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which delirium screening instrument would be more useful in clinical practi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18 nurses from six hospitals in five provinces in Korea. For the delirium screening three instruments were compared: NEECHAM Confusion S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섬망을 선별하는데 사용되는 니쳄혼동척도, 간호섬망선별척도, 섬망관찰척도에 대해 도구의 신뢰도, 타당도를 확인하고, 도구 적용에 대한 용이성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도구 사용에 대한 용이성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측정시간에서는 간호섬망선별척도와 섬망관찰척도가 니쳄혼동척도 보다 짧은 시간에 사정이 가능하였던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적으로 섬망관찰척도가 간호섬망선별척도나 니쳄혼동척도보다 임상에서 간호사들이 사용하기에 더 용이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병원에 입원한 노인의 섬망을 조기발견하기 위한사정도구를 사용하고자 할 때 적절하면서도 수월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파악하여 이를 간호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보제공을 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섬망 선별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고, 간호사가 사용하기에 편리한 섬망 사정도구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에서 간호사들이 섬망 사정을 할 때 사용이 편하고 보다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여 임상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섬망을 사정하기 위해 간호 분야에서 선별검사를 위해 흔히 사용되는 도구를 중심으로 용이성 정도를 파악하기 앞서 각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적절한지에 대해 먼저 파악을 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간호사들이 섬망 조기발견을 위해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확인하고자 소요시간을 비롯 하여 도구 적용의 용이성을 조사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연구의 제한점이 있다.
  • 따라서 간호사들의 섬망 도구 사용에 따른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적용이 간편하면서도 섬망을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는 도구가 무엇인지에 대해 파악할 필요가 있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들이 섬망 선별검사를 위해 적용이 추천되고 있는 니쳄혼동척도, 간호섬망선별척도와 섬망관찰척도에 대해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조사와 더불어 임상에서의 사용 용이성 정도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혼동사정도구를 사용하기 위해서 반드시 교육을 받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섬망을 사정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도구는 환자의 각성 상태, 인지기능장애, 진단 목적 등을 토대로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Grover & Kate, 2012). 특히, 임상에서 혼동사정도구(Confusion Assessment Method, CAM)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 도구는 선별의 목적 보다는 진단 목적을 위해 사용 되는 도구로 일반병동과 중환자실에 적용되는 도구가 각각 틀려 구분해서 사용해야 하는 점과 도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가로부터 일정기간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Grover & Kate, 2012; Inouye, 2003). 간호 분야에서의 섬망 사정은 진단목적 보다는 조기발견을 위한 목적이 크므로 선별검사에서 활용되는 도구를 중심으로 유용한 도구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간호 분야에서 혼동사정도구의 사용은 어떤 목적이 크게 작용하는가? 특히, 임상에서 혼동사정도구(Confusion Assessment Method, CAM)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 도구는 선별의 목적 보다는 진단 목적을 위해 사용 되는 도구로 일반병동과 중환자실에 적용되는 도구가 각각 틀려 구분해서 사용해야 하는 점과 도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가로부터 일정기간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Grover & Kate, 2012; Inouye, 2003). 간호 분야에서의 섬망 사정은 진단목적 보다는 조기발견을 위한 목적이 크므로 선별검사에서 활용되는 도구를 중심으로 유용한 도구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선별검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는 니쳄혼동척도(Neecham Confusion Scale, NEECHAM), 간호섬망 선별척도(Nursing Delirium Screening Scale, Nu-DESC), 섬망관찰척도(Delirium Observation Scale, DOS), 그리고 소아를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소아 마취응급섬망척도 (Pediatric Anesthesia Emergence Delirium scale)가 있다 (Grover & Kate, 2012).
섬망의 특징은 무엇인가? 그리고 중환자실에 입원한 노인이나 수술을 받은 노인 환자의 경우에는 20~48%의 높은 섬망 발생률을 보고하고 있다(Duppils, 2011; Trzepacz, Meagher, & Wise, 2002). 이러한 섬망은 뇌조직의 퇴행성 변화에 의한 인지장애로 발생되는 치매와는 구별되며, 일시적이고 가역적이어서 적절한 중재가 적용될 경우 예방을 할수 있거나 정상상태로의 복귀가 가능하다(Foreman & Zane, 1996; Han, 2004). 간호사는 24시간 환자를 곁에서 직접 관찰하고 돌보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섬망을 조기 선별해 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damis, D., Sharma, N., Whelan, P. J. P., & Macdonald, A. J. D. (2010). Delirium scales: A review of current evidence. Aging & Mental Health, 14, 543-555. http://dx.doi.org/10.1080/13607860903421011 

  2. Champagne, M. T., Neelon, V. J., McConnel, E. S., & Funk, S. (1987). The NEECHAM Confusion Scale: Assessing acute confusion in hospitalized and nursing home elderly. The Gerontologist, 27, Supplement, 4A 

  3. Duppils, G. S. (2011). Predictive value and validation of the NEECHAM confusion scale using DSM-IV criteria for delirium as gold standard. International Journal of Older People Nursing, 6 (2), 133-142. http://dx.doi.org/10.1111/j.1748-3743.2010.00232.x 

  4.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y Research, 12, 189-198. http://dx.doi.org/10.1016/0022-3956(75) 90026-6 

  5. Foreman, M. D., & Zane, D. (1996). Nursing strategies for acute confusion in elders. American Journal of Nursing, 96 (4), 44-52. 

  6. Gaudreau, J. D., Gagnon, P., Harel, F., Tremblay, A., & Roy, M. A. (2005). Fast, systematic, and continuous delirium assessment in hospitalized patients: The nursing delirium screening scale.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9 (4), 368-375.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04.07.009 

  7. Gemert van, L., & Schuurmans, M. J. (2007). The Neecham confusion scale and the delirium observation screening scale: Capacity to discriminate and ease of use in clinical practice. BMC Nursing, 6 (3), 1-6. http://dx.doi.org/10.1186/1472-6955-6-3 

  8. Grover, S., & Kate, N. (2012). Assessment scales for delirium: A review. World Journal of Psychiatry, 2 (4), 58-70. http://dx.doi.org/10.5498/wjp.v2.i4.58 

  9. Han, M. I. (2004). Clinical approach to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8, 96-101. 

  10. Inouye, S. K. (2003).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CAM): Training manual and coding guide. New Haven: Yal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1. Inouye, S. K., Foreman, M. D., Mion, L. C., Katz, K. H., & Cooney, L. M. Jr. (2001). Nurses' recognition of delirium and its symptoms: comparison of nurse and researcher rating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1, 2467-3473. http://dx.doi.org/doi:10.1001/archinte.161.20.2467 

  12. Kim, E. J., & Park, Y. K. (2000). SPSS statistical analysis 8. Seoul: 21Saegi Co. 

  13. Kim, K. N., Kim, C. H., Kim, K. I., Yoo, H. J., Park, S. Y., & Park, Y. H.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nursing delirium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 414-423. http://dx.doi.org/10.4040/jkan.2012. 42.3.414 

  14. Kwon, Y. C., & Park, J. H. (1989).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Part I: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 125-135. 

  15. Lee, E. H., Jung, Y. H., Kim, J. S., Song, R. Y., & Hwang, K. Y. (2002). Statistical methods for health care research. Seoul: Kunja Publishing. 

  16. Lee, Y. W., Kim, C. G., Kong, E. S., Kim, K. B., Kim, N. C., Kim, H. K., et al. (2007) A study of nurses' knowledge level and assessment experience of deliri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 35-44. 

  17. Matarese, M., Generoso, S., Ivziku, D., Pedone, C., & Marinis, M. G. (2012). Delirium in older patients: A diagnostic study of Neecham confusion scale in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Nov. 22 on-line published, 1-9.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2.04300.x 

  18. McCarthy, M. (2003). Detecting acute confusion in older adults: Comparing clinical reasoning of nurses working in acute, long-term, and community health care environment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6, 203-212. http://dx.doi.org/10.1002/nur.10081 

  19. Neelon, V. J., Champagne, M. T., Carlson, J. R., & Funk, S. G. (1996). The NEECHAM Confusion Scale: Construction, validation, and clinical testing. Nursing Research, 45, 324-330. 

  20. Park, J. H., & Kwo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 II.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 508-513. 

  21. Polit, D., Beck, C., & Hungler, B. (2001). Essential of nursing research: methods, appraisal and utilization. Philadelphia: Lippincott. 

  22. Rapp, C. G., Wakerfield, B., Kundarat, M., Mentes, J. C., Tripp-Reimer, T., Culp, K., et al. (2000). Acute confusion assessment instruments: clinical versus research utility. Applied Nursing Research, 13, 37-45. http://dx.doi.org/10.1016/S0897-1897(00)80017-8 

  23. Rompaey, B, V., Schuurmans, M. J., Shortridge-Baggett, L. M., Truijen, S., Elseviers, M., & Bossaert, L. (2008). A comparison of the CAM-ICU and the NEECHAM confusion scale in intensive care delirium assessement: An observational study in non-intubated patients. Critical Care, 12, 1-7. http://dx.doi.org/10.1186/cc6790 

  24. Shuurmans, M. J., Donders, R. T., Shortridge-Baggett, L. M., & Duursma, S. A. (2002). Delirium case finding: Pilot testing of a new screening scale for nurse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50 (4), S3. 

  25. Shuurmans, M. J., Shortridge-Baggett, L. M., & Duursma, S. A. (2003). The Delirium Observation Screening Scale: A screening instrument for delirium. Research and Theory for Nursing Practice, 17 (1), 31-50. 

  26. Trzepacz, P. T., Meagher, D. J., & Wise, M. G. (2002). Neuropsychiatric aspects of delirium. In S. C. Yudofsky & R. E. Hales (ed.), Textbook of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pp. 534-564).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27. Wakerfield, B., J. (2002). Risk for acute confusion on hospital admission. Clinical Nursing Research, 11, 153-172. http://dx.doi.org/10.1177/10547738020110205 

  28. Yu, M. Y., Park, J. W., Hyun, M. S., & Lee, Y. J. (2008). Factors related to delirium occurrence among the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 151-1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