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수면의 질, 주간졸음 및 간호업무 중 인지한 오류 경험과의 관련성
Associations between Sleep Quality, Daytime Sleepiness, with Perceived Errors during Nursing Work among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8 no.4, 2013년, pp.229 - 242  

김미성 (경상대학교 보건대학원) ,  김장락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건강과학연구원) ,  박기수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건강과학연구원) ,  강영실 (경상대학교 간호학과) ,  최마이클승필 (차의과학대학교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교대근무가 수면의 질, 근무중 졸리움, 그리고 간호 업무중 인지한 오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남 C시에 소재한 300병상이상 2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40명이었으나 조사 거부자 및 기재 누락이 많은 응답이 많은 사람을 제외하고 209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2013년 5월 2일부터 5월 20일 사이 자기기입식의 구조화된 설문지로 이루어졌다. 수면의 질은 한국판 피츠버그 수면의 질 (PSQI-K)도구, 주간졸리움은 Epworth Sleepiness Scale(ESS)도구, 간호 업무 중 인지한 오류 경험은 연구자가 개발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교대 근무를 하는 병원 간호사의 수면의 질은 단순 분석에서는 낮번 고정 간호사보다 유의하게 나빴으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그리고 근무 특성을 통제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교차비 1.92, 95% 신뢰구간 0.58-6.37). 교대 근무를 하는 병원 간호사의 근무중 졸리움 정도는 단순분석과 다변량분석에서 공히 낮번 고정 간호사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교대 근무를 하는 병원 간호사는 간호 업무 중 인지한 오류 경험이 단순 분석에서는 낮번 고정 간호사보다 유의하게 더 많았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근무특성, 그리고 수면의 질 및 주간졸리움의 정도를 통제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교차비 1.26, 95% 신뢰구간 0.38-4.21). 우울감과 근무중 졸리움 정도는 인지한 오류 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우울감이 없는 사람에 비해 있는 사람에서 교차비가 3.31(95% 신뢰구간, 1.11-9.84)이었고, 근무중 졸리움정도가 1점 증가할수록 교차비가 1.18(95% 신뢰구간, 1.07-1.30)이었다. 결론적으로 병원 간호사의 교대 근무는 수면의 질, 근무중 졸리움, 그리고 간호 업무 중 인지한 오류 경험과는 독립적인 연관성은 없었으나, 근무중 졸리움은 인지한 오류 경험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신뢰성 있는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hift work on sleep quality, daytime sleepiness, and perceived errors during nursing work among hospital nurse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209 hospital nurses working in two general hospitals in South Korea. The data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간호사들이 교대근무로 인하여 수면의 질이 저하되고 근무 중 졸리움이 많이 생겨 결과적으로 간호 업무 중에 오류를 경험할 확률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변량 분석에서 교대 근무를 하는 병원 간호사의 수면의 질과 근무 중 졸리움 정도는 낮번 고정 간호사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의 질 저하는 무엇을 초래하는가? 특히 잠들기 어렵거나 밤에 깼다 다시 잠들기 어려운 문제, 주간 기능장애와 같은 수면 문제는 수면의 질을 저하시키는 매우 주요한 요인이라고 알려져 있다[9]. 이러한 수면의 질 저하는 신체적, 정신적 질환을 발생시킬 뿐 아니라, 깨어 있는 동안의 기억력, 판단력과 집중력을 저하시켜 교통사고, 업무 중 사고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게 된다[10-13].
우울감과 졸리움의 정도의 연관관계 분석결과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보통 이하인 사람이 좋은 사람보다 근무 중 졸리움이 유의하게 더 많았으며(p=0.012), 우울감이 있는 사람이 우울감이 없는 사람 보다 근무 중 졸리움이 유의하게 더 많았다(p=0.001). 수면의 질은 나쁜 군이 좋은 군에 비하여 근무 중 졸리움이 10.
교대근무는 신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교대 근무로 인하여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부정적 방향으로 영향을 받게 되는데, 대한간호협회의 ‘2009 간호사 이직 및 근무실태 분석 보고서’[3]를 보면, 간호사의 이직률 평균이 25%로 ‘교대근무의 어려움’이 이직의 가장 큰 원인이었다. 교대근무는 심혈관계 질환, 소화기관의 장애, 만성 피로, 우울, 불안 등 신체나 정신의 특정한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나 건강 장애를 초래할 가능성을 높일 뿐 아니라 수면의 질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Circadian Rhythm Sleep Disorders. Available from : http://www.aasmnet.org/resources/factsheets/crsd.pdf 

  2. Seo YJ, Matsumoto K, Moon SK, Jung MS, Kim MI. 2005.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occupational accident in a steel company. J KOSOS 2005;20(3):188-196 (Korean) 

  3. 대한간호협회. 2009 간호사 이직 및 근무실태 분석보고서 

  4. Bassiri AG, Guilleminault C. Clinical features and evaluation of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In Principles and Practice of Sleep Medicine(Kryger MH, Roth T, Dement WC, editors). 3rd ed. Saunders. 2000, 869-878 

  5. Strollo PJ Jr, Rogers RM. Obstructive sleep apnea. N Engl J Med 1996;334:99-104 

  6. Schafer H, Koehle U, Ploch T, Peter JH. Sleep-related myocardial ischemia and sleep structur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and coronary heart disease. Chest 1997;111:387-393 

  7. Findley LJ, Unvergat ME, Suratt PM. Automobile accidents involving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Am Rev Respir Dis 1998;138:337-40 

  8. Kwon KH, Suh SR. Quality of sleep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J Korean Acad Adult Nurs 2009;21(1):34-42 

  9. Ede.ll-Gustafasson UM, Kritz EI, Bogren IK. Self-reported sleep quality, strain and health in relation to perceived working conditions in females. Scand J Caring Sci 2002;16(2):179-187 

  10. Ha.rma M, Sallinen M, Ranta R, Mutanen P, Muuller K. The effect of an irregular shift system on sleepiness at work in train drivers and railway traffic controllers. J Sleep Resear 2002;11(2):141-151 

  11. Howard M E, Desai AV, Grunstein RR, Hukins C, Armstrong JG, Joffe D, Swann P, Campbell DA, Pierce RJ. Sleepiness, sleep-disordered breathing, and accident risk factors in commercial vehicle driver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4;170(9):1014-1021 

  12. Melamed S, Oksenberg A.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of occupational injuries in non-shift daytime workers. Sleep 2002;23(3):315-322 

  13. Jin YY, Yoon JS, Chung EK. Evaluation of Cognitive Functions in Patients with Narcolepsy.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3;38(2):97-107 (Korean) 

  14. Milligan F, Dennis S. Improving patient safety and incident reporting. Nurs Stand 2004;19(7):33-36 

  15. Im SB, Kim KE. Clinical nurses' job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5;14:390-399 (Korean) 

  16. Im SB, Yu SY, Seo EB, Lee SJ, Yun BR, Seo EJ, Nam MJ, Kim SY, Kim EK. The effects of shift work on the nurses' negative affectivity and sleep disorder.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6;15:40-47 (Korean) 

  17. Lee WH, Kim C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anger in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2006;36:925-932 (Korean) 

  18. Lee JT, Lee KJ, Park JB, Lee KW, Jang KY. The Relations between Shiftwork and Sleep Disturbance in a University Hospital Nurs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7;19(3):223-230 (Korean) 

  19. Kim MG, Lee WC, Lee YM, Ryoo JH, Kim HC, Yoo SW, Nam KH. Factors associated with quality on sleep of subway workers by shift-work.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8;20(4):326-334 (Korean) 

  20. Kroenke K, Spitzer RL, Williams JB.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2: validity of a two-item depression screener. Med Care. 2003;41(11):1284-92. 

  21. Sohn SI, Kim do H, Lee MY, Cho Y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leep Breath 2012;16(3):803-12 

  22. Cho YW, Lee JH, Son HK, Lee SH, Shin C, Johns M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Breath 2011;15(3):377-84 

  23. Lee SY. A study on medication error among nurses and prevention strategy [dissertation]. Daejeon, Eulji University, 2008 (Korean) 

  24. So HY, Yoon HS, Cho YC. Effects of Quality of Sleep and Related Factors for Fatigue Symptoms of Nurses in an University Hospital. J Korean Acad Adult Nurs 20(4):513-525 (Korean) 

  25. Lee KS, Lee DB, Kwon IS, Cho YC. Depressive Symptoms and Their Association with Sleep Quality,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Among Small-Scaled Manufacturing Male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1;23(2):99-111 (Korean) 

  26. Kim HS, Choi KS, Eom M, Joo EJ. Role of Circadian Types and Depressive Mood on Sleep Quality of Shift Work Nurses. Korean J Psychopharmacol 2011;22:96-104 (Korean) 

  27. Shin K, Yi H, Kim J, Shin C.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n Adults. J Korean Acad Nurs 2006;36(5):829-836 (Korean) 

  28. Jeong J, Seo YJ, Nam EW.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t nursing divisions of two university hospitals. Korean J Hosp Manage 2006;11(1):91-109 (Korean) 

  29. Pepper G. Errors in drug administration by nurses. Am J Health Syst Pharm 1995;52(4):390-395 

  30. Edgar TA, Lee KS, Cousins DD. Experience with a national medication error reporting program. Am J Hosp Pharm 1994;51(10):1335-1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