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버드나무류 (Salix spp.)의 계절학적 특성과 주요 기상요인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henology of Salix spp. and Meteorological Factors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2 no.12, 2013년, pp.1633 - 1641  

김성보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지윤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임란영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도윤호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박희순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주기재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구연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ph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lix spp.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the Upo wetlands. Phenology of Salix subfragilis Andersson and Salix chaenomeloides Kimura was monitored from 2007 to 2012. Meteorological variables were monitor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는 주기적인 범람을 경험하는 습지에 분포하는 대표적인 하천수변 (riparian) 연목림으로 유수역 (lotic zone)을 특징짓는 수목이자 습지와 육상의 전이대에 분포하는 선구식물 (pioneer plant)로 (Kim 등, 2009; Han 등, 2010; Kuzovkina와 Quigley, 2005) 우리나라 습지 주변부 및 하천변에 넓게 분포하여 습지에서의 계절학 모니터링에 적합한 종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습지생태계의 (1) 수변부 우점종인 선버들 (Salix subfragilis Andersson)과 왕버들 (Salix chaenomeloides Kimura)의 계절학 특성을 파악하고, (2) 기상요소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주요 기후요소 변화로 인한 식물계절현상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습지에 분포하는 선버들과 왕버들의 계절학적 변화시기와 온도를 비롯한 기상요소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버드나무류는 변동하는 기상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생물학적 생장시기를 조절하고 있었으며, 이는 연간 변동을 보임으로써 기후변화로 인한 습지생태계의 반응을 직·간접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계절학은 어디에 적용하고 있는가? 생물계절학 (Phenology)은 생물이 서식 환경에 반응하여 나타나는 생활사의 반복되는 현상으로 계절의 변화는 그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의 분포와 생육 특성 등에 영향을 미친다 (Badeck 등, 2004). 생물계절학은 생물발달현상과 기후요소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기후변화를 인지하고, 환경 변화에 대한 대상종의 반응을 관찰하며 평가하는데 적용 되고 있다 (Sparks 등, 2000). 스페인과 영국의 경우 16세기부터 장기적인 모니터링 방법으로 생물계절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최근에는 장기 연구 자료를 기후변화와 연계하여 취약성 평가 및 적응대책수립에 이용하고 있다 (Sparks 등, 2000; Gordo와 Sanz, 2009; Mawdsley 등, 2009; Heller와 Zavaleta, 2009).
생물계절학은 스페인과 영국에서는 어떻게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가? 생물계절학은 생물발달현상과 기후요소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기후변화를 인지하고, 환경 변화에 대한 대상종의 반응을 관찰하며 평가하는데 적용 되고 있다 (Sparks 등, 2000). 스페인과 영국의 경우 16세기부터 장기적인 모니터링 방법으로 생물계절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최근에는 장기 연구 자료를 기후변화와 연계하여 취약성 평가 및 적응대책수립에 이용하고 있다 (Sparks 등, 2000; Gordo와 Sanz, 2009; Mawdsley 등, 2009; Heller와 Zavaleta, 2009). 우리나라의 경우 기후변화 취약식물종을 분류하고 아고산지대를 비롯한 산림생태계에서 식물계절변화를 연구하고 있다 (Kim 등, 2011; Korea Forest Service, 2011).
Phenology는 우리나라에서 무엇이 연구 되고 있는가 스페인과 영국의 경우 16세기부터 장기적인 모니터링 방법으로 생물계절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최근에는 장기 연구 자료를 기후변화와 연계하여 취약성 평가 및 적응대책수립에 이용하고 있다 (Sparks 등, 2000; Gordo와 Sanz, 2009; Mawdsley 등, 2009; Heller와 Zavaleta, 2009). 우리나라의 경우 기후변화 취약식물종을 분류하고 아고산지대를 비롯한 산림생태계에서 식물계절변화를 연구하고 있다 (Kim 등, 2011; Korea Forest Service,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deck, Franz‐W., Bondeau, Alberte, Böttcher, Kristin, Doktor, Daniel, Lucht, Wolfgang, Schaber, Jörg, Sitch, Stephen. Responses of spring phenology to climate change. The New phytologist, vol.162, no.2, 295-309.

  2. J. Enviro. Sci. 18 369 2009 

  3.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0 346 2007 

  4. Doi, Hideyuki, Katano, Izumi. Phenological timings of leaf budburst with climate change in Japan.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148, no.3, 512-516.

  5. Erwin, Kevin L.. Wetlands and global climate change: the role of wetland restoration in a changing world. Wetlands ecology and management, vol.17, no.1, 71-84.

  6. Fitter, A. H., Fitter, R. S. R., Harris, I. T. B., Williamson, M. H.. Relationships Between First Flowering Date and Temperature in the Flora of a Locality in Central England. Functional ecology, vol.9, no.1, 55-.

  7. GORDO, OSCAR, SANZ, JUAN JOSÉ. Long-term temporal changes of plant phenology in the Western Mediterranean. Global change biology, vol.15, no.8, 1930-1948.

  8. J.Wetlands Res. 12 15 2010 

  9. Heller, N.E., Zavaleta, E.S.. Biodiversity management in the face of climate change: A review of 22 years of recommendations. Biological conservation, vol.142, no.1, 14-32.

  10. 김혁진, 홍정기, 김상철, 오승환, 김주환. 한반도 아고산지대내 기후변화 취약식물종의 식물계절성 변화 연구 - 덕유산 정상 지역을 중심으로 -.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ol.24, no.5, 549-556.

  11. Kim, Ji-Yoon, Joo, Gea-Jae, Do, Yu-No, Kim, Gu-Yeon, Yang, Byeong-Gug, Kim, Myung-Jin, Lee, Chang-Seok. Korea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provision against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Review).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vol.34, no.1, 3-10.

  12. Kozlov, Mikhail V., Berlina, Natalia G.. Decline in Length of the Summer Season on the Kola Peninsula, Russia. Climatic change, vol.54, no.4, 387-398.

  13. Kuzovkina, Yulia A., Quigley, Martin F.. Willows Beyond Wetlands: Uses of Salix L. Species for Environmental Project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vol.162, no.1, 183-204.

  14.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4 289 2001 

  15. MAWDSLEY, JONATHAN R., O’MALLEY, ROBIN, OJIMA, DENNIS S.. A Review of Climate-Change Adaptation Strategies for Wildlife Management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Conservation biology : the journal of the Society for Conservation Biology, vol.23, no.5, 1080-1089.

  16. Menzel, Annette. Phenology: Its Importance to the Global Change Community. Climatic change, vol.54, no.4, 379-385.

  17. Jap. J.Ecol. 37 163 1987 

  18. Niiyama, Kaoru. The role of seed dispersal and seedling traits in colonization and coexistence of Salix species in a seasonally flooded habitat. Ecological research, vol.5, no.3, 317-331.

  19. Post, Eric S., Pedersen, Christian, Wilmers, Christopher C., Forchhammer, Mads C.. PHENOLOGICAL SEQUENCES REVEAL AGGREGATE LIFE HISTORY RESPONSE TO CLIMATIC WARMING. Ecology, vol.89, no.2, 363-370.

  20. Saska, Margaret M., Kuzovkina, Yulia A.. Phenological stages of willow (Salix). Annals of applied biology, vol.156, no.3, 431-437.

  21. New Phytol. 149 369 2001 10.1046/j.1469-8137.2001.00057.x 

  22. Seiwa, Kenji, Tozawa, Munetaka, Ueno, Naoto, Kimura, Megumi, Yamasaki, Miki, Maruyama, Kaoru. Roles of cottony hairs in directed seed dispersal in riparian willows. Plant ecology, vol.198, no.1, 27-35.

  23. Sparks, T. H., Jeffree, E. P., Jeffree, C. E..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ering times and temperature at the national scale using long-term phenological records from the UK.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vol.44, no.2, 82-87.

  24. Winter, Thomas C.. THE VULNERABILITY OF WETLANDS TO CLIMATE CHANGE: A HYDROLOGIC LANDSCAPE PERSPECTIVE1.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36, no.2, 305-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