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후 약선식 개발을 위한 조선시대 관련의서 고찰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동의보감(東醫寶鑑)」, 「방약합편(方藥合編)」을 중심(中心)으로 -
The Literature Study of Traditional Diet Therapies on Postpartum Recovery & Lactation in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21 no.2, 2013년, pp.90 - 99  

김정은 (원광디지털대학교 웰빙문화대학원 자연건강학과) ,  김병숙 (전북과학대학교 호텔조리영양계열) ,  안지영 (원광디지털대학교 한방건강학과) ,  김윤경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raditional diet therapies for the period of postpartum recovery and lactation and to develop modern postpartum recovery foods. Korean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for postpartum care focused on treating postpartum obesity, edema, agalact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산후기에 대부분의 산모들에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産後虛勞, 産後浮腫, 産後通乳이다. 이 부분에 대하여 상기 문헌에 수록된 처방과 사용된 약재에 대해 조사하여 향후 산후회복식을 개발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전반적인 산후 약선식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는 아니었고, 산후관리, 산후회복, 산후조리의 현황 등에 대한 한의학서의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저자는 예로부터 전래되어온 민간요법의 산후식을, 실제 한의학 고전에서는 어떤 처방이나 재료들이 언급되어 있고 어떤 효능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현대적인 약선 산후식 개발을 위해 활용 가치가 있는 약선 재료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조선시대 초기, 중기, 말기를 대표 하는 한의서인「鄕藥集成方」,「東醫寶鑑」,「方藥合編」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産褥期 또는 産後期란 무엇입니까? 분만 후 산모들이 해산으로 인한 상처가 완전히 낫고, 자궁이 평상시 상태가 되며 신체의 각 기관이 임신 전의 상태로 회복되는 기간을 産褥期 또는 産後期라고 한다. 산욕기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분만 이후 6~8주의 기간1)으로, 이 기간에 산모의 건강을 지키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산후관리가 필요하며 최근 산후조리에 대한 일반인이나 산모들의 인식은 많이 변화하고 있다2).
산후허로에 대한 치료에 사용하는 약재의 종류는? 1. 산후허로에 대한 치료에 사용하는 약재는 當歸가 17회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도 芍藥, 黃芪, 人蔘, 川芎, 猪腎 등 주로 補虛藥類인 補血, 補氣, 補陰藥이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猪腎의 사용이 눈에 띄는데 이는 돼지고기, 양고기 등을 사용하여 단백질을 함께 보충하려는 의도로 생각되고 향후 산모들을 위한 산후 약선식 개발에도 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보인다.
민간 산후조리 음식의 향후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민간 산후조리 음식은 누적된 경험을 토대로 전통의학의 식이요법이 편의적으로 전래되어온 것으로 산후 허약해진 원기를 보충하거나 분만 후 발생하는 부종을 제거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민간에서 전해지는 산후조리 식재료인 가물치, 잉어, 호박 등에 대해 최근의 서양의학적인 관점에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하지 않으나,3) 2000년에 보고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산후조리를 목적으로 상기 음식의 섭취가 매우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4), 산후의 이런 음식 섭취가 비만을 방지하면서도 건강을 회복시킬 수 있다는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5). 그러나 이러한 식재료들에 대한 효능은 의학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향후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지금까지 한의학적인 산후 조리, 산후 관리에 관한 연구6-10), 산후 유즙분비, 통유법에 관한 연구 11-12), 산후부종에 관한 연구13-14), 기타 산후 증상에 관한 연구15) 등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ssociation of Korean Gynaecology. Gynaecology of Korean Medicine (1). Seoul:Uiseongdang. 2012 :98-108. 

  2. Heo JW, Kim SR. A Study on the cognition and Realities of postpartum care. The Journal of Oriental Gynecology. 2001;14(1):409-23. 

  3. Lee GO, Choi YH. Public health for the guideline of health belief & behavior. Seoul:Sumunsa. 1997:149-81. 

  4. Shin SJ, Kang SH, Cho HJ, Kim YS, Eun MN, Lee JW et al. The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Postpartum Tonic Agent(MMQ) on Postpartum Anemia, Obesity and Uterine Involution during Puerperium. Korean J Perinatol. 2003;14(1):22-8. 

  5. Lee TK. A literary study of the postpartum care. The Journal of Oriental Gynecology. 2001;14(1):209-28. 

  6. Jung JJ, Kim DI. A Study on the Cognition of Workers with Postpartum Care Home and Korean Medicine Doctor about Postpartum Care. The Journal of Oriental Gynecology. 2006;19(4):131-47. 

  7. Lee YH, Lee TK. Postnatal Management in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The Journal of Oriental Gynecology. 2000;13(1):501-17. 

  8. Bae GM, Cho HS, Lee SH, Lee IS. Literature analysis with the recent trend of researches concerning the postpartum depression and Sanhupung. The Journal of Oriental Gynecology. 2009;22(2):172-88. 

  9. Bae GM, Cho HS, Lee IS. The Review of Postpartum Care Beliefs and Practices According to the Cultures. The Journal of Oriental Gynecology. 2009;22(1):231-42. 

  10. Uom ES, Lee DN, Lim EM. Clinical Investigation for Various Postpartum Symptoms. The Journal of Oriental Gynecology. 2001;14(1):365-79. 

  11. Lee EH, Kim TH. Effects of Boheo-tang and Boheo-tang plus Cervi Pantotrichum Cornu : on Immune Response in Postpartum mice.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009;22(3):25-35. 

  12. Choi MS, Kim DI. Basic Research to Provide Severity Evaluation Criteria of Postpartum Edema.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008;21(4):207-17. 

  13. Byun SH, Lee CH, Cho JH, Jang JB, Lee KS.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Inspection on Sanhupung.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006;19(4):148-58. 

  14. Son YH, Lee IS. A study in relationship between '七情(kiking)' and '産後風(chan hou feng). The Journal of Oriental Gynecology. 2001;14(1):279-93. 

  15. Cho SH, Kim SB. A Study on the Duration and Character of Lochia In Women Hospitalized at Korean Medical Postpartum Care Center. J Korean Obset Gynecol. 2013;26(3):59-72. 

  16. Eom DM, Song JC, Keum DS. A Study on Yuyaoyuanfang quoted on Hyangyakjupseong-bang.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3;26(2):71-83. 

  17. M. G. Shin, K. Park, U. J. Maeng. Hyangyakjipseongbang. Seoul:Yeongnimsa. 1998:1-2142. 

  18. Heo Jun. Donguibogam. Seoul:Hanmi Medical books. 2001:1-1349. 

  19. Hwang Doyeon. Bangyakhappyeon. Seoul:Yeogang Publish. 2007:11-729. 

  20. G. Y. Kim, S. H. Park, M. O. Yang, Y. H. Choi. Singnyobonchohak. Seoul:Uiseongdang. 2012:40-312. 

  21. B. I. Seo, J. H. Lee, H. Y. Choi, D. R. Kwon, Y. M. Bu. Herbal Medicine. Seoul:Yeongnimsa. 2006:10-1030. 

  22. http://jisic.kiom.re.kr 

  23. Committee of Dictionary of Korean Medicine. Dictionary of Korean Medicine. Seoul:Jeongdam. 1998:678, 919, 1204, 1578. 

  24. Z. M. Chen. The best herbal Formula in Chinese Traditoinal Gynaecology. Beijing:Renminweisheng Publisher. 1992:484-4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