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 건물, 실외놀이터 및 설비 특성에 관한 실태조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Building, Outdoor Playground & Equipment in Child Care Center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4 no.6, 2013년, pp.9 - 18  

변혜령 ((사)생활환경디자인연구소) ,  최목화 (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소갑수 ((사)생활환경디자인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interest and social expectation for children's environment are on the rise. The needs for construction of safe and pleasant child care environment has bees agreed with. Especially, as the number of children who are wanted to go center jumped with additional support the government for chil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의 물리적 환경이 영유아 발달과 함께 영유아와 교사의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점을 전제로 하여, 현재 우리나라 어린이집의 물리적 환경 특성을 건물 특성, 실외놀이터, 설비 측면에서 실태를 파악하고, 실내외 보육활동을 원활히 지원할 수 있는 건물특성과 설비, 실외놀이 환경 조성 방향 및 기준 설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의 물리적 환경 실태 및 특성을 통해 보육환경으로서 적합한 어린이집 환경을 계획하는데 필요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 어린이집 시설장을 대상으로 공간 및 시설설비에 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Table 1]과 같이 응답자 일반 사항, 어린이집 일반 현황, 어린이집의 건물 특성, 설비 특성, 실외놀이터 특성으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물리적 현황 및 환경 특성으로 건물 특성과 설비 및 실외놀이터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양질의 보육환경을 위한 계획적 요소를 살펴보았다. 주요 고찰내용을 정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의 물리적 환경이 영유아 발달과 함께 영유아와 교사의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점을 전제로 하여, 현재 우리나라 어린이집의 물리적 환경 특성을 건물 특성, 실외놀이터, 설비 측면에서 실태를 파악하고, 실내외 보육활동을 원활히 지원할 수 있는 건물특성과 설비, 실외놀이 환경 조성 방향 및 기준 설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의 물리적 환경 실태 및 특성을 통해 보육환경으로서 적합한 어린이집 환경을 계획하는데 필요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어린이집의 물리적 환경과 관련 연구들을 보면 시설설비와 관련된 연구(Park & Choi, 2002; Kim & Choi, 2007), 실외놀이터 실태와 실외놀이행동(Jung, 2000; Moon, 2001; Choi & Byun, 2006, 2007) 등의 내용이 주로 연구되어 어린이집의 물리적 환경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연구는 전무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환경, 실외놀이터, 설비 특성을 어린이집 건물유형과 시설규모에 따라 파악함으로써 어린이집의 물리적 환경을 종합적이고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어린이집 환경 계획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아가 급증하는 이유는? 한국 사회는 사회·경제 여건의 변화로 가족 구조가 핵가족이라는 형태로 급속하게 변화하고 취업여성의 수가 증가하면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아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영유아 보육의 상당 부분이 가정에서 어린이집으로 이전되고 있으며, 1991년 영유아보육법의 제정 이후 영유아 보육사업의 근거가 마련되면서 어린이집 수가 급증하였다.
어린이집 수가 급증한 이유는? 한국 사회는 사회·경제 여건의 변화로 가족 구조가 핵가족이라는 형태로 급속하게 변화하고 취업여성의 수가 증가하면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아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영유아 보육의 상당 부분이 가정에서 어린이집으로 이전되고 있으며, 1991년 영유아보육법의 제정 이후 영유아 보육사업의 근거가 마련되면서 어린이집 수가 급증하였다. 그러나 어린이집이 보육환경의 질적 측면을 고려하지 못한 채 짧은 기간에 양적으로 급격히 팽창하면서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실정이다.
영유아의 성장을 위한 공간으로 보호 이상의 보육활동을 지원해야한다는 여론이 나온 근거는? 또한 영유아 성장이 유전적 요인보다는 환경적 혹은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 변화로 양질의 보육환경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어린이집은 영유아의 성장을 위한 공간으로 보호 이상의 기본 요소와 함께 영유아 발달 및 행동 특성을 고려하고 보육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i, K. (1998). A Study on teh Behavior Survey for Space Organization of Infants’ Activity Room at Day Care Center.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Part, 14(2), 81-92 

  2. Choi, M., & Byun, H. (2007). A case study on the children's play behaviors and outdoor's environment of child care center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8(3), 91-103 

  3. Choi, M., & Byun, H. (2008). Care-giver's needs and evaluation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laygrounds in child care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6), 105-115 

  4. Choi, M., & Byun, H. (2010).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teachers' perception of outdoor play in child care center.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9(1), 203-214 

  5. Julie, K. B., Derek, P. H., Deborah, F. T., Daniela, A. R., Sara E. B., & Dianne, S. W. (2008). The childcare environment and children's physical activity.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4(1), 23-29 

  6. Jung, E. (2000). A Study on Outdoor Plays of Five - Year - Old Kindergarten Childre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3), 125-143 

  7. Jung, J. (2001).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nurseries-focus on spatial organization plann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Part, 17(11), 57-65 

  8. Kim, E. et al. (2009). Developing facility/equipment standards for kindergartens and childcare facilities.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9. Kim, J. (2001). Study on the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of infants classrooms in child care centers and teachers' recognition: Mostly at the child care centers in Daeje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ocial & Cultural Studies, Hannam Univ. Daejon. 

  10. Kim, Y., & Choi, K. (2007). Case studies on the design criteria of outstanding child care centers in ko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Part, 23(8), 99-106 

  11. Kim, Y., Choi, M., & Byun, H. (2011). Analysis of Space Organization and Classroom Zoning of Childcare Centers in Daejeon City by the Childcare Accreditation Criteria.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1), 205-223 

  12. Lee, J., & Choi, S. (2010). Fundamental study of the design guidance to the space and environment of infants and child care facilities based on universal design theories. 2010 KIID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12(1), 115-119 

  13. Lim, J. et al. (2004).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body movement program for children-centered upon doinbub-.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9(2), 249-275 

  14. Moon, E. (2001). An analytical study on the design of playgrounds in day care centers in Seou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Part, 17(7), 83-90 

  15. Moore, G. T., Hill, A. B., Conen, U., & McGinty, T. (1996). Recommendations for Child Care Centers. The school of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University of Wisconsin 

  16. Choi, M. & Byun, H. (2006).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Planning Guidelines of Outdoor Play Environment at Child Care Centers in Seoul.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5(2), 209-225 

  17. Olds, A. R. (2001). Child Care Design Guide. McGraw-Hill Education 

  18. Park, H., & Choi, Y. (2002). A study of equipments and facilities of child care centers. Dongduk journal of life science studies, vol. 7, 254-275 

  19. Seo, M. (2005). A study on measures to improve child care.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01, 80-89 

  20. Shin, D. & Yang, Y. (2003). A Study on Kindergarten Outdoor Play Equipment and Perceptions of Outdoor Play. 7(1), 93-112 

  21. The Ministry of Gender (2005). Investigation of he status of child care center in the nation, Family Policy Division of The Ministry of Gender 

  22. You, J. (2004) Actual condition of outdoor play conducted at the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the teachers' understanding.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