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지화 미숙과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효과
Influence of Essential Oil in 'Shiranuhi' Immature Fruit o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1 no.6, 2013년, pp.493 - 497  

김상숙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시험장) ,  현주미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시험장) ,  김광식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시험장) ,  박경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시험장) ,  박석만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시험장) ,  최영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시험장)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in 'Shiranuhi' immature fruit and to test their biological activities. 'Shiranuhi' immature essential oils (SIEO) were obtained by steam distillation from fruits collected from Jeju Island and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품질 감귤인 부지화의 미숙과 과피에서 수증기증류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에센셜오일의 성분을 분석하고 항균 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여 새로운 천연 유래 생리 활성물질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드름의 발병 원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2010). 여드름의 발병 원인은 피지의 과다 형성, 비정상적인 모낭각화증,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Propionibacterium acnes)의 증식 및 염증 등에 기인하며, 그 외 호르몬이나 면역학적 요소가 관여할 수 있다 (Burton and Shuster, 1971; Cunliffe et al., 2004).
기존 염증성 여드름 치료제를 대체할 천연 소재 개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5). 이러한 피부 상재균 및 기타 세균에 의한 피부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방부제 및 항균제의 사용은 필수적이지만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염증성 여드름 치료에 사용되는 triclosan, benzyl peroxide, tetracyclin 등은 피부 건조증과 과민증을 유발하거나, 항생제 내성 발생으로 지속적인 사용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항균 효과를 가지면서 부작용이 없는 천연 소재 개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에센셜오일의 성분과 화학성질은 어떠한가? , 2008). 에센셜오일의 성분은 거의 모든 분자가 탄소, 수소와 산소로 이루어져 있는 탄소화합물이며, 화학성질은 대개 추출 과정과 식물에 의한 구성분자의 생합성 과정에서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다 (Lavabre, 1990). 감귤 에센셜오일은 감귤껍질 flavedo (과피 색소층)에 산재되어 있는 무수한 유포 층에 약 1%가 함유되어 있는 방향성분으로, 동일 감귤 종 (species)내에서도 기후, 풍토, 과실의 숙도, 저장기간 등에 따라 성분의 변화가 있다 (Kimball,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YG, Kim SK, Shin CS and Min JH. (2002). Inhibitory effects of wax gourd extract on melanin formation and acneforming bacterial growth.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15:137-143. 

  2. Baratta MT, Dorman HJ, Deans SG, Biondi DM and Ruberto G. (1998). Chemical composition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aurel, sage, rosemary, oregano and coriander essential oils. Journal of Essential Oil Research. 10:618-627.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200. 

  4. Bonde V, Brand-Williams W and Berset C. (1997). Kinetics and mechanisms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0:609-615. 

  5. Burton JL and Shuster S. (1971). The relationship between seborrhea and Acne υulgaris.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84:600-604. 

  6. Crowell PL. (1999). Prevention and therapy of cancer by dietary monoterpenes. Journal of Nutrition. 129:775-778. 

  7. Cunliffe WJ, Holland DB and Jeremy A. (2004). Comedone formation: Etiology, clinical presentation, and treatment. Clinics in Dermatology. 22:367-374. 

  8. Jeong SJ, Lee JH, Song NH, Seong SN, Lee SE and Baeg NI. (2004). Natural products, organic chemistry: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ournal of Korean Society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7:135-140. 

  9. Ki HG, Yun SJ, Lee JB, Kim SJ, lee SC and Won YH. (2005). Microorganism isolated from acne and their antobiotic susceptibility.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33:437-444. 

  10. Kim SS, Kim JE, Hyun CG and Lee NH. (2011). Neolitsea aciculata essential oil inhibits drug-resistant skin pathogen growth and Propionibacterium acnes-induced inflammatory effects of human monocyte leukemia. Natural Product Communications. 6:1193-1198. 

  11. Kim JE, Kim SS, Hyun CG and Lee NH. (2012). Antioxidative 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stems of Cleya japonica Thunberg.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ology. 8:410-415. 

  12. Kim HS, Lee HY, Lee JN, Joo CG and Choe TB. (2011). The effect of antimicrobial properties of Manuka oil and improvement of ac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7:245-256. 

  13. Kim YS, Hwang YI and Kim KH. (2008). Anti-wrinkle activity of ziyuglycoside I isolated from a Sanguisorba officinalis root extract and its application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72:303-311. 

  14. Kwon SY, Kim SE, Kim EJ and Yoo KM. (2008). The complete guode to aromatherapy of Salvatore battaglia. Hyumoonsa publishers. Seoul, Korea. p.23-31. 

  15. Lavabre M. (1990). Aromatherapy workbook. Healing Art Press. Rhochester. VT, USA. p.38-56. 

  16. Lim YS, Myung KB, Chung NE and Chung WS. (1995). A study on the MIC of antibiotics for Propionibacterium acnes in patients with acnes.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34:265-272. 

  17. Mitscher LA, Park YH, Clark D and Beal JL. (1980). Antimicrobial agents from higher plants, antimicrobial isoflavonoids and related substances from Glycyrrhiza glabra L. var. typica. Journal of Natural Products. 43:259-327. 

  18. Park SH, Oh TH, Kim SS, Kim JE, Lee SJ and Lee NH. (2012). Constituents with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from branches of Ficus erecta var. sieboldii King. Journal of Enzyme Inhibition and Medicinal Chemistry. 27:390-394. 

  19. Park SN, Kim SY and Won DH. (2010). Antibacterial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ersicaria perfoliata extracts.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38:278-282. 

  20. Ruberto G and Baratta MT. (2000). Antioxidant activity of selected essential oil components in two lipid model system. Food Chemistry. 69:167-174. 

  21. Song HS, Park YH and Moon DG. (2005). Volatile flavor properties of Hallabong grown in open field and green house by GC/GC-MS and sensory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4:1239-1245. 

  22. Yanishlieva NV, Marinova EM, Gordon MH and Raneva VG. (1999). Antioxidant activity and mechanism of action of tymol and carvacrol in two lipid systems. Food Chemistry. 64:59-66. 

  23. Yoon WJ, Lee NH and Hyun CG. (2010). Limonene suppresses lipopolysaccharide-induc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prostaglandin E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in RAW 264.7 macrophages. Journal of Oleo Science. 59:415-4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