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새만금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 in the Saemangeum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28 no.4, 2006년, pp.361 - 368  

우한준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연구본부) ,  최재웅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연구본부) ,  안순모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권수재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연구본부) ,  구본주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aemangeum tidal flat with an area of approxirnately $233km^2$ is one of the biggest estuarine tidal flats on the west coast of Korea. Because of its location in the estuary of Mangyeong and Dongjin Rivers, the tidal flat receives large amount of sediments. A 33-km long sea dyke, enc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새만금 지역에서는 방조제 건설이 진행되는 동안 갯벌의 생태학적 환경 변화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나 (안과 고 1992;심 등 1995; 이 등 1995; 조등 2001; 해양수산부 2001; 박 등 2004), 주로 생물학적 그리고 지화학적 변화 양상에 대한 결과가 많았다. 연구는 제4호 방조제 물막이 공사가 완료된 2003년 이후에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 갯벌들의 단기적인 퇴적학적 변화를 파악하고 방조제 건설이전과 진행 중의 자료와 비교를 통하여 변화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 지역 갯벌들의 퇴적학적 특성은 저서 환경의 중기적인 변화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며, 저서 생물 분포 변화에 영향을 주는 자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류상옥, 유환수, 이종덕. 1999. 함평만 조간대의 표층퇴적물과 집적률의 계절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2), 127-135. 

  2. 박경수, 박승윤, 이삼근, 이윤. 2004. 하계 새만금 갯벌의 수질 분포 및 지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지, 6(1), 133-147. 

  3. 심재형, 박수영, 조병철, 이윤호. 1995. 만경.동진강 염하구에서 섬모충류에 의한 박테리아 섭식에 관하여. 한국해양학회지, 30, 426-435. 

  4. 안순모. 1989. 서해 만경.동진 펄 조간대의 환경과 저서동물분포. 이학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97 p. 

  5. 안순모, 고철환. 1992. 서해 만경.동진 조간대의 환경과 저서동물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27, 78-90. 

  6. 우한준, 제종길. 2002. 강화 남부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Ocean and Polar Res., 24(4), 331-343. 

  7. 우한준, 최재웅, 유주형, 최송화, 김성렬. 2005. 천수만 황도갯벌의 퇴적환경. 한국습지학회지, 7(2), 53-67. 

  8. 이영길, 박용안, 최진용. 1995. 한국 서해 만경.동진강 하구역 및 연안역 조간대 퇴적층의 퇴적상과 미고생물학적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30, 77-90. 

  9. 이창희, 강대석, 남정호, 이병국, 유혜진. 2001. 하구.석호 육해전이수역 통합환경관리방안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68 p. 

  10. 장진호, 최진용. 1998. 조간대 퇴적물의 계절적 집적양상과 보존: 한국 서해안의 곰소만.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3(3), 149-157. 

  11. 조영길, 류상옥, 구영경, 김주용. 2001. 새만금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성분원소 함량과 지화학적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6, 27-34. 

  12. 해양수산부. 2001. 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BSPM 118-00-1370-3. 1214 p. 

  13. 해양수산부. 2003. 새만금 해양환경보전대책을 위한 조사연구(1차년도) 지질.갯벌 분야. BSPM 139-06-1514-5. 293 p. 

  14. 해양수산부. 2005. 새만금 해양환경보전대책을 위한 조사연구(3차년도) 평가.예측 분야. BSPM 26001-1691-2. 205 p. 

  15. Alexander, C.R., C.A. Nittrouer, D.J. Demester, Y.A. Park, and S.C. Park. 1991. Macrotidal mudflats of the southwestern Korean coast: A model for interpretation of intertidal deposits. J. Sediment. Petrol., 61, 805-824. 

  16. Costanza, R., R. d'Arge, R. de Groot, S. Farber, M. Grasso, B. Hannon, K. Limburg, S. Naeem, R.V. O'Neill, J. Paruelo, R.G. Gaskin, P. Sutton, and M. van den Belt.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 253-260. 

  17. Fleer, A.P. and M.P. Bacon. 1984. Determination of $^{210}Pb$ and $^{210}Po$ in seawater and marine particulate matter. Nucl. Instrum. Mathods Phys. Res., 223, 243-249. 

  18.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s, Austin. 170 p. 

  19. Folk, R.L. and W.C. Ward.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 Sediment. Petrol., 27, 3-26. 

  20. Harada, K. and S. Tsunogai. 1985. A practical method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234}Th,\;^{226}Ra,\;^{210}Pb\;and\;^{210}Po$ in seawater. J. Oceanogr. Soc. Jpn., 41, 98-104. 

  21. Jaramillo, E., H. Contrearas, and A. Bollinger. 2002. Beach and faunal response to the construction of a seawall in a sandy beach of South Central Chile. J. Coast. Res., 18, 523-529. 

  22. Kaufman, A., Y.H. Li, and K.K. Turekian. 1981. The removal rates of $^{234}Th\;and\;^{228}Th$ from waters of the New York Bight. Earth Planet. Sci. Lett., 54, 385-392. 

  23. Koide M., A. Soutar, and E.D. Goldberg. 1972. Marine geochronology with $^{210}Pb$ . Earth Planet. Sci. Lett., 14, 442-446. 

  24. Lee, H.J., Y.S. Chu, and Y.A. Park. 1999. Sedimentary processes of fine-grained material and the effect of seawall construction in the Daeho macrotidal flat-nearshore area, northern west coast of Korea. Mar. Geol., 157(3/4), 171-184. 

  25. Thomalla, F. and C.E. Vincent. 2003. Beach response to shore-parallel breakwaters at Sea Palling, UK. Estuar. Coast. Shelf Sci., 56, 203-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