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 중 건오디박 첨가 빵의 품질 특성
Storag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Dried Mulberry Poma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2, 2013년, pp.1972 - 1980  

김현정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숙경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항산화능이 높으나 버려지는 오디박을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모닝빵에 첨가(1, 3, 5%)하여 $4^{\circ}C$에서 7일간 저장하면서 품질 특성 및 노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관능평가를 통해 기호도를 알아보고, 건오디박 모닝빵에 적절한 건오디박 첨가의 배합과 제빵의 최적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저장일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무게도 감소하였으나, 건오디박을 첨가한 모닝빵의 수분함량은 건오디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의 감소 정도가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명도는 건조 오디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저장일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적색도는 건조 오디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저장일이 증가할수록 감소되었다. 황색도는 건조 오디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저장일이 증가할수록 감소했다. 조직감 중 경도는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높아졌으나 건오디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의 증가폭은 적었다. 이를 통해 노화됨에 따라 전분조직의 변화로 인해 빵의 경도가 단단해지는 것을 건오디박이 막아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탄력성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낮아지고 건오디박을 첨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유의적 차이는 없다. 응집력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낮아지고 샘플 간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한 결과, 건오디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엔탈피가 감소하여 대조군에 비하여 노화도가 감소되어 오디박 첨가가 빵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효과를 확인했다. 관능검사 결과 기호도에서 외관의 색, 맛, 향은 3% 건오디박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조직감은 0일에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5일부터는 3% 건오디박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전반적인 기호도와 구입의사는 저장 0, 1, 3일에 1% 건오디박 첨가군이 가장 높았고 저장 5, 7일에는 3% 건오디박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강도검사 결과 건오디박을 첨가할수록 색과 오디향, 오디맛의 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와 반대로 조직감의 강도는 건오디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모닝빵 제조 시 건오디박의 첨가는 수분 보지력을 높여 수분함량 변화를 최소화하고, 조직이 변화되는 것을 막아 경도에서 단단함을 보완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관능검사에서 가장 기호도가 높았던 건오디박 3% 첨가군이 가장 바람직한 제조방법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orag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dried mulberry pomace (DMP, 0, 1, 3 or 5%) during storage at $4^{\circ}C$ for 7 days. During the entire storage period,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r in breads containing DMP compared with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빵의 저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건오디박을 첨가하여 저장기간 중 모닝빵의 품질 특성 및 노화 특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항산화능이 높으나 버려지는 오디박을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모닝빵에 첨가(1, 3, 5%)하여 4°C에서 7일간 저장하면서 품질 특성 및 노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관능평가를 통해 기호도를 알아보고, 건오디박 모닝빵에 적절한 건오디박 첨가의 배합과 제빵의 최적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저장일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무게도 감소하였으나, 건오디박을 첨가한 모닝빵의 수분함량은 건오디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의 감소 정도가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디의 특징은? 오디(Morus bombycis Koidz)는 뽕나무의 핵과이며 상실(桑實), 상심(桑椹), 상심자(桑椹子)라고도 한다. 오디는 처음에 푸른색을 띠고 차차 붉어지며 완숙되면 자주색이나 흑자색을 띤다(1). 오디의 붉은색은 안토시아닌색소로서 시아니딘계에 속하는 크리산테민(chrysanthemin)에 기인된다.
오디가 건조된 제품으로 나오는 이유는? 오디에는 수분이 많기 때문에 물러지거나 상하기 쉬워 건조된 제품으로 나오고 있다(17). 오디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다량의 착즙박이 부산물로 나오고 있지만, 잘 이용되지 못하고 폐기처분되어 농가에서 경제적인 손실이 크다.
오디의 영양선분은? 오디에는 포도당, 자당, 과당, 맥아당 등의 당 종류가 많고, 구연산, 옥살산, 말산, 숙신산 등의 유기산이 있어 달고 신맛이 난다. 또한 산딸기와 같은 과실보다 점액질, 섬유소,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 등의 함량이 높은 고영양 과실이다(2). 한방에서는 ‘상심자’로 백발을 검게 하고 소갈을 덜어주며 오장을 이롭게 하는 자양강장제로서, 또한 빈혈, 고혈압, 관절통 및 대머리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JA.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added with mulberry fruit juice from different breeds. Korean J Culinary Res 18: 216-227. 

  2. Park GS, Lee JA, Shin Y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 made with oddi powder. J East Asian Dietary Life 18: 1014-1021. 

  3. Kim HB, Kim SY, Lee HY, Kim SL, Kang SW. 2005. Protective effect against neuronal cell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acteria of mulberry fruit extracts. Korean J Crop Sci 50: 220-223. 

  4. Kim HJ, Choi SW, Cho SH. 2010. Effects of various mulberry products on the blood glucose and lipid status of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43: 551-560. 

  5. Yim SB, Kim CR, Jeon HL, Kim HD, Lee SW, Kim MR.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prepared with mulberry, Schisandra chinensis and discorea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613-623. 

  6. Kim HD, Yim SB, Oh HL, Jeon HL, Kim CR, Kim NY, Hong YP, Lee JH, Kim MR. 2012.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of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salad dressing prepared with yam juice and mulberry.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531-540. 

  7. Jeon HL, Hong YP, Lee JH, Kim HD, Kim MR. 2012.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concentrate, freeze-dried mulberry, and poma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402-1408. 

  8. Jeon HL, Oh HL, Kim CR, Hwang MH, Kim HD, Lee SW, Kim MR. 2013.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supplemented with mulberry poma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234-243. 

  9. Hwang MH, Jeon HL, Kim HD, Lee SW, Kim MR.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ocolate added with mulberry poma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479-487. 

  10. Kim J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ea with mulberry fruit. Korean J Culinary Res 18: 206-215. 

  11. Lee JA, Choi S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added with mulberry concentrate. Korean J Culinary Res 17: 285-294. 

  12. Kim KY. 2010. Characteristic of wine fermented from mulberry juice. Korean J Food Preserv 17: 563-570. 

  13. Lee YJ, Rhy HS, Chun S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prepared with mulberry frui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537-544. 

  14. Lee YJ, Sim CH, Chun SS. 2009.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ffon cake prepared with mulberry powder. Korean J Food & Nutr 22: 508-516. 

  15. Kang Y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on with added mulberry frui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513-519. 

  16. Kim YS, Jeong DY, Shin DH. 2008.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alba)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3-69. 

  17. Shin JH, Han SM, Kim AJ. 2012. The effects of mulberry extract consumption on the serum levels of oxidant and inflammatory factors in middle-aged women with rheumatoid factors.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 3561-3569. 

  18. Lee JY, Kang SH, Kim MR. 2011.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pirulina added bread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8: 111-118. 

  19. Lee JH, Woo KJ, Chio WS, Kim AJ, Kim MW.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arch oddi-dasik added with mulberry fruit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629-636. 

  20. Bae JH, Woo HS, Chio HJ, Chio C. 2001. Qualities of bread added with Korean persimmon (Diospyros kaki L. folium) leaf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82-887. 

  21. Park HM, Hwang SY, Kang KO.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 with mulberry powder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830-837. 

  22. Kim HY, Kim MR, Go BG. 2004. Food quality evaluation. Hyoil, Seoul, Korea. p 63-68. 

  23. Lee MA, Byun GI. 2013. A study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ozen mulberry fruit and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agel with different drying conditions of mulberry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9(2): 40-51. 

  24. Wootton M, Bamunuarachchi A. 1979. Application of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o starch gelatinization. Starch -Starke 31: 201-204. 

  25. Kawakatsu M, Terao J, Matsushita S. 1984. Phospholipid oxidation catalyzed by ferrous ion and ascorbic acid. Agric Biol Chem 48: 1275-1279. 

  26. Zobel HF. 1984. Gelatinization of starch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tarch pastes. In Starch: Chemistry and Technology. 2nd ed. Whistler RL, ed.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p 290. 

  27. Krueger BR, Knutson CA, Inglett GE, Walker CE. 1987. A DSC study on the effect of annealing on gelatinization behavior of corn starch. J Food Sci 52: 715-718. 

  28. Lee HA, Kim NH. 1998. Effect of saccharides on texture and retrogradation of acorn starch g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803-810. 

  29. Evans ID, Haisman DR. 1982. The effect of solutes on the gelatinization temperature range of potato starch. Starch- St?rke 34: 224-231. 

  30. Wada K, Takahashi K, Shirai K, Kawamura A. 1979.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applied to examining gelatinization of starches in foods. J Food Sci 44: 1366-13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