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복원을 위한 버드나무속 식물의 내침수성 실험 연구
Study on Flooding Tolerance of Salix Speci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River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6 no.4, 2014년, pp.327 - 333  

김은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 ,  강준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 ,  여홍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 ,  김종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천 생태 기능 증대 등 하천복원을 위한 식생 조성 시 내침수성이 강한 식물을 도입해야 하며 이를 위해 침수기간에 따른 하천식물의 생육특성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버드나무속 식물을 대상으로 식물키, 엽수, 녹색정도, 건중량 등을 측정하여 내침수성 및 침수기간에 따른 성장률을 분석하였으며 탁수에 의한 침수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갯버들, 버드나무, 왕버들 중 내침수성이 가장 강한 식물은 버드나무이며 정수 상태의 침수는 고탁수 침수보다 고사 가능성이 매우 낮았다. 또한 버드나무속 식물은 20일 이하의 침수 시 비침수 조건보다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egetation composition for river restoration requires the introduction of plants which have strong flooding tolerance. A study of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river plants according to the period of flooding is essential. Accordingly, this study measured shoots, leaf number, leaf greenness, dr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대표 하천식물인 버드나무 속(Salix) 식물 3종류를 대상으로 침수 실험을 실시하여 각 식물의 내 침수성 및 침수기간에 따른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실험은 비침수 상태(control group)와 정수(fresh water)에 의해 장기간 완전 침수된 상태(waterlogging group)의 하천식물성장률을 비교하여 낙동강 수변구역 및 댐호, 호소, 하천사면 등에 적용 가능한 식물을 선정하였으며 향후 하천 복원 및 하안사면 식 생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 버드나무 속 식물에 대한 장기 침수 조건을 재현하고 내 침수성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식물 침수용 실험 수조를 제작하였다. 수조의 크기는 실험 개체를 고려하여 1 m×1 m×1 m로 제작하였으며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수밸브도 같이 제작하였다.
  • 하천식물인 버드나무 속 식물의 내침수 성 분석은 하천 복원을 위한 하안식 생 선정 시 반드시 필요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드나무 속 식물인 갯버들, 왕버들, 버드나무의 내 침수성을 비교하여 하천 복원을 위한 수목 조성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실험 및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대표 하천식물인 버드나무 속(Salix) 식물 3종류를 대상으로 침수 실험을 실시하여 각 식물의 내 침수성 및 침수기간에 따른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실험은 비침수 상태(control group)와 정수(fresh water)에 의해 장기간 완전 침수된 상태(waterlogging group)의 하천식물성장률을 비교하여 낙동강 수변구역 및 댐호, 호소, 하천사면 등에 적용 가능한 식물을 선정하였으며 향후 하천 복원 및 하안사면 식 생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변화는 식생 생존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 기후변화는 댐호, 호소, 하천 사면 등에 침수 및 건조의 반복을 가져오고 이로 인한 침식은 식생 생존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수변공간에 대한 선호도가 급증하고 있어서 수자원 확보 뿐만 아니라 관광자원으로도 식생 생존은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하천복원을 위한 식생대를 조성하기 위해서 식물 고유의 침수정도를 검토하고 하안 사면을 안정화시키며 내침수성이 강한 식물을 도입해야하는 이유는? , 2012). 최근 하천의 수질개선 및 생태적 복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하천식생과 생물 서식 등의 복합적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노출된 사면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붕괴 및 탁수유발 등을 발생시키며 수위상승으로 인한 하안 내 하천식물의 침수는 식물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Kang et al., 2007; Liao and Lin, 1994).
낙동강에 많이 서식하고 있는 버드나무속 식물은? 실험대상 식물은 낙동강에 많이 서식하고 있는 버드나무속 식물로 갯버들(Salix gracilistyla), 버드나무(Salix koreensis), 왕버들(Salix glandulosa)을 대상으로 하였다. 버드나무속 식물은 일반적으로 하천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 낙동강 하천의 가장 대표적인 수목으로 하안식생의 천이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별다른 교란이 없을 경우 우점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derson, PH and Pezeshki, SR (1999). The effect of intermittent flooding on seedling of three forest species, J. of Photosynthetica, 37, pp. 543-522. 

  2. Domingo, R, Perez-Paster, A and Ruiz-Sanchez, MC (2002). Physiological responses of apricot plant grafted on two different rootstocks to flooding conditions, J. of Plant Physiological ecology, 159, pp. 725-732. 

  3. Han, YS, Kim, HR, Han, SJ, Jeon, JK, Lee, SH, Jang, RH, Cho, KT, Kang, TK and You, YH (2013). Studies on ${\beta}$ -diversity for high plant community turnover in flood plain restoration, J. of Wetlands Research, 15(4), pp. 501-508. [Korean Literature] 

  4. Heo, EB (2010). Studies on the woody vegetation in the edge of natural river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 Korea, Master's Thesis, Kongju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5. Kang, SB, Jang, HI, Lee, IB, Park, JM and Moon, DK (2007). Change in photosynthesis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of 'Campbell Early' and 'Kyoho' grapevine under long-term waterlogging Condition, J.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5(4), pp. 400-407. [Korean Literature] 

  6. Kercher, SM and Zedler, JB (2004). Flood tolerance in wetland angiosperms: a comparison of invasive and non-invasive species, J. of Aquatic Botany, 80, pp. 89-102. 

  7. Kim, MH, Shin, JC and Lee, BW (2005). Applicability of vegetation index and SPAD reading to nondestructive diagnosis of rice growth and nitrogen nutrition status, J. of Crop Science, 50(6), pp. 369-377. [Korean Literature] 

  8. Kim, JT, Kim, EJ, Kang, JG and Yeo, HK (2013a). Impact of turbidity on protected plants along river levees, J. of Engineering Geology, 23(2), pp. 161-170. [Korean Literature] 

  9. Kim, JT, Kim, EJ, Kang, JG and Yeo, HK (2013b). Variation on the growth rate of plants by submersion of high turbidity -A case study on Salix species-, J.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9), pp. 959-969. [Korean Literature] 

  10. Kim, TG, Chae, SK, Chun, SH and Jeong, JC (2012). A study of pull-out strength increasement by root of grasses, J. of Wetlands Research, 14(2), pp. 199-210. [Korean Literature] 

  11. Kim, WS, Kwak, JI, Lee, KJ and Han, BH (2011).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according to revetment techniques of riverbank in Han river, Korea, J. of Environment & Ecology, 25(1), pp. 17-30. [Korean Literature] 

  12. Lee, SD, Kang, HK and Jang, HS (2010). Monitoring of vegetation changes after constructing the vegetation-mat measures for greening in embankment-A case study of tancheon, J. Environment & Ecology, 24(3), pp. 302-317. [Korean Literature] 

  13. Liao, CT and Lin, CH (1994). Effect of flooding stress on photosynthetic activities of Momordica charantia. Plant Physiological Biochemistry, 32, pp. 1-5. 

  14. Park, JM (2002). Comparing of flooding tolerance of herbaceous plants for selecting useful revegetation plants in shoreline slopes of lake, J.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5(2), pp. 25-33. [Korean Literature] 

  15. Park, JM and Choi, GH (2001). Study on the flooding tolerance of some woody plants for selecting useful revegetation plants in lake and marsh slopes, J.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4(2), pp. 45-51. [Korean Literature] 

  16. Park, SH, Park, CM and Oh, HK (2008). Growth characteristics of 4 IRIS species by flooding periods for revegetation plants selection in water level changing slopes, J. of Environment & Ecology, 22(6), pp. 640-647. [Korean Literature] 

  17. Piekielek, WP, Fox, RH, Toth, JD and Macneal, KE (1995). Use of a chlorophyll meter at the early dent stage of corn to evaluate nitrogen sufficiency, J. of Agronomy, 87, pp. 403-408. 

  18. Shin, BK, Kim, HJ, Choi, GW and Han, MS (2012). A study on the effect of water level and inundation period on the plant coverage of revegetation methods of stream bank in the coastal reclaimed land, J. of Environment & Ecology, 26(3), pp. 437-445. [Korean Literature] 

  19. Shin, JI (1999). Analysis of vegetation variation after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of stream, J.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3), pp. 10-17. [Korean Literature] 

  20. Song, JS (2001). A phytosiciological study of the shrubby and herbaceous vegetation of the riverside in the upper stream of Nak-dong river, Korea, J. of Environment & Ecology, 15(2), pp. 104-117. [Korean Literature] 

  21.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08). Effects of long duration flooding on riparian plant Sspecies in restoration plantings, San Joaquin River National Wildlife Refuge, Stanislaus County, California. 

  22. Woo, HS and Kim, ST (2000). A review and understanding of stream corridor restoration, J.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3(3), pp. 126-144.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