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연계형 주택사업방식 활성화를 위한 제도 유연화 방안
The Legal Flexibilization Method to Vitalizing Housing-Facility Correlated Development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4 no.6, 2013년, pp.111 - 121  

염철호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여혜진 (건축도시공간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housing demands are going to be diversified, and many suggestions are driven for the housing consumer's right of choice and expectation for welfare services. These require the policy change from the clear division between houses and facilities toward more market-oriented concept capable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모델 2>는 ‘서비스드레지던스와 소형주택과의 연계’ 방식이다. 동일 건축물에서 주거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대시설 등을 갖춘 서비스드레지던스와 도시형생활주택을 복합하는 방식을 검토한다. 서비스드레지던스와 도시형생활주택을 복합화함으로써 도시형 생활주택의 거주자는 서비스드레지던스 관련 서비스시설 이용이 가능하고, 서비스시설은 저층부에 위치하여 주변지역에 대한 서비스 제공과 가로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그간 아파트 일변도의 분양주택 위주의 대규모 주택사업방식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주요구에 대응하면서 민간임대주택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소규모 주택사업 다양화를 위해 주택과 시설의 연계를 위한 제도 유연화 방안을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차별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새로운 주택유형을 개발하기 보다는 기존의 제도를 유연화하는 방안에 집중함으로써 시장의 자율성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주거 선택권을 다양화하는 것을 지향하였다는 점 또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라고 할 수 있다.
  • 서비스드레지던스와 관련해서는 새로운 주거유형으로서 공급현황을 다룬 연구, 관광 · 경영적인 측면에서의 발전방향을 다룬 연구,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등이 있으나 계획적인 측면에서 공급방식을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에서 제시된 주택과 시설의 연계 활성화 방안을 참고로 하되, 선행연구에서 자세히 다루어지지 않은 주택과 시설간의 연계 활성화를 위한 제도의 구체적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 이제는 새로운 주거 유형을 정책적으로 개발·보급하기 보다는 시장에서 자율적으로 새로운 주택공급방식이 발굴·확산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는 방향으로 정책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택과 시설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해 왔던 법제도를 유연화하여 향후 수요 증대가 예상되는 노유자시설, 단기체류 숙박시설, 공공복지시설 등과 주택의 다양한 연계가 실현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주택시장에서의 소비자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주택에서의 생활지원서비스를 확충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주택과 시설이 연계된 시설연계형 주택사업방식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국내의 대표적인 시설연계형 주택사업방식인 노인복지주택과 서비스드레지던스의 공급 및 운영실태와 일본의 시설연계형 주택사업방식과 관련한 제도와 사례를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3가지의 시설연계형 주택사업방식 모델을 도출하고, 실현가능성과 제도유연화 방안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부분의 노인복지주택은 언제 공급되었는가? 노인복지법 시행령의 노인복지시설의 시설규모 및 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각 시설에 맞는 입소정원 및 면적을 제시하고 있으며 침실, 사무실, 의료 및 간호사실, 프로그램실 등 각 시설에 따라 필수적인 시설 및 직원 배치 등을 규정하고 있다. 2011년 12월말 기준으로 24개 단지, 4,231호가 운영 중에 있는데, 대부분의 노인복지주택은 06년~09년 사이에 공급되었고, 최근에는 공급추세가 둔화된 실정이다. 서울이 11개 시설(1,820호)로 가장 많으며, 분양형은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 몰려있고, 다른 지역은 대부분 임대형으로 운영되고 있다.
노인복지주택의 주체는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서울이 11개 시설(1,820호)로 가장 많으며, 분양형은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 몰려있고, 다른 지역은 대부분 임대형으로 운영되고 있다. 2) 특히, 2000년까지는 주로 사회복지법인이 설립주체가 되었지만, 2000년대 후반부터는 전문회사와 건설회사 등의 민간사업자 참여가 증가하면서 혼합형과 분양형 공급이 증가하였으며 규모도 대형화·고급화되고 있는 추세다. 3) 하지만, 법령개정으로 노인복지주택에 60세미만인 자가 합법적으로 거주하게 되어 입법취지와 어긋났다는 지적이 있고, 입소자격 제한규정으로 인한 재산권 문제 등 정책 집행과 시장 간의 마찰이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노인복지주택이란? 노인복지주택은 노인복지법 제32조에서 독립된 주거생활이 가능한 노인에게 분양 또는 임대를 통하여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하는 주거복지시설로 정의하고 있다. 노인복지법 시행령의 노인복지시설의 시설규모 및 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각 시설에 맞는 입소정원 및 면적을 제시하고 있으며 침실, 사무실, 의료 및 간호사실, 프로그램실 등 각 시설에 따라 필수적인 시설 및 직원 배치 등을 규정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고재현 (2012). 비즈니스호텔 공급부족과 향후 전망. 한국신용평가 KIS Credit Monitor, 20-31. 

  2. 김성환 (2007). 국내 서비스드 레지던스 운영의 성공적 요소.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국제심포지엄 발표자료. 

  3. 김찬호.조명수 (2011). 미래주택산업 전망과 발전방안. 서울: 주택산업연구원. 

  4. 이재훈 외 (2007). 미래주거환경 비전 및 전략연구. 건설교통부.한국주거학회. 

  5. 이재훈 외 (2008). 미래주거환경 변화에 따른 미래주택건설 방안 연구. 건설교통부.한국주거학회. 

  6. 장경석.원시연 (2012). 노인복지주택정책의 현황과 쟁점. 국회입법조사처 이슈와 논점, 제406호. 

  7. 한국개발연구원. (2010). 2010-2014년 국가재정운용계획 -민간투자분야-. 공개토론회 자료. 

  8. 홍미령 외 (2009). 노인복지주택 개선방안 및 발전모형 개발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9. June, K. (2009). Improvement Plans for Problem Cases in the Foundation and Management of Elderly Housing Facilit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8(5), 1155-1168. 

  10. Kim, J. et al. (2002). A Study on Neighborhood-type Mixed-use Housing as a Type of Urban Dwell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18(10), 165-174. 

  11. Lee, D. et al. (2011). Supply Strategy for the Public Housing through Small-scale Development in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Seoul Development Institute. 

  12. Park, S. et al. (2008).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Demand and Housing Provision Method in a period of from $30,000 to $40,000 per capita annual income. Daejeon: Land and Housing Institute. 

  13. Yim, M. et al. (2008). A Pilot Study on Housing Development corresponding to Change in the Population and Society. Daejeon: Land and Housing Institute. 

  14. 川崎市住宅供給公社. (2012). 川崎市住宅供給公社中長期?營計畵, http://www.kawasaki-jk.or.jp/kousya/pdf/keieikeikaku_full.pdf 

  15. 國土交通省. (2012). 高齡者住まい法改正について, http://www.satsuki-jutaku.jp/doc/system_panfu_00.pdf 

  16. 國土交通省. (2012). サ一ビス付高齡者用住宅, 情報提供システム, http://www.satsuki-jutaku.jp/ 

  17. 內閣府. (2012). PFI法改正說明資料, http://www8.cao.go.jp/pfi/index.html 

  18. 吉田修平. (2011). サ一ビス付高齡者向け住宅のすべて, 東京: 金融財政事情硏究會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