와 무게로 평가하였는데 JE9-4, ES2-2 균주를 처리하였을 때 과실크기가 향상되었고, JE 3-6, ES4-2, ES2-2 및 JE 21-2를 처리하였을 때 고추과실의 무게가 높았다. PR1a::GUS 유전자 함유 담배(Xanthi nc)에 선발된 바실러스균을 선 정착시키고 무름병균인 Pectobacterium carotovornm SCC를 접종하여 병 저항성 발현을 조사한 결과 JE9-4의 PRI::GUS 발현량이 가장 많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illus subtilis strains isolated from different regions of Korea were screened for their plant growth promotion and induced systemic resistance (ISR) in tomato and red-pepper. The plant growth promotion on red-pepper and tomato revealed maximum plant height (22.73 cm) on red pepper treated with B....

주제어

참고문헌 (13)

  1. Bais, H. P., T. L., Weir, L. G. Perry, S. Gilray and J. M. Vivanco (2006) The role of root exudate in rhizosphere interaction with plant and other organism. Annu. Rev. Plant Biol. 57:233-26. 

  2. Cary, N. C. (1995). JMP Statistics and Graphics Guide. Version 3:65-95. 

  3. Jeun Y. C., Y. J. Lee, and Y. S. Bae (2004) Rhizobacteriamediated Induced Systemic Resistance in Cucumber Plants against Anthracnose Disease Caused by Colletotrichum orbiculare. Plant Pathol. J. 20(3):172-176. 

  4. Kim, H. G. and M. H. Nam (1999) Anthracnose of strawberry in Korea. Plant Dis. Agric. 5:8-13. 

  5. Kim, Y. S., J. Y. Min, B. K. Kang, N. V. Bach, W. B. Choi, E. W. Park and H. T. Kim (2007) Analyses of the less benzimidazole-sensitivity of the isolates of Colletotrichum spp. causing the anthracnose in pepper and strawberry. Plant Pathol. J. 23:187-192. 

  6. Kloepper, J. W., C. M. Ryu and S. Zhang (2004) Induced systemic resistance and promotion of plant growth by Bacillus spp. Phytopathology. 94:1259-1266. 

  7. Kloepper, J. W., R. M. Zablotowicz, E. M. Tipping and R. Lifshitz (1991) In the Rhizosphere and Plant Growth. eds. Keister, K.L. & Cregan, P.B.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echt. pp. 315-326. 

  8. Park, K. S. and C. H. Kim (1992) Identification, distribution and et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thracnose fungi of red-pepper in Korea. Korean J. Plant Pathol. 8:61-69. 

  9. Park, K. S. and J. W. Kloepper (2000) Activation of PR-1a promoter by rhizobacteria which induce systemic resistance in tobacco against Pseudomonas syringae pv. tabaci. Biol. Control. 18:2-9. 

  10. Park, K. S., Diby Paul, E. Kim and J. W. Kloepper (2007) Hyaluronic acid of Streptomyces sp. as a potent elicitor for induction of systemic resistance against plant diseases. World J Microbial Biotechnol. DOI 10.1007/s11274-007-9587-0. 

  11. Pierson, E. A. and D. M. Weller (1994) Using mixtures of fluorescent pseudomonads to suppress take-all and improve the growth of wheat. Phytopathology. 84:940-947. 

  12. Raupach, G. S., I. Liu, I. F. Murphy, S. Tuzun and J. W. Kloepper (1996) Induced systemic resistance in cucumber and tomato against cucumber mosaic virus using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PGPR). Plant Disease. 80:891-894. 

  13. van Loon, L. C. and G. R. Glick (2004) Increased plant fitness by rhizobacteria. Pages 177-205 in Molecular Ecotoxicology of Plants. 1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