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성인식에 따른 가상 캐릭터의 미소 표정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f expression in virtual character of facial smile by emotion recognition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33, 2013년, pp.383 - 402  

이동엽 (중부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감성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얼굴 표정에 대한 해부학적 접근방식으로 근육 체계에 의해서 부호화하는 얼굴 움직임 부호화 시스템(FACS, Facial Action Coding System)을 얼굴표정에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듀센스마일(Duchenne smile)을 가상 캐릭터에 적용하여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인간의 표정을 인식하는 방식이 동일하게 가상의 캐릭터에도 적용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캐릭터에 보다 사실적인 표정을 담을 수 있는 연구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험을 위해 훈련된 연극전공 학생들에게 정서 유발 실험을 통해 듀센 스마일과 일반 스마일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표정을 바탕으로 얼굴 근육 데이터를 표집하여 입과 입술주변의 근육과 다른 부위의 얼굴 표정 빈도를 산출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가상 캐릭터에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미소 표정에서 근육의 움직임은 협골 대근육의 수축으로 인한 입술 끝이 상향운동을 하며 안륜근이 수축하며 뺨이 올라가고 눈의 아래쪽 외측 눈꺼풀이 올라가는 표정이 나타났다. 개방성과 관련된 입주변 근육(AU25, AU26, AU27)과 코주위 근육(AU9)이 함께 협골근과 광대근 주변 근육의 움직임이 표현되었다. 그중 듀센 미소는 협골 대근육과 안륜근이 동시에 움직이는 형태로 발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인의 의지에 의해 수행 가능한 광대근육과 감성적 정서에 공감하여 웃음의 형태로 나타나는 안륜근을 구분하고 이를 가상의 캐릭터의 근육에 적용하여 인간의 표정과 가상의 캐릭터 표정이 서로 구분 가능한지를 설문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pply the facial Facial Action Coding System for coding the muscular system anatomical approach facial expressions to be displayed in response to a change in sensitivity. To verify by applying the virtual character the Duchenne smile to the original. I extracted the Duchenne smi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이와 같이 다양한 형식의 미소가 있으나 현재 캐릭터에 표현되는 미소는 겉으로 보여지는 외형적인 미소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윈이 주장한 보편적 정서 아래에서 긍정적인 정서를 표현하는 미소와 불쾌한 상태에서도 의도적으로 표현되는 미소의 특징을 찾아낸 듀센의 연구를 바탕으로 가상의 캐릭터에 미소를 대입하여 외형적 특징과 함께 내면적 요소를 표현하는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 그 중 얼굴표정을 통해 시각적 방법으로 감성을 파악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얼굴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부호화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는 연기를 전문으로 하는 학생의 감성 표정 중 긍정적 미소와 부정적 미소의 표정을 추출하여 분석하고 이를 가상 캐릭터에 적용하여 보다 정교한 표현을 찾고 이를 설문조사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선행 연구로 얼굴 감정인식 방법의 대표적인 방식인 얼굴 움직임 부호화 시스템과 표정을 만드는 얼굴의 주요 근육에 대하여 알아본다.
  • 본 연구는 인간 표정에 나타나는 감성기호들을 범주화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듀센에 의해 분류된 미소를 가상의 캐릭터와 연계하여 증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인간이 얻는 미소의 표현을 가상의 캐릭터에 동일하게 적용될 경우 미묘한 근육의 움직임을 인간과 가상의 캐릭터에서 동일하게 파악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정서 유발 조건과 부정적 정서 유발 조건하에서 미소 연기를 추출하여 이를 구분하는 실험을 설계하였다. 피실험자는 표정연기 능력을 검증받은 평균연령 24세의 연기전공자(남: 4명, 여:4명)를 섭외하였다.
  • 본 연구는 연기를 전문으로 하는 학생의 감성 표정 중 긍정적 미소와 부정적 미소의 표정을 추출하여 분석하고 이를 가상 캐릭터에 적용하여 보다 정교한 표현을 찾고 이를 설문조사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선행 연구로 얼굴 감정인식 방법의 대표적인 방식인 얼굴 움직임 부호화 시스템과 표정을 만드는 얼굴의 주요 근육에 대하여 알아본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긍정적과 부정적 정서유발 후의 연기자의 미소를 촬영하여 표정의 3D 대응점을 생성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상캐릭터를 제작하여 설문을 통해 검증 하고자 한다.
  • 실험 후 수집된 자료는 미소 행동의 출현 빈도와 표준 편차를 산출하고, 미소 행동이 출현했을 때 자주 출현되는 미소 얼굴 움직임을 모두 관찰하여 자주 관찰된 얼굴 행위의 출현 빈도의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실험의 주목적은 듀센 미소 유형으로 분류된 미소 행동과 듀센 미소가 아닌 기타 미소 유형으로 분류된 미소 행동들에 대해서 각 지속 시간의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는 것이었다.

가설 설정

  • 그러나 사실적인 얼굴 표정의 표현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인간과의 유사도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호감도는 상승하지만, 인간과의 차이를 느끼지 못할 정도의 수준에 이르기 직전에 극복해야 할 언캐니밸리(uncanny valley)가 존재한다는 것이다.14) 가상의 캐릭터로 표현된 표정이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극 사실적 캐릭터로 발전한다면 부정적인 감성적 반응인 나타날 수 있다. 그러하기에 추후 연구될 캐릭터의 외형적 표정 표현 요소는 가상캐릭터가 캐릭터로서의 특성을 갖추어 상호 교감할 수 있는 요소가 가미됨과 동시에 캐릭터의 내면적 요인과 외면적 요인의 관계성을 동일시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얼굴 움직임 부호화 시스템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감성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얼굴 표정에 대한 해부학적 접근방식으로 근육 체계에 의해서 부호화하는 얼굴 움직임 부호화 시스템(FACS, Facial Action Coding System)을 얼굴표정에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듀센스마일(Duchenne smile)을 가상 캐릭터에 적용하여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인간의 표정을 인식하는 방식이 동일하게 가상의 캐릭터에도 적용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캐릭터에 보다 사실적인 표정을 담을 수 있는 연구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미소란? 얼굴의 표정 중 가장 복합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요소는 미소라 할 수 있다. 미소는 기쁨이나 즐거움과 같은 내적 경험을 표현할 때 가장 쉽게 인식되는 보편적 얼굴 표정이지만 미소가 표현하는 의미와 관련해서 혼동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얼굴 표정 중의 하나이다.4) 기본적으로 미소는 즐거움, 행복감, 환희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긍정 정서 중의 하나로, 단기간 얼굴 표정에 나타나는 강한 정서이며 행복감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훈련된 연극전공 학생들에게 정서 유발 실험을 통해 듀센 스마일과 일반 스마일을 추출 후 추출된 표정을 바탕으로 가상 캐릭터에 적용해본 결과는? 추출된 표정을 바탕으로 얼굴 근육 데이터를 표집하여 입과 입술주변의 근육과 다른 부위의 얼굴 표정 빈도를 산출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가상 캐릭터에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미소 표정에서 근육의 움직임은 협골 대근육의 수축으로 인한 입술 끝이 상향운동을 하며 안륜근이 수축하며 뺨이 올라가고 눈의 아래쪽 외측 눈꺼풀이 올라가는 표정이 나타났다. 개방성과 관련된 입주변 근육(AU25, AU26, AU27)과 코주위 근육(AU9)이 함께 협골근과 광대근 주변 근육의 움직임이 표현되었다. 그중 듀센 미소는 협골 대근육과 안륜근이 동시에 움직이는 형태로 발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인의 의지에 의해 수행 가능한 광대근육과 감성적 정서에 공감하여 웃음의 형태로 나타나는 안륜근을 구분하고 이를 가상의 캐릭터의 근육에 적용하여 인간의 표정과 가상의 캐릭터 표정이 서로 구분 가능한지를 설문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진중권, 진중권의 이매진, 씨네21북스, 2008. 

  2. 함선혜, "영상 콘텐츠의 형식적 리얼리즘과 유인가가 수용자의 미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 언론 학보(53권 6호), 2009. 

  3. Darwin, C., The expression of the emotions in man and animal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5. 

  4. Duchenne de Boulogne, G. B. The Mechanism of human facial express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원서: 1862년 출판) 

  5. Ekman, P., & Friesen, W., The Facial action coding system,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78. 

  6. Ekman, P., & Friesen, W., Felt, False, and miserable smiles,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1982. 

  7. Ekman, P., & Friesen, W. V., & Ancoli, S. Facial signs of emotional experi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0. 

  8. Ekman, P., & Friesen, W., Facial Action Coding System,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INC, 1978. 

  9. Ekman P., W. V. Friesen & Tomkins. S., Facial Affect Scoring Technique, A First Validity Study Semiotica, 3(1):1971. 

  10. LaBarre, W., The cultural basis of emotions and gestures, Journal of Personality, 1947. 

  11. Oster, H., Facial expression and affect development, In M. Lewis & L. A. Rosenblum(Eds.), The development of affect. NY: Plenum Press, 1978. 

  12. Hess, U., & Kleek, R., Differentiating emotion elicited and deliberate emotional facial expressions, In P. Ekman & E. L. Rosenberg(Eds.), What the face reveal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3. Fogel, A., Affective dynamics in early infancy: Affective tolerance. In T. Field and A. Fogel (Eds.), Emotion and early interaction, 1982. 

  14. Ekman. P., & Davidson, R. J. Davidson, Voluntary smiling changes regional brain activity, Psychological Science4(5),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