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턱의 운동이 이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mporomandibular joint movement on tinnitus 원문보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38 no.4, 2013년, pp.333 - 338  

김정모 (강원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 ,  김태수 (강원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  남의철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이비인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특정한 형태의 이명은 그 발생에 있어서 청각계와 체성감각계의 상호작용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발표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턱의 운동이 이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계획되었다. Methods: 163명 이명 환자의 217귀를 대상으로 순음청력검사, 이명의 특성에 대한 설문조사, 이명의 크기, 지속시간 및 괴로운 정도에 대한 시각사상척도(visual analogue scale) 조사와 함께 9 항목의 턱관절등척성 운동에 따른 이명의 크기 변화를 조사하는 이명의 체성조절 검사를 시행하였다. Results: 체성조절 검사를 시행한 이명 환자의 217귀 중 125귀(57.6 %)에서 이명의 크기가 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일측성 이명 109귀중 70귀(64.2%)에서 체성조절에 반응하여 양측성 이명 108귀중 55귀(50.9%)의 반응보다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p<0.05). 검사 항목 모두에서 이명의 크기 증가가 감소보다 더 자주 관찰되었고, 크기 증가의 빈도는 6.7-15.4%로 개구 및 이악물기 항목에서 가장 자주 이명의 크기 증가가 유발되었다. Conclusion: 본 연구 결과, 턱의 운동은 이명을 악화 혹은 유발시킬 수 있으며, 체성조절 검사는 턱 관절의 자극이 이명의 유발 및 악화요인 인가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 growing number of studies have been providing evidence for neural connections between the auditory and somatosensory systems that might be a critical part of the mechanisms underlying certain forms of tinnit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mporomandibular jo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8) 본 연구는 턱의 운동이 이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향후 치과 영역의 대표적 질환인 턱관절질환과 이명 발생 및 변화와의 연관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나아가 턱관절장애와 관련된 청각 증상의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치과(구강악안면외과)영역의 대표적 질환인 턱관절장애 환자들에게서 이명의 유병율이 매우 높고, 이러한 경우 턱관절장애의 치료에 따른 이명 개선효과가 보고됨에 따라, 턱관절 운동과 이명에 대한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계획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턱관절 장애 환자에게 나타나는 귀 증상은 무엇인가? 턱관절 장애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TMD)환자에게 나타나는 귀 증상으로는 이통, 이명, 어지럼증, 청력소실, 현훈, 이 충만감 등이 있다.1) 1936년 Dr.
이명이란? 이명이란 외부로부터의 청각자극이 없는 상황에서 소리가 들린다고 느끼는 상태로, ‘청각계 내부의 자발적 신경활동(spontaneous neural firing)의 빈도 혹은 그 동조성(synchrony)의 증가’이다. 일부 이명환자들에게 있어서는 스스로 특정 행동을 하거나 자세를 취할 때, 즉, 특정 근육이 수축할 때 이명의 크기나 음높이가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 어떤 턱관절의 자극이 이명의 크기를 증가시키는가? 본 연구에서도 이를 악물었을 때와 하악을 전돌시켰을 때 이명크기의 증가를 보였다. 특히 이악물기 항목은 모든 저작근의 강력한 수축에 의해 일어나며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턱관절의 자극은 이명의 유발 및 악화 요인임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Fricton JR, Kroening R, Haley D, Siegert R. Myofascial pain syndrome of the head and neck: a review of clinical characteristics of 164 patien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5;60:615-623. 

  2. Costen JB. Neuralgias & ear symptoms associated with disturbed func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J Am Med Assoc 1936;107:252. 

  3. Asc CM, Pinto OF. The TMJ and the Middle Ear: Structural and functional correlates for aural symptoms associated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ction. Int J Prosthodont 1991;4:51-57. 

  4. Eggermont JJ. Pathophysiology of tinnitus. Prog Brain Res 2007;166:19-35. 

  5. Moller AR, Moller MB, Yokota M. Some forms of tinnitus may involve the extralemniscal auditory pathway. Laryngoscope 1992;102: 1165-1171. 

  6. Rubinstein B. Tinnitus and craniomandibular disorders-is there a link? Swed Dent J Suppl 1993;95:1-46. 

  7. Wright EF, Bifano SL. The Relationship between Tinnitus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Therapy. Int Tinnitus J 1997;3:55-61. 

  8. Levine RA, Nam EC, Oron Y, Melcher JR. Evidence for a tinnitus subgroup responsive to somatosensory based treatment modalities. Prog Brain Res 2007;166:195-207. 

  9. Abel MD, Levine RA. Muscle contractions and auditory perception in tinnitus patients and nonclinical subjects. Cranio 2004;22:181-191. 

  10. Levine RA. Somatic (craniocervical) tinnitus and the dorsal cochlear nucleus hypothesis. Am J Otolaryngol 1999;20:351-362. 

  11. Simmons R, Dambra C, Lobarinas E, Stocking C, Salvi R. Head, Neck, and Eye Movements That Modulate Tinnitus. Semin Hear 2008;29:361-370. 

  12. Steenerson RL, Cronin GW. Treatment of tinnitus with electrical stimulation.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9;121:511-513. 

  13. Toller MO, Juniper RP. Audiological evaluation of the aural symptoms in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J Craniomaxillofac Surg 1993;21:2-8. 

  14. An YH, Choi A, Yoon S, Shim H.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omatic modulation between somatic tinnitus and otic tinnitus. Audiol Neurotol 2011;1:9-19.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