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기반 연안 용도해역 적성평가 방안
GIS-Based Suitability Assessment Plan of Coastal Zoning System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6 no.2, 2013년, pp.75 - 87  

이근상 (전주비전대학 지적부동산과) ,  임승현 (전북발전연구원 새만금지역개발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연안용도해역제 법제화에 따른 실질적인 용도해역 분류에 필요한 GIS 기반의 연안해역 적성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연안지역과 관련된 여러 가지 법규, GIS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활용시스템을 조사하였다. 또한 용도해역 적성평가 지표들을 계산하기 위한 GIS 분석 모델은 격자자료 모델을 선정하였으며, 물리적 특성을 비롯한 해역 및 공간적 입지특성을 구성하는 지표들을 계산하기 위한 격자 기반의 분석 기법을 제시하였다. 지표들의 임계치는 연안관련 법규와 토지적성평가에서 제안된 기준들을 이용하여 제시하였으며, 특히 GIS 자료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퍼지함수와 같은 연속적인 형태의 산정 기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점수를 이용하여 적성등급을 구분하고, 이로부터 보전관리우선해역, 이용관리우선해역 그리고 계획관리우선해역을 지정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안 용도해역 적성평가 모형이 실무에 적용될 때, 대상지역의 공간적 범위와 GIS 데이터베이스를 고려한다면 매우 효과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ed a GIS-based suitability assessment model of coastal zoning system that is needed in the substantial classification of coastal z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law about coastal zoning system.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several kinds of regulations, GIS datab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안해역적성평가의 도입목적은 둘 이상의 용도해역에 해당되거나 특정용도해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해역에 대해서 해역의 환경적 특성, 이용특성 및 활용가능성을 고려하여 이용 또는 보전적성을 평가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해당연안해역의 용도와 기능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연안용도해역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연안해역과 보전연안해역은 그대로 유지한다고 가정하고, 관리연안해역에 대해 적성평가를 통해 보전관리우선해역, 이용관리우선해역 그리고 계획관리우선해역으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계획관리 우선해역은 보전관리우선해역과 이용관리우선 해역의 중간적인 표준화 점수를 보이는 구간으로서, 보전관리우선해역과 이용관리우선해역의 완충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향후 개발가능지역으로서의 후보지에 해당되는 지역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연안용도해역제 법제화에 따른 실질적인 용도해역 분류에 필요한 지표 및 임계치 설정 그리고 등급을 분류하기 위한 GIS 기반의 연안해역 적성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연안관련 법규 및 제도를 조사하였으며, 특히 연안용도해역제에서 분류하고 있는 이용연안해역, 특수연안해역, 보전연안해역, 관리연안해역에 관한 개념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연안관리 업무 추진에 필요한 용도해역 적성평가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먼저 토지적성평가에서 제시된 분류체계 및 지표항목 그리고 각 지표를 계산하기 위해 이용되는 GIS 기반의 다양한 활용 방법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외 연안관련 법률 및 프로그램 그리고 2009년 3월 「연안관리법」 을 통해 제시되고 있는 연안해역 적성평가 항목들을 검토하였다.
  • 이를 통해 GIS 기반의 용도해역 적성평가를 위한 후보 지표군을 도출하였으며, 각 지표별 임계치 설정 및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각 지표별 평가점수와 가중치로부터 등급을 설정하고 각 등급별로 용도해역을 구분하는 절차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 연안해역적성평가의 도입목적은 둘 이상의 용도해역에 해당되거나 특정용도해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해역에 대해서 해역의 환경적 특성, 이용특성 및 활용가능성을 고려하여 이용 또는 보전적성을 평가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해당연안해역의 용도와 기능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연안용도해역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연안해역과 보전연안해역은 그대로 유지한다고 가정하고, 관리연안해역에 대해 적성평가를 통해 보전관리우선해역, 이용관리우선해역 그리고 계획관리우선해역으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역관리법의 제정목적은 무엇인가? 이를 위한 외국의 연안관리 법안이나 프로그램들을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연안역관리법(Coastal Zone Management Act)에 근간을 두고 있으며, 그 외에 해양대기청(NOAA)이 추진하고 있는 연안관리프로그램 및 국가해양보호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Ehler, 2002). 연안역관리법의 제정목적으로는 먼저, 연안자원 이용간의 이해상충 관계를 해소하는 기능을 비롯하여 연안자원보호와 경제·문화적 차이의 균형을 추구하고, 주정부 및 지방정부에 연안자원관리에 관한 결정권을 부여하는 것이다(Lott, 2002). 캐나다는 연방정부의 수산해양부에서 해양자원관리를 담당하고, 주정부는 관할구역내 연안육역 이용계획 뿐만 아니라 해안선과 일부 해역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어 관리부문은 연방정부와 주정부로 이원화되어 있다(Gibson, 1999).
토지적성평가란 무엇인가? 토지적성평가는 보전할 지역과 개발할 지역을 합리적으로 구분하여 질서있는 국토이용과 보전을 도모할 목적으로 2003년 1월부터 시행된「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의 제정과 더불어 도입된 제도이다(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2003; Chae and Oh, 2004). 정부는 토지적성평가 제도의 원활한 시행을 지원하기 위해「국토계획법 운용지침」을 마련하였으며, 이에 따르면 토지적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크게 물리적 특성요인, 토지이용 특성요인, 공간적 입지 요인으로 구분하고, 각 요인별로 평가에 이용하는 지표를 선정한 바 있다(Korea Research Ins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2).
적성평가의 공간적 범위가 연안해역의 전체지역으로 설정될 경우, 예상되는 문제점 세 가지는 무엇인가? 연안해역의 해상경계는 육지로부터 약 50km~80km이상 떨어진 영해한계선까지이며, 적성평가의 공간적 범위가 연안해역의 전체지역으로 설정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예상된다. 첫째, 해안선으로부터 원거리에 있는 외해역으로 갈수록 평가대상해역의 개별 공간사이에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고 결과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둘째, 외해역으로 갈수록 해양관련 조사가 미비하여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지표가 현재로서 많지 않다. 셋째, 용도해역 적성평가의 경우 육지에서 실시하는 토지적성평가와 달리 해역이라는 위치적 특수성으로 적용 가능한 평가지표가 담고 있는 기준 객체가 위치적으로 편중되어 존재할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이러한 용도해역 적성평가의 현실적 제약요소로 인하여 본 연구에서는 적성평가의 공간적 범위를 영해직선기선까지의 연안으로 한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ae, M.O. and Y.J. Oh. 2004. A study on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methods for effective land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Planning Association 39(1):45-58 (채미옥, 오용준. 2004. 국토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토지적성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9(1) :45-58). 

  2. Choi, Y.S. Y.T. Im, Y.J. Hwang and Y.J. Lee. 2008. A study on GIS DB building plan for maritime boundary determin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4):41-50 (최윤수, 임영태, 황유정, 이유정. 2008. 우리나라 해양경계 확정을 위한 GIS DB 구축 항목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4):41-50). 

  3. Ehler, N. 2002. The Evolution of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in the United States : Lessons Learned and Next Steps. 

  4. ESRI. 1998. GRID Command References. 

  5. Gibson, J. 1999. Legal and regulatory bodies : appropriateness to integrated coastal zone management. European Commission-DG XI.D.2. 

  6. Gochang-Gun. 2009. Costal Management Regional Planning of Gochang-Gun (고창군. 2009. 고창군 연안관리지역계획). 

  7. Jeong, J.C. and S.G. Lee. 2005. The study of land aptitude assessment system improvement plan.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4(2) :75-81 (정종철, 이상길. 2005. 토지적성평가 체계의 개선방안 연구. 환경영향평가 14(2):75-81). 

  8. Kim, H.J. 200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results using GIS databas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8(1):1-12 (김항집. 2005. 디지털 지리정보DB를 활용한 토지적성평가 결과의 향상을 위한 실행 방법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1):1-12). 

  9. Kim, J.A., C.S Kim and J.A. Park. 2011. Implementation of Saemangeum coastal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4) :128-136 (김진아, 김창식, 박진아. 2011.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새만금 해양환경정보시스템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4): 128-136). 

  10. Korea Maritime Institute. 2007. Study of improvement of costal management system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7. 연안관리제도 개선 연구). 

  11. Korea Maritime Institute. 2008. Redevelopment planning of managing agency according to the reorganization of costal management system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8. 연안관리제도 재편에 따른 관리기관 재정비 방안 연구). 

  12. Korea Research Ins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2. Guideline for Application of The National Land Use and Planning Act (국토연구원. 2002. 국토 계획법운용지침). 

  13. Lee, G.S., H.S. Jeon, S.H. Lim and G.S. Cho. 2002. The construction of stream-recognition DEM using voronoi diagram in GIS environment.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0(3):439-453 (이근상, 전형섭, 임승현, 조기성. 2002. GIS 기반에서 Voronoi Diagram을 이용한 하천인식 DEM 생성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10(3):439-453). 

  14. Lee, J.Y. 2005. The guideline of building database for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Planning Association 40(3):7-19 (이종용. 2005. 토지적성평가 데이터베이스의 정확도 향상방안.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0(3):7-19). 

  15. Lott, J. 20002. Federal and State Interactions in the US Coastal Zone Management Program : Assistance, Oversight, and Mediation. 

  16.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2003. Guideline about Land Suitability Assessment (건설교통부. 2003.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 

  17. Ministe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9. A study for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masterplan of coastal area (국토해양부. 2009. 해역환경관리 기본계획 수립 연구). 

  18. Nisar Ahamed, T.R., K. Gopal Rao and J.S.R. Murthy. 2000. GIS-based fuzzy membership model for crop-land suitability analysis. Agricultural Systems 63:75-95. 

  19. Oh, Y.J. and H.Y. Hwang. 2004. A study on land suitability assessment factors specific to islands : case of Namhaegun. Journal of Korean Planning Association 39(5):73-85 (오용준, 황희연. 2004. 토지 적성평가의 적정성 제고를 위한 도서지역의 고유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9(5):73-85). 

  20. Park, H.C. and J.H. Yoo. 2005. Clustering algorithm using a center of gravity for grid-based sample.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6(2):217-226 (박희창, 유재현. 2005.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16(2):217-226). 

  21. Yuh, H.K. and J.H. Lim. 2004. Land suitability assessment improvement focused on "Assessment System II". Journal of Korean Planning Association 39(2):107-116 (여홍구, 임종훈. 2004. 토지적성평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평가체계 II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9(2):107-1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