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K)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ing of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1, 2020년, pp.148 - 155  

신승화 (안동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김수현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어판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K)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수면장애군의 최적 절단점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초기 성인 64명을 대상으로 PSQI-K와 Fitbit charge 3TM을 이용하여 주관적 수면의 질과 수면양상을 측정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coefficient 계수로, 도구의 타당도는 요인분석 및 PSQI-K 점수와 Fitbit tracker 간의 Spearman's rho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PSQI-K 점수의 Cronbach's alpha coefficient는 0.69였고, PSQI-K와 Fitbit tracker의 각 지표값과의 correlation은 0.67 이상으로 유의하였다. 수면장애군 구분을 위한 절단점은 ≥6일 때 민감도 0.93, 특이도 0.84로 가장 적합하였다. PSQI-K는 초기 성인의 수면장애군을 스크리닝함에 있어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양호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K) and to examine the cutoff point of the PSQI-K for screening insomnia among young adults. The subjective quality and patterns of sleep in 64 participants were measured us...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교대근무와 건강 생활습관에 따른 수면양상 연구[23]의 데이터를 이차자료 분석하였으며, 한국형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 도구(PSQI-K)[15,19]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도구 개발 연구이다.
  •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초기 성인을 대상으로 PSQI-K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 이 도구의 최적 절단점(cutoff value)를 탐색하고자 한다.
  • 또한 PSQI-K의 신뢰도와 타당도 및 최적 절단점에 대해 대상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객관적 평가도구를 포함하여 분석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수면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번안된 PSQI-K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초기 성인의 수면장애를 스크리닝하기 위한 도구의 최적 절단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 M. Morin, M. Leblanc, M. Daley, J. P. Gregoire & C. Merette. (2006). Epidemiology of insomnia; prevalence, self-help treatments, consultations, and determinants of help seeking behaviors. Sleep Medicine, 7, 123-130.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7). Survey on working condition: sleep disorder.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Online). http://kosis.kr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Sleep disorder.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nline). http://www.mohw.go.kr 

  4. F. M. Zuraikat, N. Makarem, M. Liao, M. P. St-Onge & B. Aggarwal, (2020). Measures of poor sleep quality are associated with higher energy intake and poor diet quality in a diverse sample of women from the go red for women strategically focused research Network.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9, e014587. DOI: 10.1161/JAHA.119.014587 

  5. B. Siversten et al. (2012). The bidirectional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insomnia: The HUNT study. Psychosomatic Medicine, 74, 1-8. 

  6. D. B. Wortley & E. S. Amatea. (1982). Mapping adult life changes: A conceptual framework for organizing adult development theory. Personnel & Guidance Journal, 60(8), 476-482. DOI:10.1002/j.2164-4918.1982.tb00700.x 

  7. M. Ganpat & S. Faizan. (2019). Impact of poor sleep quality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medical students. Cureu, 11(4), e4357. 

  8. Y. J. Chae, Y. S. Go, J. A. Kim, C. Y. Jeong & M. H. Lee.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sleep, job commitment and wellness of night shift nurses in medium and small-sized hospital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42(4), 330-337. DOI: 10.21032/jhis.2017.42.4.330 

  9. M. S. Kim, J. R. Kim, K. S. Park, Y. S. Kang & M. S. P. Choe. (2013). Associations between sleep quality, daytime sleepiness, with perceived errors during nursing work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Agriculture Medicine Community Health, 38(4), 229-242. DOI: 10.5393/JAMCH.2013.38.4.229 

  10. S. Y. Kim, S. G. Kim, S. Y. Sim, B. J. Park & H. G. Choi. (2016). Excessive sleep and lack of sleep are associated with slips and falls in the adult korean population: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Medicine, 95(4), 1-8. DOI: 10.1097/MD.0000000000002397 

  11. S. Atin et al. (2016). The impact of sleep timing, sleep duration, and sleep quality on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amongst japanese freshmen. Sleep Disorders, 8737654, 1-10. DOI: 10.1155/2016/8737654 

  12. C. H, Bastien, A. Vallieres & C. M. Morin. (2004). Validat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as an outcome measure for insomnia research. Sleep Medicine, 2(4), 297-307. 

  13. D. W, Jung, Y. J, Lee, D. U, Jeong & S. K. Park. (2016). New predictors of sleep efficiency. Journal of Chronobiology International, 93-104. 

  14. M. W. Johns. (1991). A new method for measuring daytime sleepiness: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4(6), 540-545. 

  15. D. J. Buysse, C. F3rd. Reynolds, T. H. Monk, S. R. Berman & D. J. Kupfer.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28, 193-213. 

  16. S. L. Beck, A. L. Schwartz, G. Towsley, W. Dudley & A. Barsevick. (2004).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Pain Symptom Manage, 27(2), 140-148. 

  17. Y. Doi et al. (2000). Psychometric assessment of subjective sleep quality using the Japanese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J) in psychiatric disordered and control subjects. Psychiatry Research, 97(2-3), 165-172. DOI: 10.1016/s0165-1781(00)00232-8 

  18. P. S. Tsai et al. (2005).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Chinese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CPSQI) in primary insomnia and control subjects. Quality Life Research, 14(8), 1943-1952. 

  19. S. I. Sohn, D. H. Kim, M. Y. Lee & Y. W. Cho. (201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leep Breath, 16, 803-12. DOI: 10.1007/s11325-011-0579-9 

  20. M. S. Park, M. N. Choi, H. K. Lee & M. H. Lee (2015). Quality of sleep and heart rate variability by physical activity in high school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1(3), 195-203. DOI: 10.4094/chnr.2015.21.3.195 

  21. B. I. Kim et al. (2018). Factors related with quality on sleep of daytime worker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30, 63. DOI: 10.1186/s40557-018-0271-7 

  22. M. J. Kim, J. H. Lee, H. C. Youn, H. K. Jeong & S. H. Kim. (2019). Factors Associated with Personal and Social Performance Status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6(1), 33-43 DOI: 10.14401/KASMED.2019.26.1.33 

  23. S. H. Shin, (2019). Sleep patterns according to shift work and healthy lifestyle in nurses. Doctoral disser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4. S. I. Chae. (2005). Research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s. 3rd ed. Paju: Hakhyunsa. 

  25. H. C. Kang. (2014).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43(5), 587-594. DOI: 10.4040/jkan.2013.43.5.587 

  26. R. C. MacCallum, K. F. Widaman, S. Zhang & S. Hong. (1999). Sample size in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4(1), 84-99. DOI: 10.1037/1082-989X.4.1.84 

  27. M. Zambotti, A. Goldstone, S. Claudatos, I. M. Colrain & F. C. Baker. (2018). A validation study of Fitbit Charge 2 TM compared with polysomnography in adults. The Journal of Biological and Medical Rhythm Research, 35(4), 465-476. DOI: 10.1080/07420528.2017.1413578. 

  28. B. Elissa et al. (2018).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wo fitness tracker devices in the laboratory and home environment for older community-dwelling people. BMC Geriatrics, 18, 103. DOI: 10.1186/s12877-018-0793-4 

  29. D. E. Polit & B. P. Hungler. (1991). Nursing research: Principles and methods. 4th ed. Philadelphia: Lippincott.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