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서해안 강화 남부 갯벌 퇴적물 및 지형의 장기적인 변화
Long-term Changes of Sediment and Topography at the Southern Kanghwa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5 no.4, 2013년, pp.493 - 500  

우한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관할해역지질연구단)

초록

강화 남부 갯벌의 장기적인 퇴적환경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7년과 2011년 여름철 표층 퇴적물의 분포와 1998년 4월과 2013년 3월의 갯벌 고도를 비교하였다. 표층퇴적물은 1997년에 동부의 펄, 서부의 모래 펄 퇴적물이 우세하였으나, 2011년에는 동부의 선두리와 동검도 갯벌은 펄과 모래 펄, 중부의 동막리 갯벌은 모래 펄, 그리고 서부의 여차리와 장화리 갯벌은 모래와 펄 모래 퇴적물이 우세하게 분포하였다. 지난 14년 동안 펄 퇴적물 면적은 감소하였으나, 모래와 펄 혼합 퇴적물의 면적은 동쪽으로 확장되었다. 갯벌의 장기적인 지형 변화는 지난 15년 동안 동막리와 여차리 갯벌은 퇴적, 장화리 갯벌은 침식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들은 1990년대 이후 강화 남부 갯벌 주변에 여러 종류의 인공구조물건설에 의하여 지역적인 수리적 변화가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arisons of surface sediment distributions in summer 1997 and 2011 and elevations on the tidal flats in April 1998 and March 2013 had been used for understanding the long-term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s at southern Kanghwa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The mud sediments dominated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강 하구역인 강화도 남단 지역은 현재에도 개발 압력에 노출되어 있어 조력 발전소 건설을 위한 논란이 있는 지역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생태계에 중요한 요소인 강화 남단 갯벌 퇴적물 및 지형의 장기적인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퇴적환경의 장기 변화 파악을 위하여 2011년 강화 남단 갯벌의 퇴적물과 인천국제공항 건설 시기인 1997년 퇴적물의 특성과 퇴적물 이동 양상을 비교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생태계에 중요한 요소인 강화 남단 갯벌 퇴적물 및 지형의 장기적인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퇴적환경의 장기 변화 파악을 위하여 2011년 강화 남단 갯벌의 퇴적물과 인천국제공항 건설 시기인 1997년 퇴적물의 특성과 퇴적물 이동 양상을 비교하고자 한다. 지형 변화 파악을 위하여 1998년에 설정된 동막리, 여차리, 장화리 측선들의 고도와 2013년에 이들 측선들에서 측량된 고도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구는 왜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인가? 담수와 염수가 혼합되는 전이지역인 하구는 많은 영양염의 유입으로 세계에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하구 주변에 세계 인구의 약 60%가 생활하고 있다(Costanza et al., 1997).
우리나라의 하구는 1970년도 이후 왜 파괴되었는가? 그러나 하구는 다양한 생태적 및 사회경제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인간활동의 편리성을 위하여 세계적으로 다양한 개발 압력을 받고 있는 지역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하구인 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그리고 낙동강 하구는 1970년도 이후 간척, 매립, 하구둑 건설 등 다양한 개발에 의하여 크게 파괴되어 하구순환의 제한, 하구 갯벌의 파괴, 생물 다양성 감소 및 수질 악화 등의 환경적 문제가 되고 있다. 공유수면 매립계획은 하구 갯벌의 훼손을 가중 시키고 있으며, 제2차 공유수면매립과 연안개발이 끝나는 2011년에는 2002년에 비하여 하구 갯벌의 약 30%가 추가적으로 훼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Noh et al.
강화도 남단 갯벌에 인천국제공항 건설은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갯벌의 상당수 해안선은 인공 해안선으로 변화되었으며, 황산도와 김포 지역의 매립, 인천 신공항 건설, 초지대교와 영종대교 건설 등으로 하구 순환, 조류와 해류의 변화 등 수리에너지가 상당히 변화 되었다. 특히 인천국제공항 건설 기간인 1992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 간석지 매립, 영종대교와 공항 고속도로 건설 등으로 유속과 조위 변화 그리고 외해와 하구와의 순환 변화 등으로 지형(퇴적/침식)과 퇴적상이 상당히 변화 되었다(Woo and Je, 2002; Woo et al., 2004;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arbier, EB, Hacker, SD, Kennedy, C, Koch, EW, Stier, AC and Silliman, BR (2011). The value of estuarine and coastal ecosystem services, Ecological Monographs, 81(2), pp. 169-193. 

  2. Costanza, R, d'Arge, R, Groot, R, Farber, S, Grasso, M, Hannon, B, Limburg, K, Naeem, S, O'Neill, RV, Paruelo, J, Raskin, RG, Sutton, P and van den Belt, M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 pp. 253-260. 

  3.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s's, Austin, TX. 

  4. Folk, RL and Ward, W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27, pp. 3-26. 

  5. Gao, S and Collins, M (1992). Net sediment transport patterns inferred from grain-size trends, based upon definition of "transport vectors", Sedimentary Geology, 80, pp. 47-60. 

  6. KHOA. (1981). Nautical chart from Yeongjong-do to Yongmae-do, No. 311,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7. KORDI. (2007). Investigation service for allotted amount of compensation in fishery damage in Ganghwa-do and Gyeonggi-Incheon area Korea, BSPI 29001-1931-3,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8. KORDI. (2008). Development of management and restoration technologies for estuaries with focus on Han River estuary region, BSPE 98101-2028-7,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9. Lee, YK, Ryu, JH, Choi, JK, Soh, JG, Eom, JA and Won, JS (2011). A study of decadal sedimentation trend changes by waterline comparisons within the Ganghwa tidal flats initiated by human activitie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7(5), pp. 857-869. 

  10. McLaren, P and Bowles, D (1985). The effects of sediment transport on grain-size distribution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eum, 55, pp. 457-470. 

  11. Noh, B. H., Lee, C. H. et al. (2006). Sustainable estuary management III-1, KEI Publication No. 06-23-01. 

  12. Woo, HJ and Je, JG (2002).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southern tidal flat of Kanghwa island, Ocean and Polar Research, 24(4), pp. 331-343. 

  13. Woo, HJ, Bahk, JJ, Lee, YG, Je, JG and Choi, JU (2004).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in the Kanghwa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6(1), pp. 167-178. 

  14. Woo, HJ, Jang, S and Kwon, SJ (2012). Changes in sediment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tidal flat of Donggum island in Ganghwa,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4(3), pp. 375-3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