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도서관 장서평가 연구 - A대학교도서관 정치학장서를 중심으로 -
Assessing a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 with a Special Reference to Political Science Collection in A University Library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4 no.4, 2013년, pp.133 - 152  

장덕현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대학도서관에 있어서 장서개발의 목적은 각 학문분야별로 구성된 장서의 강점과 균형은 유지하고 약점은 보완하여 장서구성의 체계성과 망라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도서관들은 장서의 규모를 확충하는데 주력한 반면 그 품질을 제고하는 데에는 미처 관심을 갖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는 무엇보다 최적의 장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과정인 장서평가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데 기인하는데,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에 소장된 특정 주제분야 장서를 중심으로 장서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표본 대학도서관의 정치학 장서를 대상으로 장서의 현황을 분석하고, 과연 장서가 학과의 학부 학생들과 대학원생의 학습 및 연구지원, 교수의 연구지원과 얼마나 밀접한 관련성을 맺으며 개발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정치학 강의에서 사용된 교재 및 연구자들이 학술활동 과정에서 인용한 문헌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에 근거한 대학도서관의 장서 보유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정치학 교육과 연구에 있어서 필요한 장서의 현황, 장서의 최적성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trives to perform a pilot collection assessment study with the political science collection in a university library. Employing the basic list-checking analysis method, the study scrutinized the collection statistics and the circulation statistics, and check the current library holding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A대학교도서관 소장 정치학 장서의 언어별 소장 현황을 살펴 보았다.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63,313책의 도서자료 중한국어로 된 자료가 전체의 57.
  • 외국의 경우 Choice와 같이 주제별 서지 전문가가 작성한 표준서지를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는 대학의 교육과정과 연구 활동과 관련하여 객관적인 기준이 될 수 있는 평가용 표준 서지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의 방법을 참조하여 교과 진행과 가장 관련 있는 자료인 강의계획서에 나타난 주교재와 참고문헌 리스트를 중심으로 평가용 목록을 작성하여 자료의 소장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연구지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학위 논문의 참고문헌 리스트와, 교수들의 연구를 뒷받침 하는 장서의 소장율을 파악하기 위해 학과 교수 16인의 연구 논문의 참고서지를 분석하고, 표준 리스트를 추출하여 소장 현황을 조사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A대학교도서관이 교육과 연구기능을 원활하게 지원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서지대조법을 사용하여 장서구성의 수준과 유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서지대조에 사용되는 표준리스트는 교육과 연구 활동을 위하여 사용하는 문헌들을 조사취합하여 작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도서관 장서를 평가한다.
  • 다만, 여기에는 도서관이 장서를 통하여 학과의 교육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강의에서 주교재, 부교재, 그리고 참고문헌으로 사용되는 자료는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연구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학과에서 생산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교수들이 저술하는 논문에 인용되는 자료들은 지원하여야 한다는 전제가 고려되어 있다. 이러한 당위론적인 전제와 실제 강의 및 연구에 도서관 장서가 얼마나 활용되는지를 통해 도서관 장서의 유용성을 평가해 보는 것이 이 연구의 내용이다.
  •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에서는 기존 장서의 최적화를 위한 하나의 방법론으로서 대학의 교육과 연구 지원을 위한 장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A대학교도서관의 정치학 장서를 대상으로 장서의 현황을 분석하고, 과연 장서가 학과의 학부 학생들과 대학원생의 학습 및 연구지원, 교수의 연구지원과 얼마나 밀접한 관련성 속에서 개발되고 있는지 파악하였다.
  • 교수의 연구논문에서 인용한 국내외 참고자료 중 단행본과 연속간행물은 총 688종이 었다. 이렇게 추출한 정치학 자료들을 대상으로 현재 A대학교도서관의 소장 및 이용가능 여부를 리스트 체킹 하였다. 그 결과는 <표 18>과 같다.
  •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학과 강의에서 사용된 주교재 및 부교재들의 리스트를 취합하고, 이어서 정치학 연구자들이 학술활동 과정에서 인용한 문헌의 리스트를 작성하여 이에 근거한 대학도서관의 장서 보유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정치학을 교육하고 연구하기 위하여 그동안 대학도서관이 수집, 구축해 놓은 장서의 현황을 보고, 장서의 양적질적 수준을 파악 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정치학 분야의 장서개발 정책 수립과 도서관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질적 수준을 파악 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정치학 분야의 장서개발 정책 수립과 도서관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 평가용 표준서지 작성을 위해 대학(원)의 강의 계획서에 나타난 주교재, 부교재 및 참고문헌을 추출하였는데 이들은 대학(원)의 교과 과정에 가장 직접적으로 관련된 자료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2012년에 A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부와 대학원에 개설된 과목의 강의계획서를 입수하여 그 강의계획서 내에 입력된 참고 문헌의 도서관 소장 실태 확인을 위한 자료검색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도서관에 있어서 장서개발의 목적은 무엇인가? 대학도서관에 있어서 장서개발의 목적은 각 학문분야별로 구성된 장서의 강점과 균형은 유지하고 약점은 보완하여 장서구성의 체계성과 망라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도서관들은 장서의 규모를 확충하는데 주력한 반면 그 품질을 제고하는 데에는 미처 관심을 갖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 대학도서관들의 장서개발 실정은 무엇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는가? 대학도서관에 있어서 장서개발의 목적은 각 학문분야별로 구성된 장서의 강점과 균형은 유지하고 약점은 보완하여 장서구성의 체계성과 망라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도서관들은 장서의 규모를 확충하는데 주력한 반면 그 품질을 제고하는 데에는 미처 관심을 갖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는 무엇보다 최적의 장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과정인 장서평가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데 기인하는데,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에 소장된 특정 주제분야 장서를 중심으로 장서평가를 수행하였다.
대학도서관들이 장서의 양의 확충에만 주력하며 그 품질을 제고하는 데에 관심을 갖지 못한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도서관들은 장서의 양을 확충하는데 주력하면서 그 품질을 제고하는 데에는 미처 관심을 갖지 못한 것 또한 사실이다. 이는 무엇보다 최적의 장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과정인 장서평가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데 그 원인이 있다고 볼 수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박진희. 1998. 컨스펙터스방법을 이용한 장서평가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5(2): 163-191. 

  2. 오경묵. 2008. 북미대학의 한국학 장서평가에 관한 연구: A 대학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5(4): 269-281. 

  3. 윤희윤. 2007. 장서관리론. 대구: 태일사. 

  4. 이경민. 1984. 대학도서관의 장서구성에 관한 연구: 특히 경영학자료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5. 이용재. 1998. "주제접근법에 의한 대학도서관 장서연구." 김정근 엮음. 학술연구에서 문화기술법이란 무엇인가. 서울: 한울. 

  6. 한경신. 1982. 의학도서관 장서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의학도서관 장서를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7.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2. 2012 대학도서관 통계분석 자료집.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8. 한국도서관협회. 2013. 한국도서관기준. 서울:한국도서관협회. 

  9. ALA. 1981. Guide to the Evaluation of Library Collections. Chicago: ALA. 

  10.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2012. ARL Statistics 2011. [online]. [cited 2013.12.1]. . 

  11. Baker, S. L and F. W. Lancaster. 1991.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Library Services. 2nd ed. Arlington, VA: Information Resources. 

  12. Bonn, G. S. 1974. "Evaluation of the Collection." Library Trends, 22(3): 265-304. 

  13. Borin, Jacqueline and Hua Yi. 2011. "Assessing an Academic Library Collection through Capacity and Usage Indicators: Testing a Multi-Dimensional Model." Collection Building, 30(3): 120-125. 

  14. Ching, J. T. Y. and K. R. Chennupati. 2002. "Collection Evaluation through Citation Analysis Techniques: a Case Stud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Library Review, 51(8): 398-405. 

  15. Godt, Paul J. 2013.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Abstracts. London: Sage. 

  16. Gardner, R. K. 1981. Library Collection: Their Origin, Selection and Development. New York: McGraw-Hill. 

  17. Intner, Sheila S. 2003. "Making Your Collections Work for You: Collection Evaluation Myths & Realities." Library collections, Acquisitions, & Technical Services, 27(3): 342-350. 

  18. Mosher, Paul H. 1979. "Collection Evaluation in Research Libraries: the Search for Qualities, Consistency and System in Collection Development." Library Resources & Technical Services, 23(1): 16-32. 

  19. Oberlander, Cyril and Dan Streeter. 2003. "LibStatCAT: a Library Statistical Col lection Assessment Tool for Individual Libraries & Cooperative Collection Development." Library Collections, Acquisitions, & Technical Services, 27(3): 493-506. 

  20. Ochola, J. N. 2003. "Use of Circulation Statictics and Interlibrary Loan Data in Collection Management." Collection Management, 27(1): 1-13. 

  21. Power, N. and M. Bushing ed. 1992. WLN Collection Assessment Manual. 4th ed. Lacey, WA: Western Library Network. 

  22. Tucker, J. C. 2009. "Collection Assessment of Monograph Purchases at the 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 libraries." Collection Management, 34(3): 157-1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