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격성의 신경생물학
Neurobiology of Aggression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20 no.4, 2013년, pp.129 - 135  

김기원 (용인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안은숙 (용인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유상 (용인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박선철 (용인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ggression can be defined as 'behavior intended to harm another' which can be seen both from humans and animals. However, trying to understand aggression in a simplistic view may make it difficult to develop an integrated approach. So, we tried to explain aggression in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뇌 활성도와 경험으로부터 영향 받는 피질 자극은 공격성의 기반으로서 가소성과 자기 조절의 힘을 가진 뇌 여러 영역에서 발생한 활성도와 통합이 되어 공격성으로 나타나게 된다.8) 이에 본 원고에서 저자들은 공격성의 유형학, 신경해부학, 신경화학, 유전학 등을 바탕으로 공격성의 신경생물학적 특성을 다학제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먼저 공격성에 대한 다학제적 논의 전에, 일반적인 공격성 연구에서 보이는 5가지 원칙을 다룰 필요가 있다(Table 1).

가설 설정

  • 즉 시냅스전 수용체를 파괴하여도 시냅스후 활성도의 공격성 억제 작용(anti-aggressive effect)에영향이 없었으며, 동물실험에서는 5-HT1A 수용체 효현제인 S-15535가 용량-의존적으로 공격성을 억제한다고 보여졌다.26) 5-HT1B 효현제는 5-HT1A 효현제와 달리 운동 활성도 (motor activity)를 감소시키지 않고 공격성에만 보다 선택적으로 작용한다.27) 5-HT1B 효현제인 CP-94253은 평소 동작 (locomotion)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다가, 사회적 상황이나 물질 등으로 투쟁반응이 증진되면 CP-94253 역시 동작(loco-motion)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였다.
  • 따라서 남성형 공격성에서 테스토스테론의 방향화(aromatization)와 환원(5α-reduction)은 임계 단계(critical step)로서 작용하게 된다.34) 반면에 여성형 공격성은 DHEA-S에서 DHEA로의 변환과정이 임계 단계로서 작용한다. 이에 따라 남성형 공격성은 테스토스테론에 의한 세로토닌 조절의 영향을 받고, 여성형 공격성은 GABA에의해 통제되고 DHEA에 의해 조절된다.
  • 4)5) 즉, 표면적으로는 공격성을 쉽게 보일 수 있는 공통된 상황이라고 해도, 각각의 유전-환경 상호관계 속에서 공감의 결여, 정서적 민감성, 외상의 과거력, 사회적 인지의 장애가 영향을 미쳐 다양한 형태의 공격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6) 공격성을 단일한 의미로 접근하려 한다면 이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접근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7) 최근 신경가소성의 관점에서, 서로 다른 기전으로 발생하는 여러 형태의 공격성이 환경 자극에 적응적이고 때로는 의존적인 것으로 새롭게 다뤄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난폭성이란? 공격성(aggression)은 인간과 동물 모두에게 적용되고 누군가를 위해하는 것을 의미하며, 화(anger), 분노(rage), 적개심 (hostility) 등 다양한 개념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난폭성(violence)은 공격적 행동의 극단으로서 갑자기 타인을 손상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충동성(impulsivity)은 가능한 결과를 고려하지 않거나 의식적인 판단을 배제한 채 계획되지 않은 상황에서 행위가 이뤄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공격성과 충동성에서 중복되는 영역이 바로 난폭성이다.
공격성이란? 공격성(aggression)은 인간과 동물 모두에게 적용되고 누군가를 위해하는 것을 의미하며, 화(anger), 분노(rage), 적개심 (hostility) 등 다양한 개념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난폭성(violence)은 공격적 행동의 극단으로서 갑자기 타인을 손상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충동성(impulsivity)은 가능한 결과를 고려하지 않거나 의식적인 판단을 배제한 채 계획되지 않은 상황에서 행위가 이뤄지는 것을 의미한다.
공격성에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은 각각 어떠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가? 공격성에 관련된 신경해부학적 회로는 요약컨대, 무의식적 처리를 담당하는 피질하구조와 의식적 처리를 담당하는 피질구조로 구성 되어 “뇌의 효율적 조직화”를 통하여 작동된다. 공격성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 중에서, 세로토닌은 억제성 기능을, 노르에피네프린은 허용 기능을, 도파민은 예기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격성의 원인으로 알려진 확실한 유전적 표지자는 보고된 바 없으며, 이에 따라 유전자-유전자 상호관계나 유전자-환경 상호관계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Campbell RJ. Campbell' s Psychiatric Dictionary. 10th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2009. 

  2. Nelson RJ, Trainor BC. Neural mechanisms of aggression. Nat Rev Neurosci 2007;8:536-546. 

  3. Victoroff J. Human aggression. In: Sadock BJ, Sadock VA, Ruiz P, editors. Kaplan and Sadock' s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 7th ed. New York: Lippincott Wiliams and Wilkins;2009. p.2671- 2702. 

  4. Umukoro S, Aladeokin AC, Eduviere AT. Aggressive behavior: a comprehensive review of its neurochemical mechanisms and management.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2013;18:195-203. 

  5. Lane SD, Kjome KL, Moeller FG. Neuropsychiatry of aggression. Neurol Clin 2011;29:49-vii. 

  6. Siever LJ. Neurobiology of aggression and violence. Am J Psychiatry 2008;165:429-442.17. 

  7. Park SC. Neurobiology of aggression. In: Proceedings of the Annual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logical Psychiatry; 2013 April 5, Seoul, Korea. p.102-112. 

  8. Stoff DM, Susman EJ. Developmental psychobiology of aggress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2005. 

  9. Blanchard DC, Blanchard RJ. What can animal aggression research tell us about human aggression? Horm Behav 2003;44:171-177. 

  10. Ahn SK. Psychopharmacology of violent behavior. In: Lee HS, editor. Clinical Neuropsychopharmacology. Seoul: ML communications Co. Ltd.;2008. p.676-686. 

  11. Adams DB. Brain mechanisms of aggressive behavior: an updated review. Neurosci Biobehav Rev 2006;30:304-318. 

  12. Blair RJ. The roles of orbital frontal cortex in the modulation of antisocial behavior. Brain Cogn 2004;55:198-208. 

  13. Ahn SK. Neurobiological understanding of violence. In: Proceedings of the Annual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logical Psychiatry;2012 April 6, Seoul, Korea. p.41-46. 

  14. Davidson RJ, Putnam KM, Larson CL. Dysfunction in the neural circuitry of emotion regulation--a possible prelude to violence. Science 2000;289:591-594. 

  15. Green RG. Human aggression: mapping social psychology. 2nd ed. Berkshire: Open University Press;2001. 

  16. Karli P. The neurobiology of aggressive behaviour. C R Biol 2006; 329:460-464. 

  17. Mattson MP. Neurobiology of aggression: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violence. Totowa: Humana Press;2003. 

  18. Sugden SG, Kile SJ, Hendren RL. Neurodevelopmental pathways to aggression: a model to understand and target treatment in youth.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2006;18:302-317. 

  19. Filley CM, Price BH, Nell V, Antoinette T, Morgan AS, Bresnahan JF, et al. Toward an understanding of violence: neurobehavioral aspects of unwarranted physical aggression: Aspen Neurobehavioral Conference consensus statement. Neuropsychiatry Neuropsychol Behav Neurol 2001;14:1-14. 

  20. Brower MC, Price BH. Neuropsychiatry of frontal lobe dysfunction in violent and criminal behaviour: a critical review.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1;71:720-726. 

  21. Minzenberg MJ, Fan J, New AS, Tang CY, Siever LJ. Fronto-limbic dysfunction in response to facial emotion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 event-related fMRI study. Psychiatry Res 2007;155:231- 243. 

  22. Park SC. Cerebral asymmetry. In: Proceedings of Annual Spring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013 March 9, Gwangju, Korea, p.141-156. 

  23. Rohlfs P, Ramirez JM. Aggression and brain asymmetries: a theoretical review. Aggress Violent Behav 2006;11:283-297. 

  24. Craig IW. The importance of stress and genetic variation in human aggression. Bioessays 2007;29:227-236. 

  25. Hennig J, Reuter M, Netter P, Burk C, Landt O. Two types of aggression are differentially related to serotonergic activity and the A779C TPH polymorphism. Behav Neurosci 2005;119:16-25. 

  26. de Almeida RM, Ferrari PF, Parmigiani S, Miczek KA. Escalated aggressive behavior: dopamine, serotonin and GABA. Eur J Pharmacol 2005;526:51-64. 

  27. de Almeida RM, Miczek KA. Aggression escalated by social instigation or by discontinuation of reinforcement ("frustration") in mice: inhibition by anpirtoline: a 5-HT1B receptor agonist. Neuropsychopharmacology 2002;27:171-181. 

  28. Miczek KA, Fish EW. Monoamine, GABA, Glutamate, and Aggression. In: Nelson RJ, editor. Biology of Aggress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2006. p.114-149. 

  29. Brown GL, Goodwin FK, Ballenger JC, Goyer PF, Major LF. Aggression in humans correlates with cerebrospinal fluid amine me tabolites. Psychiatry Res 1979;1:131-139. 

  30. van Erp AM, Miczek KA. Aggressive behavior, increased accumbal dopamine, and decreased cortical serotonin in rats. J Neurosci 2000; 20:9320-9325. 

  31. de Boer SF, Lesourd M, Mocaer E, Koolhaas JM. Selective antiaggressive effects of alnespirone in resident-intruder test are mediated via 5-hydroxytryptamine1A receptors: A comparative pharmacological study with 8-hydroxy-2-dipropylaminotetralin, ipsapirone, buspirone, eltoprazine, and WAY-100635. J Pharmacol Exp Ther 1999;288:1125-1133. 

  32. Lesch KP, Merschdorf U. Impulsivity, aggression, and serotonin: a molecular psychobiological perspective. Behav Sci Law 2000;18: 581-604. 

  33. Goedhard LE, Stolker JJ, Heerdink ER, Nijman HL, Olivier B, Egberts TC. Pharmac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aggressive behavior in general adult psychiatry: A systematic review. J Clin Psychiatry 2006;67:1013-1024. 

  34. McAndrew FT. Interacting roles of testosterone and challenges to status in human male aggression. Aggress Violent Behav 2009;14:330- 335. 

  35. Simon NG, Lu S. Androgens and Aggression. In: Nelson RJ, editor. Biology of Aggress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2006. p.211-230. 

  36. Yang LY, Verhovshek T, Sengelaub DR.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androgen interact in the maintenance of dendritic morphology in a sexually dimorphic rat spinal nucleus. Endocrinology 2004; 145:161-168. 

  37. Simon NG, Cologer-Clifford A, Lu SF, McKenna SE, Hu S. Testosterone and its metabolites modulate 5HT1A and 5HT1B agonist effects on intermale aggression. Neurosci Biobehav Rev 1998;23:325- 336. 

  38. Miczek KA, Fish EW, De Bold JF, De Almeida RM. Social and neural determinants of aggressive behavior: pharmacotherapeutic targets at serotonin, dopamine and gamma-aminobutyric acid systems. Psychopharmacology (Berl) 2002;163:434-458. 

  39. Ogawa S, Nomura M, Choleris E, Pfaff D. The role of estrogen receptors in the regulation of aggressive behaviors. In: Nelson RJ, editor. Biology of Aggression. New York: Oxford Univ Press;2005. p.231-249. 

  40. Miczek KA, Maxson SC, Fish EW, Faccidomo S. Aggressive behavioral phenotypes in mice. Behav Brain Res 2001;125:167-181. 

  41. Nelson RJ. Affiliative and aggressive behavior. In: An introduction to behavioral endocrinology. 2nd ed. Sunderland: Sinauer;2000. p.395- 445.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