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alysis and evaluation of uncertainty is adopting the advanced methodology among the methods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ssessment that was defined in GPS2000 (Good practice guideline 2000) and GPG-LULUCF (GPG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In 2006 IPCC guideline, two approaches are sug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대한 불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식을 적용하여 개별적인 불확도 및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값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1990년부터 2010년까지의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통한 연간 농업부문별 불확도 평가 결과 농경지 토양이 평균 73%로 작물소각(40%), 벼재배(33%), 분뇨처리(24%), 장내발효(13%)에 비하여 불확도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산정에 대한 불확도를 평가하고 불확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배출계수 및 활동자료를 추출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을 위한 방법론의 선택에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농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식을 고찰하고, 각각의 산정식에서 이용하는 배출계수 및 활동 자료에 대한 개별적인 불확도를 검증한 후 이에 대한 조합 불확도를 산출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축분뇨에 의한 농경지 배출량 산정식에서는 밭의 배출계수를 그대로 적용하였으며, 가축 종별 배설물의 질소함량은 2006 IPCC 기본값을, 불확도는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50%로 가정하였다.
  • 3)과 같다. 가축분뇨의 농경지 시용에 따른 대기휘산량은 가축분뇨 전체사용량의 20%를 가정하며 불확도 범위는 (0.05~0.5)로 가정한다. 또한 퇴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기휘산은 국가고유배출계수인 40%를 적용하는데, 퇴비 내부 교반 여부에 따라 (0.
  • 37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IPCC에서 제시하는 기본배출계수는 2.0이고, 2012년 농촌진흥청 시험연구보고서에서는 2.03(정현철 등, 2012)을 제안하고 있어 기본배출계수에 대한 확률밀도함수는 하한이 2.0이고 상한이 2.37이며 최빈도가 2.03인 삼각분포를 가정하였다. 또한 벼 재배일수는 품종별 재배일수와 재배면적의 가중평균을 통해 산정한 138일을 채용하고 있는데 지역별로 이앙시기가 20~30일 가량 차이가 나는 점을 감안하여 확률밀도함수는 138일을 평균으로 하고 불확도가 ±15%인 정규분포로 가정하였다.
  • 또한 벼 재배일수는 품종별 재배일수와 재배면적의 가중평균을 통해 산정한 138일을 채용하고 있는데 지역별로 이앙시기가 20~30일 가량 차이가 나는 점을 감안하여 확률밀도함수는 138일을 평균으로 하고 불확도가 ±15%인 정규분포로 가정하였다.
  • 5)로 가정한다. 또한 퇴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기휘산은 국가고유배출계수인 40%를 적용하는데, 퇴비 내부 교반 여부에 따라 (0.3~0.6)의 변화가 관측됨에 따라 이 범위를 불확도 범위로 가정한다. 배출계수는 1996 IPCC 가이드라인에 따라 0.
  • 006)이므로 삼각분포로 가정하여 불확도에 대한 확률밀도함수로 이용하였다. 밭의 경우 GPG 2000의 기본배출계수인 0.0125 kg N2O - N/N kg을 인용하였는데 배출계수의 범위가 (0.0025 ~ 0.0225)이므로 범위값을 상한과 하한으로 하고 최빈값을 기본배출계수 값으로 하는 삼각분포를 가정하였다. 가축분뇨에 의한 농경지 배출량 산정식에서는 밭의 배출계수를 그대로 적용하였으며, 가축 종별 배설물의 질소함량은 2006 IPCC 기본값을, 불확도는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50%로 가정하였다.
  • 배출계수는 IPCC 기본배출계수를 이용하며 이에 대한 불확도는 IPCC의 추정 불확도인 ±20%의 정규분포로 가정하였다.
  • 배출계수에 대한 확률밀도함수 적용은 각각의 가축에 대한 IPCC 기본배출계수를 평균으로 하고 IPCC의 추정 불확도인 ±20%의 정규분포로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에 따른 불확도를 결정하기 위해 확률밀도함수를 불확도가 ±10%인 정규분포로 가정하였다.
  • 02)를 적용한다. 수계유출에 의한 N2O 간접배출량 산정에 있어서 활동자료는 IPCC 가이드라인에 따라 농경지에 시용된 전체 질소량의 30%가 수계유출을 통해 배출되는 것으로 가정하며, 이에 대한 불확도 범위는 (0.1~0.8)과 같다. 배출계수는 활동자료와 마찬가지로 IPCC 가이드라인을 인용하여 0.
  • 작물 잔사 환원에 의한 N2O 배출량 산정에서 각 작물별 건물율과 질소함량은 GPG 2000의 기본배출계수를 이용하는데, 이에 대한 불확도 평가를 위한 확률밀도함수는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불확도 ±50%의 정규분포로 가정하였다.
  • 5와 같다. 화학비료 시용량에 따른 (FAW)에 의한 N2O 직접 배출계수는 논의 경우 2006 IPC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0.003 kg N2O - N/N kg을 적용하는데 배출계수의 범위가 (0 ~ 0.006)이므로 삼각분포로 가정하여 불확도에 대한 확률밀도함수로 이용하였다. 밭의 경우 GPG 2000의 기본배출계수인 0.
  • 대기 침적에 의한 간접배출은 다시 화학비료, 가축분뇨의 농경지 시용, 그리고 퇴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기휘산량을 계산한다. 화학비료 시용에 따른 대기 휘산의 경우 IPCC 가이드라인에 따라 화학비료 전체사용량의 10%를 가정하며 이에 대한 불확도 범위는 (0.03~0.3)과 같다. 가축분뇨의 농경지 시용에 따른 대기휘산량은 가축분뇨 전체사용량의 20%를 가정하며 불확도 범위는 (0.
  • 작물 잔사 환원에 의한 N2O 배출량 산정에서 각 작물별 건물율과 질소함량은 GPG 2000의 기본배출계수를 이용하는데, 이에 대한 불확도 평가를 위한 확률밀도함수는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불확도 ±50%의 정규분포로 가정하였다. 활동 자료에 대한 불확도는 대부분의 자료가 농림수산식품통계연보를 활용하였기 때문에 통계자료의 목표오차인 3%를 적용하여 정규분포의 확률밀도함수를 가정하였다.
  • 활동자료는 벼의 경우 2010년 농림어업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목포오차인 3%를 적용하고, 맥류 및 밀의 경우 농어촌연구원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43.9%를 적용하는데 이에 대한 불확도 범위를 ±20%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PCC가 권고하는 인벤토리 작성 원칙은 무엇이 있는가? 불확도는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에서 산정된 배출량 및 흡수량에 대한 신뢰성을 통계적 방법을 통해 계량화한 것으로, 이러한 불확도의 평가는 미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있어서 정확도를 높이는 국가적 노력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지침이 될 수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을 위한 방법론의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IPCC 는 인벤토리 작성 시 투명성(Transparency), 정확성 (Accuracy), 일관 (Consistency), 비교가능성(Comparability), 완전성(Completeness) 원칙을 따르도록 권고하고 있는데, 불확도는 이 다섯 가지 원칙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도승희, 2009; 김현선 등, 2008).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는 어떻게 작성되는가? 우리나라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으로 온실가스의 배출현황 및 전망, 온실가스 억제정책을 포함하는 국가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온실가스 의무감축 대상국으로의 편입을 대비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온실가 배출량 통계를 구축해야 한다(김철한 등, 2008).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는 기후변화에 관련 정부간 패널(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이 권고하는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온실가스에 관한 국가목록을 작성하는 것으로, IPCC 가이드라인은 인간활동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원에 의한 배출과 저감원에 의한 저감의 국가 목록을 작성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공하고 있다. 아직 우리나라는 배출량 통계작성에 있어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어 국제적인 수준의 통계 작성 및 관리 체계의 선진화를 위한 개선 활동이 절실하다(김현성 등, 2008).
농업부문이 총 온실가스 변화 기여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고 보여지는 근거는? 그러나 농업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대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불확도 평가가 중요한 이유는 농업부문이 총 온실가스 변화 기여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1990년을 기준으로 2010년의 배출량 및 흡수량 변화량에 대해 배출량 상위 95%까지의 주요 배출원 분석을 보면 농업 부문의 벼 재배(상시담수 논)에 대한 변화기여도가 9위, 농경지 간접배출의 변화기여도가 29위로 농업부문이 다른 부분에 비해 온실가스 저감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농업부문 각각의 배출원에 적용된 방법론, 배출계수 및 활동자료의 적합성을 평가하여 온실가스 총 배출량의 불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배출통계체계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경미, 2011, 국가 온실가스 배출통계 활동자료 불확도 산정방안 연구: 개념 및 통계적 방법을 활용한 산정방법을 중심으로, 통계청. 

  2. 김철한, 김홍배, 차명수, 정기호, 김후곤, 2008, 국가 온실가스 통계목록 작성을 위한 IPCC 가이드라인에서의 불확실성 추정, 2008, 2008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3. 김현선, 김동식, 김호, 이승묵, 2008, 매립지 온실가스 배출량의 민감도 및 불확도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257-262. 

  4. 도승희, 2009, 제6차 아시아지역 온실가스 인벤토리 워크숍 국외출장 결과보고. 

  5. 박윤영, 김경미, 2010, 국가온실가스배출통계 불확도 산출 방법론 기초연구, 통계청. 

  6. 정현철, 서재순, 2012, 농경지 메탄 배출계수 개발 및 배출량 평가, Korean J. Soil Sci. Fert, 45(5), 842-847. 

  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2008, 도전 측정불확도 기초에서 중급까지, KRISS 불확도위원회. 

  8. 환경부, 2010, 목표관리지침 사업체 분야 불확도 산정방법. 

  9. 환경부.환경관리공단, 2010,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을 위한 2006 IPCC 가이드라인. 

  10. Andrea Ramirez, Corry Keizer, 2008, Monte Carlo analysis of uncertainties in the Netherlands greenhouse gas emission inventory for 1990-2004, Atmospheric Environment, 42, 8263-8272. 

  11. Astley Hastings, Martin Wattenbach, 2010, Uncertainty propagation in soil greenhouse gas emission models: An experiment using the DNDC model and at the Oensingen cropland site,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136, 97-110. 

  12. IPCC, 1997, Revised 199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13. IPCC, 2000, Good Practice Guidance and Uncertainty Management in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se. 

  14. IPCC, 2003, Good Practice Guidance for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15. IPCC,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16. Suvi Monni, Sanna Syri, 2004, Uncertainties in the Finnish greenhouse gas emission inventory, Environmental Science & Policy, 7, 87-98. 

  17. Wilfried Winiwarter, Kristin Rypdal, 2001, Assessing the uncertainty associated with national greenhouse gas emission inventories: a case study for Austria, Atmospheric Environment, 35, 5425-54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