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조차 연안해역의 계절적 잔차류 변화와 퇴적물 이동 예상
Seasonal Variation of Residual Flow and Prospect for Sediment Transport in the Macrotidal Coastal Area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32 no.1, 2020년, pp.39 - 47  

이종대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윤병일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김종욱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김명석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정재순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우승범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조차 조간대 지역의 유속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궁평 해변 조간대 및 인근 조하대에서 하계와 동계 정점 유속관측을 수행하였다. 조간대 잔차류의 분포는 하계 시에는 북향의 잔차류가 지배적이었고, 반면에 동계에는 북향과 남서향의 이분화된 잔차류 패턴이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동계의 잔차류 방향과 크기는 유의파고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고, 탁도 역시 유의파고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동계의 고파랑에 의한 저층 퇴적물의 부유가 많이 발생되고 남서향의 잔차류에 의해 퇴적물이 이동되어 해변 침식이 주로 발생한다. 하계는 파랑의 강도가 약하고 북향의 잔차류가 지배적이며, 저층 퇴적물의 부유가 상대적으로 낮게 발생하여 퇴적물 이동이 낮게 발생된다. 또한 인공 구조물에 의해 남쪽 방향으로의 퇴적물 이동이 인위적으로 차단되어 선착장 남측에서 침식이 더 강하게 발생할 것이다. 서해안 대조차 조간대에서의 침식 현상에 대한 주요 인자는 계절적인 파랑에 지배적으로 조절되며, 인공구조물에 의한 퇴적물 차단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current characteristics at the Gungpyung beach, which is a macrotidal flat, field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summer and winter at the intertidal and the subtidal zones. The distribution of residual current at intertidal flat was dominant in the northward direction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궁평 해변의 조간대와 조하대에서 하계와 동계에 유속 관측을 실시하여 계절별 유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인위적 구조물에 의해 차단된 대조차 연안 해변의 잔차류 특성을 제시하고 퇴적물 이동을 잔차류 관점에서 예상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9). 잔차류의 크기에 따라서 하계와 동계에 각각 북쪽과 외해쪽으로 향하는 퇴적물 이동이 예상된다. 유의파고와 퇴적물 부유를 살펴보면 궁평 해변의 하계 퇴적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파고로 인해 부유되는 양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고 이동이 많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nderson, F.E., Black, L., Watling, L.E., Mook, W. and Mayer, L.M. (1981). A temporal and spatial study of mudflat erosion and deposition.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51(3), 0729-0736. 

  2. Christie, M.C., Dyer, K.R. and Turner, P. (1999). Sediment flux and bed level measurements from a macro tidal mudflat.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49, 667-688. 

  3. Gillie, R.D. (1997). Causes of coastal erosion in Pacific Island nation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pecial Issue NO. 24, 173-204. 

  4. Ha, K.J., Heo, K.Y., Lee, S.S., Yun, K.S. and Jhun, J.G. (2012). Variability in the East Asian monsoon: a review. Meteorological Applications, DOI: 10.1002/met.1320. 

  5. Hwaseong-si (2015). Research project for Erosion-Sedimentation survey in the Gungpyeongri coastal beach, 227p (in Korean). 

  6. Janssen-Stelder, B. (2000). The effect of different hydrodynamic conditions on the morphodynamics of a tidal mudflat in the Dutch Wadden sea. Continental Shelf Research, 20, 1461-1478. 

  7. Le Hir, P., Roberts, W., Cazaillet, O., Christie, M., Bassoullet, P. and Bacher, C. (2000). Characterization of intertidal flat hydrodynamics. Continental Shelf Research, 20, 1433-1459. 

  8. Lee, H.J., Jo, H.Y., Chu, Y.S. and Bakh, K.S. (2004). Sediment transport on macrotidal flats in Garolim Bay, west coast of Korea significance of wind waves and asymmetry of tidal currents. Continental Shelf Research, 24, 821-832. 

  9. Pritchard, D. and Hogg, A.J. (2003). Cross shore sediment transport and the equilibrium morphology of mudflats under tidal curren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8(C10), 3313, doi:10.1029/2002JC001570. 

  10. Seol, D.I. (2013). Variation of Monsoon in western Korea.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19-20 (in Korean). 

  11. Shi, B., Cooper, J.R., Li, J., Yang, Y., Yang, S.L., Luo, F., Yu, Z. and Wang, Y.P. (2019). Hydrodynamics, erosion and accretion of intertidal mudflats in extremely shallow waters. Journal of Hydrology, 573, 31-39. 

  12. Silva, F.G., Oliveira Sousa, P.H.G. and Siegle, E. (2016). Longshore transport gradients and erosion processes along the Ilha Comprida (Brazil) beach system. Ocean Dynamics, 66:853-8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