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보존적 치료효과 및 관절면의 변화 비교
Effect of conservative therapy and Mandibular condylar bone change on Adolescents with osteoarthritis of TMJ 원문보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38 no.4, 2013년, pp.357 - 366  

전혜미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내과학교실) ,  김경희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구강내과학교실) ,  옥수민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내과학교실) ,  허준영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내과학교실) ,  정성희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내과학교실) ,  고명연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내과학교실) ,  안용우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부산대학교치과병원 구강내과에 측두하악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만 12세-19세(평균나이 : $15.75{\pm}2.17$세)의 청소년환자 중 임상검사, 방사선검사 및 전산화 단층촬영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을 통하여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으로 진단되고 하나이상의 과두나 하악와의 관절하골에서 erosive change를 보이는 149명 167개의 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후 평균 9개월($9.03{\pm}4.64$ 개월) 이후 CBCT를 재촬영하고, 임상검사를 재실시하였다. 구강내과 전문의와 치과 방사선과 전문의가 영상 진단을 하였고, 임상 검사 결과와 CBCT의 영상 결과를 추적 연구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약물치료, 물리치료, 행동조절치료, 교합안정장치치료를 병행한 환자군은 교합안정장치치료를 병행하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치료 후 통증, 개구제한 증상에서 유의한 증상 개선을 나타냈다. 2. 교합안정장치치료를 병행한 급성환자군은 교합안정장치치료를 병행하지 않은 급성환자군보다 치료 후 통증, 관절잡음, 개구제한이 더 많이 개선되었고, 그 중 통증과 개구제한은 유의한 증상 개선을 보였다. 3. 치료 후 침식을 보이는 하악과두의 골변화 양상은 치료방법에 상관없이 개선되는 방향(improved)으로 진행되었으나, 교합안정장치치료를 병행한 환자군에 비해서 교합압정장치치료를 병행하지 않은 환자군에서는 하악과두의 침식성 골 변화가 더 악화(worsen)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으며, 반대쪽 하악과두에 새로운 침식이 나타난 경우도 더 많이 관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 of occlusal stabilizing splint and to assess follow-up study of condylar bony changes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CBCT) in adolescents patients (12-19 years) with TMJ osteoarthritis(OA). 167 eroded condyles in 149 subjects were chos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 청소년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환자, 특히 하악과두의 활동성 골변화 양상인 침식(erosion)을 보이는 환자의 치료에 다양한 보존적 치료 방법을 적용할 때 임상 증상의 개선 정도를 비교하고, 일정 기간 치료 후 CBCT를 재촬영 하여 하악과두 골변화의 진행 양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증상의 발현시점에 따라 환자를 급만성군으로 분류하여 치료 후 임상 증상의 개선 정도를 비교 검토해 보고자 한다.
  •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임상증상과 치료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어왔으나, 특정 골변화를 보이는 성장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교합안정장치치료의 병행 유무에 따른 보존적 치료효과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침식성 골변화가 관찰되는 성장기 청소년 골관절염 환자를 선택하여 교합안정 장치치료의 병행 유무에 따른 보존적 치료효과를 조사하였고, 증상의 발현기간에 따른 교합안정장치 치료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 10) 앞서 설명했듯이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은 연령의 증가가 중요한 기여인자 이며, 적응과정 또한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 청소년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환자, 특히 하악과두의 활동성 골변화 양상인 침식(erosion)을 보이는 환자의 치료에 다양한 보존적 치료 방법을 적용할 때 임상 증상의 개선 정도를 비교하고, 일정 기간 치료 후 CBCT를 재촬영 하여 하악과두 골변화의 진행 양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증상의 발현시점에 따라 환자를 급만성군으로 분류하여 치료 후 임상 증상의 개선 정도를 비교 검토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관절염의 임상적 특징은? 골관절염(Osteoarthritis : OA)은 측두하악관절 (Temporomandibular joint : TMJ)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관절염 중 하나로, 관절에 증가된 부하로 인해 하악과두와 하악와의 골성 관절면의 변형이 일어나는 파괴과정으로 여겨진다. 임상적인 특징은 통증, 관절잡음, 개구제한, 운동제한 등 측두하악장애에서 흔히 나타나는 비특이적인 임상소견이 대부분이며, 종종 전형적인 염발음이 나타나기도 한다. 질환이 적응과정일 경우 무증상인 경우도 있다.1) 대개 방사선 사진 상 편평화(flattening), 골증식체(osteophyte), 침식(erosion), 경화(sclerosis), 연골하낭(subchondral cyst)등과 같은 과두나 관절와의 관절하골에서 구조적 변화를 관찰하여 확진할 수 있다.
측두하악관절의 골변화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어떤 것이 있나? 2) 관절통 등의 임상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 하악과두의 침식성골변화가 가장 흔히 관찰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4) 측두하악관절의 골변화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방사선 조사량과 경제적인 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진 치과용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CBCT)가 가장 추천되는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Honey등5)과 Barghan 등2)의 연구에서는 CBCT가 파 노라마,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MRI) 보다 하악과두의 침식(erosion) 및 그 외의 골변화를 평가하는데 가장 우수한 방법으로 보고한 바 있다.
골관절염이란? 골관절염(Osteoarthritis : OA)은 측두하악관절 (Temporomandibular joint : TMJ)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관절염 중 하나로, 관절에 증가된 부하로 인해 하악과두와 하악와의 골성 관절면의 변형이 일어나는 파괴과정으로 여겨진다. 임상적인 특징은 통증, 관절잡음, 개구제한, 운동제한 등 측두하악장애에서 흔히 나타나는 비특이적인 임상소견이 대부분이며, 종종 전형적인 염발음이 나타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Okeson JP.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7th ed., 2013, Elsevier, pp. 339-344. 

  2. Barghan S, Tetradis S, Mallya SM. Application of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for assess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ustralian Dental Journal 2012; 57(1):109-118. 

  3. Lee JU, Kim HS, Song JS, Kim KA, Koh KJ. Bone change of mandibular condyle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07;37:139-147. 

  4. Zhao YP, Zhang ZY, Wu YT, Zhang WL, Ma XC. Investigation of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features of osteoarthros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11;111(2):e27-34. 

  5. Honey OB, Scarfe WC, Higers MJ et al. Accuracy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ing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Comparisons with panoramic radiology and linear tomograph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7;132:429-438. 

  6. Okeson JP.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7th ed., 2013, Elsevier, pp. 258-290. 

  7. Laskin DM, Green CS., Hylander WL.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An evidence- based appro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2006, Quintessence, pp.53-67. 

  8. Wiese M, Svensson P, Bakke M et al. Association between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signs, and clinical diagnosis using the RDC/TMD and radiographic findings in temporomandibular joint tomograms. J Orofac Pain 2008;22(3):239-251. 

  9. Alexiou K, Stamatakis H, Tsiklakis K. Evaluation of the severity of temporomandibular joint osteoarthritic changes related to age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Dentomaxillofac Radiol 2009;38(3): 141-147. 

  10. Ok SM, Heo JY, Ahn YW, Ko MY, Jeong SH. Comparative analysis : The patient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among adolescents, Korean J Oral medicine 2013;38(1):69-76. 

  11. Poveda Roda R, Bagan JV, Diaz Fernandez JM, Hernandez Bazan S, Jimenez Soriano Y. : Review of temporomandibular joint pathology. Part I: classification,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2007;12(4):E292-298. 

  12. Neville BW, Damm DD, Allen CM, Bouquot JE.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2nd ed., 2001, Saunder, pp.755. 

  13. Nah KS. Condylar bony changes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CBCT study. Imaging Sci Dent 2012;42(4):249-253. 

  14. Krisjane Z, Urtane I, Krumina G, Neimane L, Ragovska I. The prevalence of TMJ osteoarthritis in asymptomatic patients with dentofacial deformities: a cone-beam CT study.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12;41(6):690-695. 

  15. Roh CS, Jung YH, Tae IH, Ko MY, Ahn YW. The Usefulness of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in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Osteoarthritis. Korean J Oral medicine 2009:34(1):81-90. 

  16. Ko CH, Ahn YW, Ko MY, Park JS. Evaluation of Condylar Surface in Temporomandibular joint with lock sensation using Computed Tomography. Korean J Oral medicine 2004:29 (1): 67-77. 

  17. Yamada K, Saito I, Hanada K, Hayashi T. Observation of three cases of temporomandibular joint osteoarthritis and mandibular morphology during adolescence using helical CT. J Oral Rehabil 2004;31(4): 298-305. 

  18. Cho BH, Jung YH. Osteoarthritic changes and condylar positioning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maging Sci Dent 2012;42(3):169-174. 

  19. Rando C, Waldron T. TMJ osteoarthritis: a new approach to diagnosis. Am J Phys Anthropol 2012;148(1):45-53. 

  20. Mejersjo C. Therapeutic and prognostic considerations in TMJ osteoarthrosis : a literature review and a long-term study in 11 subjects. Cranio 1987;5(1):69-78. 

  21. Kamelchuk LS, Major PW. Degenerative diseas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J Orofac Pain 1995;9(2):168-180. 

  22. Son DE, Ok SJ, Ko MY, Ahn YW. A Study of Conserv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TMJ. Korean J Oral medicine 2007;32(2):227-239. 

  23. Kim JH, Jeon HM, Ok SM et al. Effect of Occlusal Stabilizing Splint for Osteoarthrit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Korean J Oral medicine 2012;37(2):113-123. 

  24. Machon V, Hirjak D, Lukas J. Therapy of the osteoarthrit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J Craniomaxillofac Surg 2011;39(2):127-130. 

  25. Wassell RW, Adams N, Kelly PJ.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by stabilizing splints in general dental practice: results after initial treatment. Br Dent J 2004;197(1):35-41. 

  26. Wassell RW, Adams N, Kelly PJ. Th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ith stabilizing splints in general dental practice: one-year follow-up. J Am Dent Assoc 2006;137(8):1089-1098. 

  27. Lipton JA, Marbach JJ. Predictors of treatment outcome in patients with myofascial pain-dysfunction syndrome and organic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J Prosthet Dent 1984;51(3):387-393. 

  28. Charlier JP, Petrovic A, Linck G. The chin cup and its effect on mandibular growth. Experimental studies on the rat. Orthod Fr 1969;40:99-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