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학교육에서의 개념학습을 위한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의 설계와 탐구활동 지원도구의 평가
Design of Online Learning Community for Conceptual 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Inquiry Activity Supporting Tools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6 no.1, 2013년, pp.3 - 14  

신선희 (강남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학교육에 적용할 목적으로 효율적이고 정확한 개념 습득을 위한 탐구기반 개념학습 모형을 도입하고 이를 지원하는 탐구활동 지원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기 위하여 Windows 웹기반 응용프로그램인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를 구축하였다. 여기에는 탐구기반 개념학습의 수업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탐구활동 메뉴, 구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 지원 기능, 정보공유 기능, 수업 및 탐구활동 스케쥴링 기능, 멘토링 기능, 온라인 활동 평가 기능 등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탐구활동 지원도구의 유용성을 검증하고 탐구활동 지원도구가 공학교육에서의 탐구기반 개념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연구를 통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실험연구 결과, 실험집단에게 탐구활동 지원도구를 오프라인 및 온라인으로 제공함으로써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메타인지와 효율적인 학습 수행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탐구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개념이해능력에 있어서 탐구기반 개념학습의 수업절차, 탐구활동 지원도구, 교수자의 지원활동이 적용된 실험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viously developed practical inquiry activity supporting tools, deduced from the design principles and implementation principles based on the study of precedent researches and theories, applicable to conceptual 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were implemented to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기에는 탐구기반 개념학습의 수업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탐구활동 메뉴, 구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 지원 기능, 정보공유 기능, 수업 및 탐구활동 스케쥴링 기능, 멘토링 기능, 온라인 활동 평가 기능 등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탐구활동 지원도구의 유용성을 검증하고 탐구활동 지원도구가 공학교육에서의 탐구기반 개념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연구를 통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실험연구 결과, 실험집단에게 탐구활동 지원도구를 오프라인 및 온라인으로 제공함으로써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메타인지와 효율적인 학습 수행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탐구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이고 올바른 개념 습득이 중요시되는 공학교육에 적합한 탐구기반 개념학습 모형을 도입하고 이를 지원하는 탐구활동 지원도구와 탐구기반 개념학습의 세부절차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출된 탐구활동 지원도구를 적용한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를 개발하고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지원도구의 유용성을 검증하고 개념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이고 올바른 개념 습득이 중요시되는 공학교육에 적합한 탐구기반 개념학습 모형을 도입하고 이를 지원하는 탐구활동 지원도구와 탐구기반 개념학습의 세부절차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출된 탐구활동 지원도구를 적용한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를 개발하고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지원도구의 유용성을 검증하고 개념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설계연구를 통해 개발된 탐구활동 지원도구를 실제로 공학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탐구기반 개념학습이 학습결과(개념이해능력, 탐구능력, 학습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탐구기반 개념학습을 위한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는 온라인 서버를 이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가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접근하여 학습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시공간적 제약을 없애고 효과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외에도 학습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을 증대시키고 적절한 시기에 학습자들의 학습 진행 상황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 탐구기반 개념학습을 위한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는 온라인 서버를 이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가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접근하여 학습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시공간적 제약을 없애고 효과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외에도 학습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을 증대시키고 적절한 시기에 학습자들의 학습 진행 상황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 학습자들의 온라인 활동도를 측정하고 이를 평가에 반영하는 시스템은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에 대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학습자들의 로그인, 글 게시, 자료 업로드, 팀 컨퍼런스 수행, 성찰 활동 등 활동마다 적절한 점수를 부여하여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총점을 계산하도록 하고 이를 개인정보에 기록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온라인 활동을 독려하고 평가의 준거를 마련할 목적으로 구성된 기능이다. 또한 정해진 기한 내에 제출하도록 지정된 과제물 및 학습활동에 대하여 기한 준수 여부에 따라 점수가 부여되어 적절한 시기에 학습이 진행될 수 있도록 책임감을 고취시키는 기능도 제공한다.
  • 탐구기반학습/개념학습에 대한 사전경험 검사는 5단계 리커드 척도의 설문지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유사한 형태의 학습경험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학습태도 검사는 학습자들이 학습에 임하는 기본적인 태도를 검사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지는 Heo(1998)가 사용한 자기조절 학습전략 검사지를 참조하여 5단계 리커드 척도로 검사 문항이 개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탐구기반 개념학습을 위한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는 무엇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는가? 탐구기반 개념학습을 위한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는 온라인 서버를 이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가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접근하여 학습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시공간적 제약을 없애고 효과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외에도 학습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을 증대시키고 적절한 시기에 학습자들의 학습 진행 상황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공학교육에서 추구하는 창의적 문제해결과 종합적 설계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공학교육에서 추구하는 창의적 문제해결과 종합적 설계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정확한 개념 습득이 필요하며, 개념에 대한 이해를 학습의 최우선 목표로 하여 적극적으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는 ‘개념학습’(Conceptual Learning) (Lightman & Sadler, 1993; Prince & Felder, 2007; Hake, 1998; Laws et al., 1999; Mazur, 1997; Redish, Saul & Steinberg, 1997; Steif, 2003)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탐색과 분석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습득하는 교수-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탐구기반학습(Comeaux & Huber, 2001; Prince & Felder, 2006; Prince & Vigeant, 2006; van Z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강명희, 한연선(2000). 자원기반학습에서 탐구훈련모형의 활용이 탐구능력과 과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16(2): 3-18. 

  2. 강석진, 노태희(2000). 토론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형성을 강조 한 개념학습 전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250-261. 

  3. 신선희(2009). 공학교육에서의 개념학습을 위한 탐구활동 지 원도구 설계연구.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박사학위 논문. 

  4. 윤찬경, 박종원(2006). 과학학습에서 개념적 이해의 평가를 위 한 문항 유형의 개발. 교과교육학연구, 10(2): 387-405. 

  5. Comeaux, P., & Huber, R.(2001). Students as Scientists: Using Interactive Technologies and Collaborative Inquiry in an Environmental Science Project for Teachers and Their Student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2(4): 235-252. 

  6. Hake, R.(1998). Interactive-Engagement vs. Traditional Methods: a Six-Thousand -Student Survey of Mechanics Test Data for Introductory Physics Course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6(1): 64-74. 

  7. Heo, H.(1998).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 achievement and perceptions on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 Ph.D. dissertation.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8. Laws, P., Sokoloff, D., & Thornton, R.(1999). Promoting Active Learning Using the Results of Physics Education Research. Universe Science News, 13(http://science.uniserve. edu.au/ newsletter/vol13/). 

  9. Lightman, A., & Sadler, P.(1993). Teacher Predictions versus Actual Student Gains. The Physics Teacher, 31(3): 162-167. 

  10. Mazur, E.(1997). Peer Instruction, New Jersey, Prentice Hall. 

  11. Prince, M., & Felder, R.(2006). Indu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Definition, Comparisons, and Research Base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5(2): 123-138. 

  12. Prince, M., & Felder, R.(2007). The Many Faces of Inductive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6(5): 14-20. 

  13. Prince, M., & Vigeant, M. (2006). Using Inquiry-based Activitie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Critical Engineering Concepts,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NSF Research Report. 

  14. Redish, E., Saul, J., & Steinberg, R.(1997). On the Effectiveness of Active-Engagement Micro- computer- Based Laboratorie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5(1): 45-54. 

  15. Steif, P. S. (2003). Comparison Between Performance on a Concept Inventory and Solving of Multifaceted Problems. Conference Proceedings of Frontiers in Education, Boulder, Co., USA. 

  16. van Zee et al. (2005).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as Inquiry: A Case Stu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estigations of Light, Science Teacher Education, 89(6): 1007-104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