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운대 해빈에서 특정 외력하의 표사이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port under External Force in Haeundae Beach 원문보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37 no.6, 2013년, pp.663 - 671  

김권수 ((주)세일종합기술공사) ,  유하상 ((주)세일종합기술공사) ,  박형수 ((주)세일종합기술공사) ,  김강민 ((주)세일종합기술공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운대 해수욕장은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모래 공급원의 감소와 고파랑 및 반사파 등의 영향으로 백사장의 폭이 매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사이동에 따른 해빈변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빈류의 특성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운대 해수욕장에 대한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계절별 대표파랑과 이상파에 대한 해빈류 및 표사이동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여름에는 평상파 및 S계열 파랑에 의해서 해빈류는 연안을 따라 동쪽으로 흘러 미포측에서 퇴적되는 양상을 보이고, 겨울에는 평상파 및 E 계열의 파랑에 의해 해빈류는 서향하여 동백섬 인근에서 퇴적양상을 보이고 있다. 50년빈도 고파랑 내습시 SSW 파랑은 해운대 중앙에서 이안류가 발생하고, ESE 파랑은 미포측에서 연안을 따라 서측으로 흐름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idth of Haeundae beach has been decreasing annually due to the loss of sand from land, high waves, reflected waves, etc.. The accurate prediction of wave-induced currents is indispensible to analyze the beach deformation due to the sediment transport. In the this study, Numerical experiment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Heaundae District, Busan(2008)의 계절별 파랑 및 조류관측, 해빈단면 및 수심측량, 해저질, 해저영상조사, 지층탐사 등의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관측자료를 기초로 표사이동기구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Heaundae District, Busan(2008)의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관측자료에 근거하여 표사이동를 수치모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빈류와 표사이동실험에서 관측결과와 비교·검증과정을 통하여 수치실험의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계절적 대표파랑과 이상파를 산정하여 수치실험에 반영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운대 해수욕장의 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그러나, 수영강의 회동댐 건설과 춘천의 복개, 유역의 도시화 등으로 모래 공급원이 감소하고, 직립호안에 의한 반사파 및 비사(blown sand)에 의해 모래가 유실되며, 파랑 및 해빈류(wave induced current)에 의해 표사(sediment drift)가 외해로 이송되어 해운대 해수욕장의 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운대 백사장의 평균 폭은 과거 1947년 58.
해운대 해수욕장의 길이는 얼마인가? 해운대 해수욕장은 1.6km 길이의 포켓형 해빈(pocket beach)으로, 도심 속에 위치한 천해의 절경을 가진 휴양지 중 하나이다. 수심이 얕고 조수의 변화가 심하지 않아 한해 여름동안 1,5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국내의 대표적 관광명소로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또한 매우 크다.
해운대 해수욕장의 사빈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해운대 해수욕장은 서측에 동백섬, 동측에 미포항이 위치하고 있다. 해수욕장 사빈은 연장 약 1.6km에 달하는 포켓비치를 이루고 있으며, 폭은 계절에 따라 유동적이나 약 30∼40m로 나타났다. 수집된 수심측량 자료에 의하면, 해운대 해수욕장의 서측(동백섬 전면)은 수심경사가 완만하나 해수욕장 중앙과 미포항 전면이 다소 복잡한 수심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attjes, J.A., Janssen, J.P.F.M.(1978), "Energy loss and set-up due to breaking of random waves", Proc. 16th Int. Conf. Coastal Engineering, ASCE, pp. 569-587. 

  2. Choi, B.J., Jung, S.H., Kim, J.B., Lee, J.S.(2004), "A Study on the Sediment Transport using Radioisotope Tracer",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ol. 16, No. 3 pp. 162-170. 

  3. Engelund, F., Fredsoe, J.(1976), "A Sediment Tranport Model for Straight Alluvial Channels", Nordic Hydrology, Vol. 7, pp. 293-306. 

  4. Fredsoe, J., Andersen, O.H., Silberg, S. (1985), "Distribution Of Suspended Sediment In Large Waves", Journal of Waterway, Port, Costal and Ocean Engineering, Vol. 111, No. 6. 

  5. Heaundae District, Busan(2008), Basic design of Heaundae Beach Costal Improvement Project, Numerical report. 

  6. Kim, H.J., Min, B.H., Ok, C.Y.(1986), "A study on the similarity of the beach deformation", Water engineering research, Vol. 28, pp. 187-194. 

  7. Kirby, J.T.(1986) "A general wave equation for waves over fipled beds", J. Fluid Mech., Vol. 162, pp.171-186. 

  8. KORDI(2005), Estimate Report of Deep Waters Wave in All Waters. 

  9. Lee, J.S., Tac, D.H., Yoon, E.C., Kim, S.Y.(2007), "Characteristics of Seasonal Sediment Transport in Haeundae Beach",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ol. 19, No. 6 pp. 547-556. 

  10. Lee, J.S., Tac, D.H, Woo, J.G(2007), "Characteristics of Seasonal Wave, Wave-Induced Current and Sediment Transport in Haeundae Beach",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ol. 19, No. 6 pp. 574-585. 

  11. MIKE 21 (2009) Coastal Hydraulics and Oceanography, Hydrodynamic Module, Scientific Documentation, DHI Software 

  12. Min, B.H, Ok, C.Y., Yu, S.H.(1987),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ach Nourshment Method of HAE UN DAE Beach", The Korean Society of Ocean Engineers, Vol. 1, No. 1, pp. 84-93. 

  13. Park, I.H., Lee, J.S.(1989), "Shoreline Change Model in Haeundae Beach",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ol. 1, pp. 50-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