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 근로경험과 성별에 따른 진로역량 및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연구
Difference in Career Competen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Work Experience Types and Gende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2, 2013년, pp.771 - 785  

김소라 (순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본 연구는 고교생들의 근로경험 유형--근로경험 없음, 긍정적 근로경험, 부정적 근로경험--에 따라 진로역량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근로경험 유형과 성별 간에 진로역량 및 진로준비행동에의 상호작용효과가 있는지 알아본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09년 청소년 진로 직업 실태조사" 자료로부터 3,499명 고등학생들의 근로경험과 진로 관련 자료들을 사용하여 이원 다변량분산분석(two-way MANOVA)을 실행하였다. 전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진로역량과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높은 수준을 보인 가운데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보다 부정적 근로경험의 역효과가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진로역량과 진로준비행동에서 근로경험 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였으며, 여학생에게 있어 근로경험 자체보다는 부정적 근로경험이 진로역량 및 진로준비행동과 부정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암시하였다. 남학생의 경우, 근로경험이 진로역량 및 진로준비행동과 긍정적인 영향과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특히 자기이해 역량과 확장된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는 남학생의 부정적 근로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career competen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ccordance with high school students' work experience types and 2)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work experience type and sex or work experience type and grades. Three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연구는 고교생들이 바람직한 근로경험을 통해 진로의식과 진로역량, 나아가서 진로준비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단서를 제시해 주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고교생들의 근로 활동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와 지원 방안 및 근로경험을 진로교육의 자료로 활용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다만 직장체험이나 진로탐색활동은 진로준비활동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근로경험 여부보다는 일의 속성과 진로와의 연관성이 진로준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31]. 근로경험은 성별과의 조절효과를 통해 진로발달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여기서는 성별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둘째, 근로경험 형태(근로경험 없음, 긍정적 근로경험, 부정적 근로경험)와 성별 간에 진로역량 및 진로준비행동에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 살펴본다.
  • 시행 착오설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실패경험으로부터 더욱 성장하고, 진로개발역량을 키울 수 있는 계기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로경험 유무와 함께 부정적인 근로경험이 있었는지의 여부도 함께 고려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논의는 청소년 근로와 진로발달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이 연구는 고교생들의 근로경험 유형에 따라 진로역량과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고, 고교생 근로가 진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즉, 고교생들에게 있어 근로경험이 없는 경우, 부정적인 근로경험이 없는 경우, 부정적인 근로경험이 있는 경우로 분류하여 진로역량과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해 보았다.
  • 이 연구에서는 고교생들의 근로경험 형태에 따라 진로 역량과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고, 고교생 근로가 진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Achebe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진로발달 수준이 더 높았으며[9], 진로발달 수준에 있어 성차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10][11]가 모두 존재하고 있다. 진로역량수준에 있어 성차는 성별 그 자체보다는 다양한 요인과의 조절효과를 통해 진로발달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여기서는 근로경험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의 근로경험은 진로에 어떠한 영향을 주나? 청소년들은 근로 경험을 통해 보다 현실적인 직업의식을 소유하게 됨으로써 자신의 장래 진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재학시설 취업을 경험함으로써 직업 세계의 현실에 대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어떻게 일자리를 구하고 그것을 유지하는지를 경험하게 된다. 직업 세계에 대한 이해는 졸업 후에 노동시장에 들어가서 직업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주며, 그에 따라 학생의 시간제 취업은 그들이 졸업하여 노동시장에서 좋은 직장을 얻고 소득을 높이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청소년기 아르바이트를 통해 자신에 대한 확신이 있는 사람들은 자신이 무엇을 어떻게 잘 할 수 있을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고등학교 시기는 어떠한 시기라고 할 수 있나? 고등학교 시기는 개인적 가치와 목표를 설정하며, 더욱 전문화되고 급변하는 직업세계를 탐색하며, 본인의 진로결정에 있어 적극적인 준비를 해야 하는 시기로 볼 수 있다. 고등학생들의 근로경험은 경제활동인 동시에 청소년의 성장발달에 중요한 요소인 자아존중감, 경제의식, 진로결정 효능감과 진로에 잠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근로활동을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나? 고등학생들의 근로경험은 경제활동인 동시에 청소년의 성장발달에 중요한 요소인 자아존중감, 경제의식, 진로결정 효능감과 진로에 잠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근로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경제적 보상 외에도 부가적으로 얻게 되는 진로에 대한 준비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일을 통해 성취감을 달성함으로써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에 대한 확신을 가지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들은 근로 경험을 통해 보다 현실적인 직업의식을 소유하게 됨으로써 자신의 장래 진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장원섭, 시간제 취업이 고등학교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2. J. T. Mortimer and M. D. Finch, "The Effect of Past-Time Work on Self Concept and Achievement," In K. Borman and J. Reisman (Eds.), Becoming a Worker, pp.66-89, Norwood, NJ: Ablex, 1986. 

  3. R. V. Carr, J. D. Wright, and C. J. Brody, "Effects of High School Work Experience a Decade Later: Evidence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Sociology of Education, Vol.69, No.1, pp.66-81, 1996. 

  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 청소년 지표조사 IV -청소년 진로.직업 지표- 연구보고 09-R12, 2009. 

  5. 유진이, "실업계 여자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실태에 관한 연구", 청소년보호지도연구, 제12권, 제 5호, pp.73-112, 2010. 

  6. B. W. Westbrook, "Career Maturity: The Concept," In W. B. Walsh and S. B. Osipow (Eds.),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제1 권, pp.263-303, NJ: Lawrence Erlbaum, 1984. 

  7. D. Luzzo, "Gender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Perceived Barriers in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4, No.2, pp.319-325, 1995. 

  8. S. King, "Sex Differences in a Causal Model of Career Maturity,"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68, No.2, pp.208-215, 1989. 

  9. C. C. Achebe, "Assessing the Vocational Maturity of Students in the East States of Nigeria,"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20, No.2, pp.153-161, 1982. 

  10. M. B. Watson and J. A. van Aarde, "Attitudinal career maturity of South African Colored High School Pupil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29, No.1, pp.7-16, 1986. 

  11. K. H. Lee, "A Cross-Cultural Study of the Career Maturity of Korean and United States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Vol.28, No.1, pp.43-57, 2001. 

  12. G. Hackett and N. E. Betz,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8, No.3, pp.326-339, 1981. 

  13. 김종성, 이병훈, "중.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참여요인 및 진로성숙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 제21권, 제3호, pp.33-59, 2010. 

  14. 한국소비자교육지원센터, 소비자 역량지수 개발 및 산출연구, 서울: 공정거래위원회, 2007. 

  15. V. B. Skorikov, "Continuity in Adolescent Carrier Preparation and Its Effects on Adjus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70, No.1, pp.8-24, 2007. 

  16. 박가열, "대학생의 진로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요구도 분석", e-고용이슈, 제23호, pp.1-23, 2008. 

  17. 안창규, 박성미, "진로 및 적성탐색검사를 활용한 상담모형", 한국진로상담학회지, 제4권, 제1호, pp.21-51, 1999 

  18. 박정희, 김홍석,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6 권, 제11호, pp.125-144, 2009. 

  19.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20. 허정철, "부모의 양육태도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진로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504-513, 2010. 

  21. 한혜경,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 그 과정과 의미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11권, 제2호, pp.153-180, 2000. 

  22. 김기헌, "일하는 고등학생들: 재학 중 시간제 취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 제7권, 제6호, pp.115-144, 2003. 

  23. 김예성, 김선숙, "청소년 아르바이트 경험이 비행 및 중비행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로탐색", 사회복지연구, 제40권, 제1호, pp.139-154, 2009. 

  24. J. T. Mortimer, M. D. Finch, and M. J. Shanahan, "Work Experience Mental Health and Behavioral Adjustment in Adolescence,"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Vol.2, No1, pp.25-57, 1992. 

  25. D. M. Hansen and P. A. Jarvis, "Adolescence Employment and Psychosocial Outcomes," Youth & Society, Vol.31, No.4, pp.417-436, 2000. 

  26. 장원섭, 김형만, 옥준필,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 (I): 고등학교단계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27.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6. 

  28. 이학식, 임지훈, SPSS 18.0 매뉴얼, 집현재, 2011. 

  29. 정윤경, 우리나라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관련 변인, 한국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2005. 

  30. 이상록, "지방대학생의 재학 중 근로경험 실태 및 진로준비에의 영향분석", 한국청소년연구, 제 15권, 제1호, pp.5-39, 2004. 

  31. 허정철,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227-236, 2012. 

  32. 신희경, 김우영,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결정동기에 관한 연구: 개인, 가정, 학교의 역할", 직업능력개발연구, 제8권, 제2호, pp.47-83, 2005. 

  33. 박효희, 성태제, "성별 진로성숙도 변화에 있어 부모-청소년 자녀 유대가 미치는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제9권, 제1호, pp.117-142, 200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