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6, 2020년, pp.1718 - 1727  

황은휘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  이소영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상 실습만족도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G시 간호대학생 3학년 156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상 실습만족도, 셀프리더십는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의 영향요인으로는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상실습만족도, 성적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활용한 간호대학 교과목에 적용과 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academic self-efficacy,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elf-leadership.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56 third graders who are attending nu...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의사소통능력, 학업 적자기 효능감, 임상 실습만족도, 셀프리더십의 정도를 조사하고,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요인으로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상실습만족도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을 역량 있는 간호전문인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의사소통 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상 실습 만족도에 따른 셀프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업 적자기 효능감, 임상 실습만족도, 셀프리더십의 정도와 관계를 파악하고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을 역량 있는 간호전문인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의사소통 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상 실습 만족도에 따른 셀프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은 의사소통 능력향상,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상 실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학업과정의 변화와 전공 외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해 보인다.
  • 간호대학생이 의사소통능력, 학업 적자기 효능감, 임상 실습만족도를 셀프리더십의 요인으로 함께 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상 실습만족도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미래 간호 리더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 J. Park, "Correlations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1, No.2 pp. 227-236, (2015). 

  2. E. H. Kim, "Relationships of nursing professionalism, self-leadership and empowerment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Vol.4, No.1 pp. 532-541, (2016). 

  3. J. H. Ryu, J. H. Cho, "Influencing of resilience and innovative organization culture on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8, No.2 pp. 525-534, (2018). 

  4. S. Y. Lee, Y. Y.Kim,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o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4, No.3 pp. 309-318, (2016). 

  5. Y. S. Kang, Y. J. Choi, D. L. Park, I. J. Kim,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6, No.2 pp. 143-151, (2010). 

  6. S. H. Lee, S. E. Chung, "Influencing factor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steem on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4, No.12 pp. 340-349, (2014). 

  7. S. I. Im, J. Park, H. S. Kim, "The effect of nurse's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21, No.3 pp. 274-282, (2012). 

  8. Y. J. Choi, G. W. Lee, C. H. Jung, A. R. Lee, "The effects of self-disclosure and rational-emotive training on communication ability, stress cop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Vol.18, No.2 pp. 186-196, (2009). 

  9.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Prentice-Hall, 1986 

  10. J. W. Park, C. J. Kim, Y. S. Kim, M. S. Yoo, H. Yoo, S. M. Chae, J. A. Ahn, "Impa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general self-efficacy, and leadership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24, pp. 223-231, (2012). 

  11. C. P. Neck, G. W. Stewart, C. C. Manz, "Thought self-leadership as a framework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performance appraisers",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Vol.13, pp. 278-302, (1995). 

  12. N. Y. Yang, S. Y. Moon,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der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7, pp. 216-225, (2011). 

  13. D. Y. Lee, J. H. Cho, "Convergence influence of self-resilience, critical think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9, No.10 pp. 561-569, (2018). 

  14. S. Y. Lee, S. Y. Jeon, Y. Y. Kim, "The effect of critical thinking deposition and self-esteem to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0, No.1 pp. 155-165, (2016). 

  15. G. H. Hu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Vol.47, No.6 pp. 380-408, (2003). 

  16. J. Y. Ba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kills, communication types and nursing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Busan: Ko Sin University; 2009. p. 1-78. 

  17. A. Y. Kim, J. Y. Park,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39, No.1 pp. 95-123, (2001). 

  18. K. J. Cho, H. S. Kang, "A study on self-concep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Vol.14, No.2 pp. 63-74, (1984). 

  19. S. H. Lee, S. Y. Kim, J. A. Kim, "Nursing students' image of nurse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0, No.2 pp. 219-231, (2004). 

  20. J. D. Houghton, C. P. Neck,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17, No.8 pp. 672-691, (2002). 

  21. D. Y. Lee, J. H. Cho, "Convergence influence of self-resilience, critical think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tgence Society, Vol.9, No.10 pp. 561-569, (2018). 

  22. Y. K. Shin,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srion of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RSLQ) for Korean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2008). 

  23. O. S.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9 pp. 6036-6043, (2015). 

  24. E. S. Lee, E. J. Bong,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academic self-efficacy and instructor-student interac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23, No.2 pp. 107-114, (2017). 

  25. M. R. Lee, H. S. Jeon, "Influencing factors of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in the convergence er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9, No.5 pp. 55-64, (2019). 

  26. H. S. Park, J. Y. Han,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26, No.3 pp. 695-706, (2015). 

  27. J. I. Kim,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5 pp. 253-262, (2018). 

  28. M. J. Yun, Y. C. Kwon,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to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6, No.11 pp. 433-440, (2018). 

  29. N. Y. Yang, S. Y. Moon,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7, No.2 pp. 216-225,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