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 피로와 우울; 이론수업과 임상실습 시 비교
Comparison of Sleep Quality, Fatigue and Depression among Nursing Students between School Lessons and Clinical Practicum Term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17 no.3, 2016년, pp.103 - 116  

박민희 (원광대학교 간호학과) ,  황은희 (원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sleep quality, fatigue and depression between school lessons and clinical practicum term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n 84 $4^{th}$ grade nursing students. Data collection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들의 이론수업 그리고 임상실습 교육기간 동안의 수면의 질과 피로, 우울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을 위한 차별화된 전략 수립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4학년 간호대학생의 이론수업과 임상실습 후의 수면의 질과 피로, 우울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이론수업과 임상실습 후의 수면의 질과 피로, 우울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로, 간호대학생을 위한 효율적 교육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이론수업과 임상실습후의 수면의 질과 피로, 우울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생이 경험하는 피로 유발 원인은 무엇인가? 김영경과 이지원(2005)은 간호학생이 경험한 피로는 신체적 증상과 정신적 증상으로 나뉘며, 피로 유발 원인은 전공의 특성, 교과과정, 교수 방법, 실습지도 방법, 간호사의 위상에 대한 정체성 혼란, 이론과 실무의 불일치, 다양한 경험 부재, 전공지식의 부족, 열성적인 급우들, 무미건조한 일상, 건강을 못챙김, 시간이 부족함, 대인관계가 곤란함이라고 하였다. 즉, 간호학과 특성상 이론수업 뿐만 아니라 임상실습이 간호대학생의 피로를 유발하는 요인이 됨을 의미한다.
청소년기 우울의 부정적 영향은 무엇인가? 우울은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 문제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학년이 1, 2학년보다 유의하게 우울 정도가 높았다(양승희, 2001). 대학생은 후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며, 청소년기 우울은 만사에 의욕과 흥미를 잃게 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저하시키며 대인관계, 인지, 사회생활 등 여러 영역에서의 적응을 어렵게 하며, 정서적인 문제로부터 시작하여 극심한 무력증, 피로감, 권태감, 섭식장애 등의 신체적 증상까지 다양한 기능 장애를 가져온다(하은혜 등, 2004). 간호대학생들이 일반대학생들이 비해 우울, 스트레스, 자살생각 간에 강한 상관관계를 보인 연구 결과(차선경과 이은미, 2014) 역시 눈여겨 보아야 할 것이다.
이론과 실습이 동반되는 간호교육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간호대학생들은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가? 따라서 간호학과의 교육과정은 크게 학교에서의 이론수업과 임상 현장에서의 임상실습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간호대학생들은 타 학과 학생들에 비해 엄격한 교육과정, 과중한 학습량, 엄중한 행동 규범 및 국가고시, 그리고 강의실내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외에도 조직체계가 다른 다양한 임상상황에서의 실습수행, 환자에 대한 책임감, 간호사로서 직업관과 가치관 확립 등의 많은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배정이, 1999). 이는 이론과 실습이 동반되는 간호교육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김경희, 김계하. 간호학과 여대생의 분노와 우울,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2011;20(3):233-241. 

  2. 김경희, 윤희상.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013;22(4):320-329. 

  3. 김영경, 이지원. 간호학생이 경험한 피로에 대한 의미. 질적연구 2005;6(2):15-33. 

  4. 김영숙, 김명순, 조원순.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 임상실습수행, 학업성취, 전공실습결정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2;8(1):51-60. 

  5. 김유진 외 8명. 대학생의 수면양상과 수면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간호학회지 2004;38:110-122. 

  6. 김현숙, 엄미란, 김은경. 교대근무형태 임상실습을 하는 간호대학생의 일주기수면유형과 수면양상. 대한간호학회지 2010;40(1):43-51. 

  7. 김환철 외 7명. 한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2006;18(1):25-34. 

  8. 남문희, 이미련. 간호대학생의 건강행태,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가주관적 행복지수에 미치는 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2014;12(10):363-374. 

  9. 노지영. 임상실습에서 간호학생의 피로경험. 인문사회 21 2016;7(3):345-361. 

  10. 박인순, 김창숙, 김란, 김영재, 박명희. 일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불안 및 피로조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5;11(2):151-160. 

  11. 박현숙, 한지영. 간호학생의 셀프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5;26(3):695-706. 

  12. 배정이. 간호대학생의 정신간호학 실습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인제논총 1999;15(1):625-638. 

  13. 손연정, 박영례. 교대근무 형태에 따른 대학병원 간호사의 수면 질, 피로, 우울 및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2011;13(3):229-237. 

  14. 손영주, 최은영, 송영아. 간호대학생이 대학 생활 중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스트레스연구 2010;18(4):345-351. 

  15. 양승희. 일부지역 3년제 간호대학생의 자아개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2001;10(3):376-390. 

  16. 오지현.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4;14(10):873-884. 

  17. 오진주, 송미순, 김신미. 수면측정 도구의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98;28(3):563-572. 

  18. 유수정, 송미령, 김은만. 간호대학생의 우울정도 및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4;20(1):71-80. 

  19. 유인애.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서울: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12. 

  20. 이경숙 외 6명. 전국 여대생의 우울 영향 요인. 근관절건강학회지 2013;20(2):112-121. 

  21. 이광옥, 신공범. 피로 자각증상표에 의한 일부 신촌지역 주부들의 피로도에 관한 일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79;9(2):27-38. 

  22. 이원준, 최현주. 대학생의 수면 습관 및 수면 장애특성에 관한 연구. 인제논총 2011;26(1):289-306. 

  23. 이혜숙, 김은주. 간호대학생의 학년별 임상실습 스트레스 대처 및 실습 만족도의 차이 비교. 동서간호학연구지 2008;14(1):5-13. 

  24. 정선희, 박종.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가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2013;8(2):345-353. 

  25. 조맹제, 김계희. 主要憂鬱症환자 예비평가에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1993;32(3):381-399. 

  26. 조명주. 간호대학생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6;22(2):182-190. 

  27. 차선경, 이은미.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사고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4;20(4):650-658. 

  28. 채민정, 정효주.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 임상실습만족도의 매개효과. 보건의료산업학회지 2016;10(3):213-222. 

  29. 채영란, 최동희, 유수정. 간호대학생의 수면영향요인 분석: 건강행위와 BMI를 중심으로.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2014;16(2):98-104. 

  30. 하은혜, 오경자, 송동호, 강지현. 우울장애와 불안장애 청소년을 위한 집단 인지행동치료 효과의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04;23(2): 263-279. 

  31. 한상영, 이영미.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시 스트레스에 따른 불안, 분노 및 피로경험.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2;13(2):554-561. 

  32. 황은희.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수면의 질, 우울, 피로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5;16(8):5413-5421. 

  33. Baldassin S, de Toledo Ferraz Alves TC, de Andradel AG, Martins LAN.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ve symptoms in medical students during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a cross-sectional study. BMC Medical Education 2008;8:60. 

  34. Beck DL, Hackett MB, Srivastava RM, Kim E, Rockwell B. Perceived level and sources of stress in university professional school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1997;36(4):180-186. 

  35. Cucio G, Ferrara M, Gemmaro LD. Sleep loss, learning capacity and academic performance. Sleep Medicine Reviews 2006;10:323-337. 

  36. Hsiao YC, Chien LY, Wu LY, Chiang CM, Huang SY. Spiritual health, clinical practice stress, depressive tenden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66(7):1612-1622. 

  37. Japan Occupational Hygiene Association. Rating feelings of fatigue. Japan: Science of Labor Institute, 1976. 

  38. Jimenez C, Navia-Osorio PM, Diaz DV. Stress and health in novice and experience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66(2):442-455. 

  39. Natelson BH. Chronic fatigue syndrome. JAMA 2001;23(30):2557-2559. 

  40.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97;1:385-401. 

  41. Rella S, Winwood PC, Lushington K. When does nursing burnout begin? An investigation of the fatigue experience of Australia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8;17:886-897. 

  42. Tully A. Stress, sources of stress and ways of coping among psychiatric nursing student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4;11(1):43-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