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삼열매, 잎 및 뿌리를 첨가한 약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gwa Added with Ginseng Fruit, Leaf and Roo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2, 2013년, pp.1981 - 1987  

이가순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  김관후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  성봉재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  김선익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  한승호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  이석수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  송미란 (금산군농업기술센터) ,  이규희 (우송대학교 식품생물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삼의 주된 식용부위인 뿌리 이외에 열매 및 잎에도 기능성이 우수한 사포닌페놀성화합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특성을 이용하고자 약과제조 시 첨가하여 인삼류를 이용한 약과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약과제조 시 팽화도는 GFY와 GLY는 GRY에 비하여 팽화도가 우수하였고, 2.5% 첨가구인 2.5-GFY와 2.5-GLY는 약 1.68배 증가하여 대조구보다 더 팽화도가 좋았으나 그 이상의 첨가 시에는 팽화도가 떨어졌다. 색도는 GFY와 GLY는 시료의 적색과 초록색이 혼합되어 밝기 및 황색도는 감소하였다. 약과제조시 흡유율은 인삼 부위별에 관계없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흡유량은 증가하였다. 인삼 중 뿌리를 첨가할 경우 기름함유량이 가장 낮아서 흡유율이 인삼열매나 잎보다 낮았고, GFY에서는 첨가량에 따라 기름함유량이 가장 높아 과육을 첨가함에 따라 기름 흡유량이 높았다. 약과의 hardness는 인삼뿌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인삼열매와 잎을 첨가할 경우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인삼류를 첨가하여 제조한 약과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 인삼열매와 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oily taste 값이 낮아져 기호도가 상승되는 효과를 얻었으며, 인삼잎은 5% 이상 첨가 시에는 쓴맛이 너무 강하고 인삼열매는 7.5%까지 맛에 대한 기호도는 가장 좋았으나 softness가 너무 높았으며, 인삼뿌리는 7.5%를 첨가할 경우 인삼맛과 냄새가 나서 인삼약과에 대한 인식도가 강하여 전체적인 기호도로 볼 때, GFY에서는 5.0%, GLY에서는 2.5%, GRY에서는 7.5% 첨가구가 기호도가 높았으며 각각 사포닌 함량이 2.30 mg/g, 1.02 mg/g 및 0.91 mg/g을 함유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use the excellent features of saponin and phenolic compounds in the leaf and fruit of ginseng, ginseng fruit Yakgwa (GFY), ginseng leaf Yakgwa (GLY) and ginseng root Yakgwa (GRY) were made via adding the fruit, leaf and root powder in the process of making Yakgwa, and the properties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약과제조 시 밀가루 외에 부재료 혼합량, 첨가하는 기름종류와 첨가량, 튀김유의 처리 온도와 시간 및 집청하는 당액에 따라 물성이 달라지는 변수가 나오게 된다(25-30).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다양한 ginsenoside를 다종 함유하고 있는 인삼 및 인삼부산물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하여 인삼열매, 잎 및 뿌리를 일정량 첨가하여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약과를 제조한 후 약과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 인삼의 주된 식용부위인 뿌리 이외에 열매 및 잎에도 기능성이 우수한 사포닌 및 페놀성화합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특성을 이용하고자 약과제조 시 첨가하여 인삼류를 이용한 약과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약과제조 시 팽화도는 GFY와 GLY는 GRY에 비하여 팽화도가 우수하였고, 2.

가설 설정

  • 1)Added ginseng materials were fruit, leaf, and root, respectivel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열매, 잎 및 뿌리를 첨가량에 따라 제조한 약과의 팽화도를 측정한 결과, 첨가물이 증가할수록 수축 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이유는? 일반적으로 밀가루는 반죽 시 밀가루 단백질이 글루텐을 형성하여 탄력성 및 신장성을 가지게 된다(32). 따라서 본 연구에서 약과 반죽 시 물성을 고르게 하고 성형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밀대로 일정하게 밀었기 때문에 밀가루단백질이 글루텐을 형성하여 신장 성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수축현상이 일어났을 것으로 보이며 기타 첨가물에서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수축현상이 나지 않은 것은 첨가물이 밀가루 반죽 시 글루텐 형성을 방해하여 신장성이 생기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Oh와 Kim (33)이 녹차가루를 첨가하여 밀가루 반죽을 하였을 경우 신장 저항도가 감소하여 신장도가 감소하였다고 보고한 것과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인삼의 사포닌 성분은 무엇인가? A. Meyer)은 기원전부터 한의학에서 경험적 효험에 의해 약용으로 이용되기 시작한 이후로(1,2), 최근에는 인삼이 가지고 있는 ginsenoside라는 사포닌이 인체 내에서 피로회복, 면역성 증진 및 혈행개선 등의 효과로 기능성 건강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다(3). 인삼은 주로 섭취되고 있는 뿌리 이외 잎과 열매에도 사포닌이 뿌리 부분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고(4-12), 식용이 가능하여(13) 인삼 잎과 열매에 대한 기능성 및 이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14-17).
약과의 제조 방법은? 또한 인삼 잎과 열매는 폴리페놀성 물질을 인삼 뿌리부위보다 더 많이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효과가 우수하다(14,16). 약과는 대표적인 유밀과로 주재료인 밀가루에 참기름, 꿀 등을 첨가하여 반죽을 한 후 기름이 속까지 베어들도록 튀긴 후 시럽에 집청하는 전통과자이다(18). 최근 우리나라 전통식품의 활성화를 위하여 약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주원료인 밀가루에 각종 기능성이 있는 부원료를 첨가하여 기존 약과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 등이 보고되고 있다(19-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Nam KY. 1996. The new Korean ginseng (constituent and its pharmacological efficacy). Korea Ginseng & Tabacco Research Institute, Daejeon, Korea. p 1-18. 

  2. Huang KC. 1993.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CRC Press, Inc., New York, NY, USA. p 11-23. 

  3. http://www.foodnara.go.kr/hfoodi/main/sub.jsp?pageCode254. 

  4. Yahara S, Matsuura K, Kasai R, Tanaka O. 1976. Saponins of buds and flowers of Panax ginseng C.A. Meyer. (1). Isolation of ginsenoside-Rd, -Re, and -Rg1. Chem Pharm Bull 24: 3212-3213. 

  5. Yahara S, Tanaka O, Komori T. 1976. Saponins of the leaves of Panax ginseng C.A. Meyer. Chem Pharm Bull 24: 2204-2208. 

  6. Cho SH. 1977. Saponins of Korean ginseng C.A. Meyer (Part II). The saponins of the ground part of ginseng. J Korean Agric Chem Soc 20: 142-146. 

  7. Yahara S, Kaji K, Tanaka O. 1979. Further study on dammarane-type saponins of roots, leaves, flower-buds, and fruits of Panax ginseng C.A. Meyer. Chem Pharm Bull 271: 88-92. 

  8. Shao CJ, Xu JD, Kasai R, Tanaka O. 1989. Saponins from flower-buds of Panax ginseng cultivated at Jilin, China. Chem Pharm Bull 37: 1934-1935. 

  9. Shi W, Wang Y, Li J, Zhang H, Ding L. 2007. Investigation of ginsenosides in different parts and ages of Panax ginseng. Food Chem 102: 664-668. 

  10. Hu JN, Lee JH, Shin JA, Choi JE, Lee KT. 2008. Determination of ginsenosides content in Korean ginseng seeds and root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ood Sci Biotechnol 17: 430-433. 

  11. Choi JE, Li X, Han YH, Lee KT. 2009. Changes of saponin contents of leaves, stems and flower-buds of Panax ginseng C. A. Meyer by harvesting day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251-256. 

  12. Han JH, Park SJ, Ahn CN, Wee JJ, Kim KY, Park SH. 2004. Nutritional composition, ginsenoside content and fundamental safety evaluation with leaf and stem extract of Panax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778-784. 

  13. http://fse.foodnara.go.kr/origin. Ginseng. 

  14. Kim GH, Seung BJ, Kim SI, Han SH, Kim HH, Lee KS. 2011. Yield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s first byprodu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9: 313-318. 

  15. Lee KS, Seong BJ, Kim GH, Kim SI, Han SH, Kim HH, Baik ND. 2010. Ginsenoside, phenolic acid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significances of fermented ginseng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194-1200. 

  16. Lee SE, Lee SW, Bang JK, Yu YJ, Seong NS. 2004. Antioxidant activities of leaf, stem and root of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237-242. 

  17. Kim GH, Kim DM, Byun MW, Yun YS, Yook HS. 2013. Antioxidant activities of Panax ginseng flower-buds fermented with various microorganis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663-669. 

  18. Yoon SS. 1974. Korean food historical research. Shinkw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63-264. 

  19. Choi SH, Cho YB. 2009.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well-being, selection attribute,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loyalty for Korean traditional pastry. Korean J Culinary Res 15: 42-53. 

  20. Kim JY, Shin DE, Jang KH, Kang WW.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wa added with vegetable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7: 218-225. 

  21. Kim YH, Han YS, Paik JE, Song TH. 2003. Screening of antioxidant activity in Dansam (Saliva miltiorrhiza) and additional effect on the shelf-life and the characteristics of Yakgw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463-469. 

  22. Gwon SY, Moon BK.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akgwa prepared with herb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3: 899-907. 

  23. Yun GY, Kim MA. 2005. The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Yackwa quality and preservation. Korean J Food Culture 20: 103-112. 

  24. Hyun JS, Kim MA. 2005. The effect of addition of level of red ginseng powder on Yackwa quality and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ulture 20: 352-359. 

  25. Kim SW, Kim MA. 2001. Effect of various lipids on dough on Yackwa quality.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611-616. 

  26. Lee JH, Park KM. 1995. Effect of ginger and soaking on the lipid oxidation in Yackwa. Korean J Soc Food Sci 11: 93-97. 

  27. Lee GA. 2001. Effects of dipping syrups prepared with isomaltooligosaccharides on the Yackwa quality. Korean J Human Eco 10: 33-39. 

  28. Lee GA, Lee YJ, Choi YJ. 2001. Effects of dipping syrups prepared with oligosaccharides on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Yackw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399-404. 

  29. Jang SY, Park MJ, Lee SY. 2009. Influence of different dipping temperature and tim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ked Yackwa. Korean J Food Culture 24: 426-432. 

  30. Kim SW, Kim MA. 2001. Effect of various lipids in dough on Yackwa quality.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611-616. 

  31. Ando T, Tanaka O, Shibata S. 1971. Chemical studies on the oriental plant drugs (XXV). Comparative studies on the saponins and sapogenins of ginseng and related crude drugs. Shoyakugaku Zasshi 25: 28-33. 

  32. Dong W, Hoseney RC. 1995. Effects of certain breadmaking oxidation and reducing agents on dough rheological properties. Cereal Chem 72: 58-64. 

  33. Oh YK, Kim CS. 2002.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dough rheology and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749-753. 

  34. Hwang CR, Joung EM, Lee SH, Hwang IG, Kim YB, Jeong JH, Lee JS, Jeong HS. 2013. Chemical components and enzyme activity of hydroponic-cultured ginseng roots and leaves under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911-916. 

  35. Yoo MY, Oh MS. 1997. Effect of preparing conditions on the absorbed oil content of Yackwa. Korean J Soc Food Sci 13: 40-46. 

  36. Lee SY, Kim MA. 2002. Effects of emulsifier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kw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333-339. 

  37. Lee KA. 2006. Effect of black rice flour replacement on physiochemical,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Yackwa. Korean J Human Eco 15: 669-674. 

  38. Kitagawa I. 1983. Chemical studies on crude drug processing. I. On the constituents of ginseng radix rubra (I). Yakugaku Zasshi 103: 612-6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